•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al Heritage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7초

일제강점기 이후 석탑(石塔) 조사연구사 (A Study on the Research History of Stone Pagoda after Japanese Colonial)

  • 지성진;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1호
    • /
    • pp.61-75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aspects about research methodology of stone pagoda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to now.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purpose, method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each perio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make lists of almost stone pagodas in Korea. Following this, Japanese researchers conducted detailed research for academic purpose. They took measurements of stone pagodas and made drawings. After liberation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relics contained in pagodas. They proceeded to investigate the inner relics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eople. In the late 1900's, the repair works of cultural heritages were increased. Many reports of the repair works were released and sent to administration offices. The reports contained the change aspects of situation between before work and after with drawings or simple investigation documents. In the 1990's, the restoration works for important stone pagodas were sta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ince then, researches from various way - architectural and conservational researches about historical interpretation, shape, structure, proportion, technique, etc. - progressed for careful restoration and accurate study. In Recent years,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in the field of structure, physics, chemistry, biology, lithology, etc.) started to join the researches. Researches conducted studies directly with the stone pagodas, as well as conducting indirect studies with the stone pagodas, such a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tone pagodas, the characteristics of rock, and conservation chemicals. Today the research project 'The preservation project of stone cultural property' is being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gain more detailed and accurate investigation documents to be provided for the people. In conclusion, researches from various fields must be included in the research. Furthermore, a synthetic study should be done through comparing similar characteristics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many research results.

변작법에 따른 전통한옥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가중요문화재 및 보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ok using Pyonjakbub)

  • 김학래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91-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versity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ok using Pyonjakbub(變作法). The roof is essential element of Hanok and the proportion of the roof accounts for about a half of the Hanok elevation. The shape of a roof of Hanok has made by the structural method like Pyonjakbub.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report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and 'Cultural assets of wooden traditional house' published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re used as it's 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yonjakbub i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he house dates and it has strongly influenc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ok-the width of a room, the cross section of inner space of a roof and the length of eaves, etc. In other word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nok will be changed by using different Pyonjakbub. Using the proper Pyonjakbub, we will provide more satisfaction to the client who wishes to live in Hanok.

목조건축문화재 원형유지를 위한 문화재돌봄 모니터링과 예방보존 (Monitoring and Preventiv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Maintain Original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 전경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192-214
    • /
    • 2023
  • 목조건축문화재는 그 나라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시적인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개념이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문화재는 '원형보존' 또는 '원형유지'를 보존관리의 원칙으로 삼았다. 더구나 요즈음은 국제적인 보존원칙의 흐름을 따라 문화재를 '역사적 대상물로의 가치'로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 논문은 목조건축문화재의 원형유지를 위해 어떤 부분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가의 범위와 내용을 정해 보기 위한 시도의 결과이다. 목조건축문화재의 모니터링에 있어서 첫 번째로 해야 할 부분은 지면과 기단의 상태를 점검하는 일이다. 지면과 기단은 목조건축문화재가 오랫동안 서 있을 수 있도록 모든 힘을 받아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단부와 낙수의 관계, 기단부의 침하 유무, 배수로의 유무와 구배 상태 확인 등을 모니터링 하였다. 두 번째는 기둥 부분이다. 기둥 기울음의 유무, 귀솟음과 안쏠림의 기법의 유무, 기둥 치수의 변화 유무, 기둥과 초석의 변위 발생 등을 확인하는 일이다. 기둥의 불안정성은 각 부재와의 이음과 맞춤 부분의 파손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벽체의 손상까지로 이어지는 물리적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지붕의 번와 유무, 번와에 따른 신·구 기와의 점유상태, 그에 따른 편심하중의 유무, 강우·강설에 의한 기와 사이의 이격 발생, 누수의 유무를 점검하였다. 지붕은 기와의 이격이나 파손에 의해 건물 내부로 누수가 지속되면 창방 이상을 부분 해체보수 해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원형유지를 위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시기적으로, 상태적으로 기준이 모호한 '원형보존'이나 '원형유지'를 문화재보존의 기본으로 하였어도 당시의 모든 현상은 문화재의 '원형'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재돌봄에 있어서 기단부, 기둥, 지붕의 모니터링 범위는 당해 문화재에 어떠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기준점이 된다. 다시 말하면 모니터링을 시작한 그 시점의 자료는 당해 연도의 '원형'이 된다. 지금에라도 현상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훼손되고 있는지의 사진, 측정값, 도면 등의 여러 자료를 남겨두어야 후대가 필요로 하는 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문화재 원형보존을 위한 모니터링의 분석에 따른 대안을 적극 도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화재 모니터링의 결과물인 문화재의 현재 상태 및 상황을 여러 관련 기관과 공유하여서, 문화재의 '개입'에 의한 보존보다 예방보존을 구축해 나아가야 한다.

부록 공정주법칙례(工程做法則例)의 해제(解題)와 권(卷)1 부분(部分)의 주석(註釋) (Appendix The Annotation of 『Gongchengzuofazeli (工程做法則例)』, and Commentary on its First Volume)

  • 한동수;동건비;이성호;양희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82-119
    • /
    • 2010
  • "공정주법칙례(工程做法則例)"는 건물의 영조표준을 통일하고 공정관리제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청나라 옹정(雍正) 12년(1734년) 공부에서 간행한 책이다. 영조표준을 만들기 위해 두구(斗口)를 기준으로 한 부재 하나하나의 치수가 기록되어 있으며, 공정관리를 위한 여러 비용의 기록 또한 존재 한다. 현재 이러한 기록들은 당시의 건축기술 및 건축환경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축사학계는 북송 시기에 간행된 "영조법식(營造法式)"의 연구에 집중된 경향이 있어 "공정주법칙례"는 그 중요성은 인정 받고 있으나 아직 번역 작업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공정주법칙례"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서두에 밝히고, 권1의 원문을 번역하여 소개함으로써 이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석조문화재 보호각 현황과 사례연구 (The present situation of shelter and case study of stone cultural heritage)

  • 신은정;김사덕;엄두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1호
    • /
    • pp.103-120
    • /
    • 2010
  • Most of the important stone cultural heritage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in Korea are mainly located outdoor and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changes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rainfalls. 541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are preserved as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The pagodas occupy 187 remains and next 127 Buddha statues, 68 monuments, 60 stupas, and the others 74 stone cultural heritages. The shelter has been installed for one pagoda, 60 Buddha statues, 36 monuments and two stupas. The shelters are categorized in three shapes as traditional shape, modern shape, and others (tradition+modern). Approximately 100 of shelters that have constructed in traditional ways, and about nine of shelters have modern ways, and the only one has the combination shape of tradition and modern, which has been constructed since mid 1900s and repaired from the 1980s~2000s.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for improvement of manners such as repairing, remodeling or removing of the shelter because problems have occured on shelters. Architectural form of traditional style of Korean timber building is respected, but it has problems on importing natural sunlight to the inside as well as ventilation and spacial problems. However, it needs to supplement policies to improve the positive roles of shelters such as prevention of artificial damage, blocking acid rain, and so on. For instance,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it had problems with viewing, contamination, and dew condensation on the surface. These problems decreased after dismantling the shelter, the space was made for improvement of viewing and dew condensation, and moisture problems were in better conditions. The velocity wind is an important factor in drying conditions on the surface of the rock, therefore the condition has improved after dismantling the shelter.

  • PDF

19세기 창경궁(昌慶宮) 내전(內殿) 전각(殿閣)의 지붕가구(架構) 계획기법(計劃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Planning Method of Roof Framing through Inner Building of Changgyeonggung in 19th Century)

  • 김기덕;한욱;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134-153
    • /
    • 2009
  • 본 연구는 19세기에 중건된 조선시대 창경궁의 내전 전각을 대상으로, 지붕가구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들의 치수계획을 고찰하고 서까래의 물매를 결정하는 요소를 분석하여 궁궐건축 내전 전각에 있어서 지붕가구계획의 기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창경궁 내전 전각의 지붕가구를 형성하는 주요 부재의 치수계획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평주의 길이는 궁궐지의 기록과 일치하였으며 고주의 계획치수는 촌(寸)단위까지 사용하였다. 영춘헌과 같이 평주의 길이가 촌단위까지 치목되어질 때 고주의 길이는 완척으로 계획되어 평주와 고주 사이에 형성되는 장연의 물매는 일정한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초익공 부재는 대체로 1.2척(尺)의 높이를 가지며 이익공의 경우에는 0.8척으로 초익공보다 0.4척 정도 작게 나타났다. 한편 장혀의 단면 폭은 0.3척으로 규모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다만 단면 높이의 경우 0.6~0.7척으로 대별된다. 도리의 직경은 1척을 기준으로 0.1척을 가감(加減)하였으며, 장연의 직경은 전각의 규모에 따라 0.5~0.6尺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목조건축 지붕가구의 형성에서 서까래의 물매결정은 먼저 장연의 물매를 정한 후, 건물의 전체 높이를 결정하는 종도리의 높이를 정하고, 중연을 걸기 위해 동자주의 위치와 높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지붕가구를 계획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장연 물매는 건물 규모에 따라 특별히 정해진 값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면 평주높이와 포작의 구성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연을 사용하는 경우 중연물매의 결정방식은 양통 어칸을 등간격으로 분할한 후, 동자주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목조건축유산 화재와 방재에 관한 연구: 당진지역 목조 공소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or Wooden Architecture Heritage: Focusing on the Wooden Catholic Secondary Station in Dangjin)

  • 이상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목구조로 형성된 건축유산의 소방안전대책이 갖는 문제점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당진지역에 현존하는 목구조로 형성된 천주교 공소의 건물 구조, 주변 환경 등 문화유산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천주교 공소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와 안전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구조 공소가 갖는 역사성과 장소성, 지역의 정체성을 갖는 중요한 문화유산 임에도, 화재 등 안전에 대한 취약성 및 소방 활동을 위한 화재 인지 및 초기 화재 대응에 어려움 등 방재시스템의 문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좀 더 강화된 방화 등에 방재 체제가 필요하며, 목구조 공소의 특성에 적합한 소방 시설을 설치하고 방화활동에 주체를 확보하여 건축유산인 공소의 방재체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도출되었으며, 또한 공소는 대부분 농촌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산불과 같은 자연재난에서 목구조 공소 방재 활동을 강화하고 화재 시 대응방안과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화성 증강현실(AR) 관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AR) Smartphone Application for Hwaseong Fortress Tourism)

  • 김창혁;송기수;백승현;김진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87-94
    • /
    • 2018
  • Hwaseong Fortress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by UNESCO in 1997 in recognition of its architectural,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provide a compelling and active experience to the visitors of Hwaseong Fortress more effectively and intuitively, an augmented reality (AR) mobile application is develop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AR technology in the developed application; and most importantly, how the application is designed for the visitors to actively and intuitively experience the various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contents of Hwaseong. The tour routes and their point of interests were selected carefully after deliberation of their contents. To maximize the user interaction with the application and the architectural contents of Hwaseong, not only the conventional AR technology (marker method), but also the markerless AR method is adopted in the developed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of Hwaseong Fortress enjoy the tour, while learning the architectur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active and intuitive interaction with the developed AR mobile application.

이미지 생성 및 지도학습을 통한 전통 건축 도면 노이즈 제거 (Denois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Drawings with Image Generation and Supervised Learning)

  • 최낙관;이용식;이승재;양승준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41-50
    • /
    • 2022
  •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deform over time and are vulnerable to fire or earthquakes. Therefor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require continuous management and repair, and securing architectural drawings is essential for repair and restoration. Unlike modernized CAD drawings, traditional wooden building drawings scan and store hand-drawn drawings, and in this process, many noise is included due to damage to the drawing itself. These drawings are digitized, but their utilization is poor due to noise. Difficulties in systematic management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re increasing. Noise removal by existing algorithms has limited drawing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noise characteristics and the performance is not uniform. This study presents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noised reduction for architectural drawings. Front/side elevation drawings, floor plans, detail drawings of Korean wooden treasure buildings were considered. First, the noise propertie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were learned with both a cycle generative model and heuristic image fusion methods. Consequently, a noise reduction network was trained through supervised learning using training sets prepared using the noise models. The proposed method provided effective removal of noise without deteriorating fine lines in the architectural drawings and it showed good performance for various noise types.

한국 안동시 하회마을과 필리핀 일로코스써 비간시의 건축 문화유산 (Architectural Heritage of Hahoe Village in Andong City, South Korea and Vigan City in Ilocos Sur, Philippines)

  • 유영찬;김곤
    • KIEAE Journal
    • /
    • 제8권2호
    • /
    • pp.47-52
    • /
    • 2008
  • A nations' cultural heritage embodies its intellectual and spiritual contributions to its civilization of mankind. Cultural properties, whether tangible or intangible, represent both the essence and the basis of national cultures. Both the Philippines and South Korea's cultural heritages have survived various unfortunate chapters of their long histories. This study's purpose is to explore and evaluate the phenomenon of the architecture of Hahoe village in Andong city, Korea and Vigan city of Ilocos Sur, Philippines and to understand and cherish the cultural heritage of both countries. The historic city of Vigan has a unique architecture that blend Ilocano, Filipino, Chinese and Spanish styles in a tropical Asian setting, with a typical Spanish colonial urban layout as specified by the Ley Delas Indias. Hahoe village also represents a masterpiece of human creation and exhibit an important interchange of human values in architecture, monumental arts, town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Though diverse in milieu, Hahoe village and Vigan city share a common phenomenon which is architecture that is called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