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boridi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산 두점박이애매미충속 (노린재목: 매미충과: 애매미충아과)의 한국 미기록 2종의 기재 (Two New Records of the Genus Arboridia Zachvatkin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Typhlocybinae) from Korea)

  • 오수민;김일권;김기경;서홍렬;채준석;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7-50
    • /
    • 2015
  • Arboridia(두점박이애매미충) 속(노린재목: 매미아목: 매미충과: 매미충아과)의 국내 미기록 2종인 Arboridia lunula Song & Li, 2013 와 Arboridia agrillacea (Anufriev, 1969)을 기록한다. 성충의 사진과 함께 수컷의 생식기와 복부, 날개의 그림과 채집기록을 기재한다. 또한 국내 Arboridia 속의 검색표를 제공한다.

포도원에 발생하는 이슬애매미충과 이마점애매미충의 생태적 특징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boridia kakogawana and Arboridia maculifrons (Auchenorrhyncha : Cicadellidae) Occurring on Vineyards)

  • 안기수;김황용;이기열;황종택;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1-255
    • /
    • 2005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슬애매미충과 이마점애매미충의 발생생태 및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5월 초순부터 포도원에 들어와서 포도 잎을 가해하기 시작하며, 대체로 6월 하순과 8월 중순 경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이후 이슬애매미충은 10월 초순부터 월동하기 적당한 수피를 찾아서 인근 숲으로 이동하였고, 이마점애매미충은 9월 하순부터 포도원 주변의 잡초로 이동하였다. 충청북도 5개군의 발생조사에서, 두 종 모두 옥천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발육기간은 이마점애매미충이 이슬애매미충보다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