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0-6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비타민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성분에 있어서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 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특히 무기성분은 K가 땅두릅에 264.00 mg%과 땅두릅잎에 172.00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음으로 Ca, P, Na, Mg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땅두릅이 63.7 mg/g, 땅두릅잎은 63.5 mg/g으로 비교적 많은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산화활성능은 페놀성 화합물이 각각 58.25, $79.32{\mu}g/m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1.25, $15.36{\mu}g/mg$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32.23, $28.06{\mu}g/mg$으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은 땅두릅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13%, 땅두릅잎은 총 식이섬유가 5.98%로 비교적 높은 식이섬유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총 클로로필 함량도 땅두릅이 92.58 mg%와 땅두릅잎이 147.25 mg%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독활 종자의 저장온도, 기간 및 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유묘 생육특성 연구 (Studies on Germination Rates and Early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by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s, Durations, and Methods in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C.Chu)

  • 이경아;김도현;김민수;오문국;김영국;안영섭;박충범;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2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managing and storing methods of the seeds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C.Chu, to examine the viability and the germination ability of seeds with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and methods, and to develop new ways to propagate and have better healthy seedling. Therefore, the germination rate, days required for germinating seeds,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C.Chu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s, durations and methods.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than that in dry storage condition.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with outdoor temperature at 30 days after stratified storage. The days required for germinating seeds were less than 10 days with the treatment of $25^{\circ}C$ and outdoor temperature in stratified storage. In dry condition, they were shorter with $4^{\circ}C$ and $25^{\circ}C$ than those with $-20^{\circ}C$ and outdoor temperature. Leaf number of seedling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compared to that in dry condition, while it was not clearly different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seedling was no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of storage methods, temperatures, and durations. Stem length of seedling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than those in dry condition, while root length was not clear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t would be assumed that temperatures, methods and durations of storage could affect much to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early seedling growth response.

땅두릅 잎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 한귀정;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202-12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제조 방법으로 잎김치를 제조하여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두릅 잎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pH 및 총산의 변화는 pH가 감소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양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염도의 경우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생물학적 특성에서 총균수와 젖산 균수의 변화는 비슷한 양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 4개월에 최고치에 이른 후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물리화학 특성에서 색도는 저장초기 서서히 증가하다가 저장 4개월에 명도는 급격히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총색차 ${\Delta}E$는 저장초기에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발효가 진행된 저장 4개월에 완만하게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경도변화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간장, 고춧가루, 젓갈양념 등 3가지 종류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5점 이상을 받아 우수하게 평가되어 땅두릅 잎김치로서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위와 같이 땅두릅잎이 잎김치로서 적합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 농산물의 농가 소득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땅두릅잎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장기간에 따른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during Storage Periods)

  • 신동선;김명희;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양념을 달리한 LA(간장), LB(간장+고춧가루), LC(간장+고춧가루+젓갈)의 잎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총 비타민 C, 환원당, 식이섬유, 총 클로로필,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에서 총 비타민 C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의 경우 저장 초기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저장 5개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이후부터 저장 6개월까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클로로필은 저장 1개월에는 다소 감소하다가 저장 3개월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 LB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인 LA가 가장 낮은 잔존율를 보였다.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초기 LA, LB, LC가 각각 10.3, 10.1, 10.4%이었으며 저장 1개월에는 11.7, 11.3, 12.1%로 다소 증가하였고 저장 3개월에는 12.8, 12.2, 13.0%이었으나 저장 6개월에는 12.0, 11.0, 12.5%로 총 수용성 함량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두릅 잎김치는 양념 및 가공방법을 더 다양화한다면 땅두릅잎은 식품의 적용을 증대시켜 아울러 소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