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ifer contamination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강원도 흥호리 지역 암반대수층의 수리지질 및 지하수 오염취약성 예비조사 (Hydrogeology and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of a Mountainous Area in Kangwon Province)

  • 이진용;이강근;정형재;배광옥
    • 지질공학
    • /
    • 제10권1호
    • /
    • pp.27-38
    • /
    • 2000
  • 강원도 흥호리 지역의 수리지질과 지하수의 오염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의 주 대수층은 피압 단열암반 대수층으로 지하수 유동과 재충진이 주로 단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순간수위변화시험, 순간 간섭시험 그리고 양수시험을 통해 얻은 대상 대수층의 평균 투수량계수와 저유계수는 각각 3.2$\times$$10^{-3}$~2.0$\times$$10^{-2}$$m^2$/min, 1.3$\times$$10^{-7}$~9.15$\times$$10^{-4}$이다. 거주지역 상부에 위치한 축산단지의 오수로 인해 단열대의 지하수가 오염되었고 오염지하수가 단열대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하부 주민거주지역의 음용 지하수의 오염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 PDF

오일의 누출이 토양오염, 식생 및 지하수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il Leakage for Soil Contamination, Plants and Groundwater)

  • 진성기;도덕현;최규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1-152
    • /
    • 1994
  • Our experiment investigated the degree of soil contaimination caused by oil leakage. Each soil sample was taken by boring 5, 8m below the test areas, located 5 to 30m from storage tanks at oil s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 series of laboratory tests(both soxhiet extract test and gas chromatograph test), Traces of a light oil were found in all samples except in Dj8, rocky soil and gasoline and petroleum were not detected. We concluded that soil contamination was caused by the corrosion of storage tanks or alternatively by oil overflow caused during the flooding of underground water seeping into the tank during heavy rain fall or the spillage caused by carelessness during lubrication. Old stations without a concrete box enclosing their metal tanks run a greater risk of oil leakage. To research the effect of oil leakage on plant growth and underground water, We examined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oversea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hen oil leakage occurs, plant growth is repressed and agricultural crops experience low productivity levels. Also, the contamination of underground water can be serious when oil spreads to the aquifer layer. As a result of these problems, to prevent oil leakage and minimize its contaminating effects at oil st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cilities of storage tanks and have the monitoring system of oil leakage.

  • PDF

다중 환경추적자를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 분석

  • 고동찬;김용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8-141
    • /
    • 2004
  • The environmental tracers tritium/helium-3 (3H/3He) and chlorofluorocarbons (CFCs) were investigated in ground water from Jeju Island, Korea, a basaltic volcanic island. The apparent 3H/3He and CFC-12 ages were in relatively good agreement in samples with low concentrations of terrigenic He. Ground water mixing was evaluated by comparing 3H and CFC-12 concentrations with mixing models, which distinguished old water with negligible 3H and CFC-12, young water with piston flow, and binary mixtures of the two end members. The ground water CFC-12 age is much older in water from wells completed in confined zones of the hydro-volcanic Seoguipo formation in coastal areas than in water from the basaltic aquifer. Comparison of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with the CFC-12 age shows that nitrate contamination processes contribute more solutes in young water than are derived from water-rock interactions in non-contaminated old water. Chemical evolution of ground water resulting from silicate weathering in basaltic rocks reaches the zeolite-smectite phase boundary. The calcite saturation state of ground water increased with the CFC-12 apparent (piston flow) age. In agricultural areas, the temporal trend of nitrate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was consistent with the known history of chemical fertilizer use on Jeju Island, but the response of nitrate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to nitrogen inputs follows an approximate 10-year delay. Based on mass balance calculations, it was estimated that about 40% of the nitrogen applied by fertilizers reached the water table and contaminated ground water resources when the fertilizer use was at the highest level.

  • PDF

경기도 일부 공원묘역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Some Cemeteries in Gyeonggi Province)

  • 이재황;이준수;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30-341
    • /
    • 2008
  • 본 연구는 묘역의 운영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43개 묘역 중 28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 묘역에 일곱가지의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지하수위, 지하수 함양량, 대수층 매질, 토양 매질, 지형 구배, 비포 화대 구성물질, 대수층의 수리전도도)을 사용하여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는 DRASTIC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지 DRASTIC 지표는 82 126범위였고 평균은 113.99(1.48)이었다. 연구대상지인 경기지역의 묘역의 DRASTIC 지표는 북부가 남부보 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DRASTIC 지표는 동일한 매장률과 매장밀도를 가지는 지역들 간에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이 연구는 DRASTIC 모델을 이용하여 묘역의 지하수 오염가능성을 평가할 때 모델적용에 필요한 일곱 가지 기본 인자뿐 아니라 매장률과 매장밀도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였다.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오염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of Pusan City)

  • 정상용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5
  • 매립장에서의 쓰레기는 주변 지역에 지하수오염, 악취, 유독가스 발생 등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부산시에서 만 6년 동안 사용해 왔었던 석대 폐기물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그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연구를 목표로 매립장 주변의 우물과 시추공 내의 지하수위, 수질, 대수층 특성 등을 조사하고, 또 주변 하천의 수질,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분포 및 유동 상태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지하로 침투하는 순수 침출수량은 일 평균 약 520 m$^3$로 추정되며,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범위가 매립장 중심에서 약 1-1.5 km 정도 까지에 이른다. 오염물질도 중금속류를 비롯한 기타 유해 성분들이 다량 존재한다. 앞으로 이 일대의 지하수를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립장과 지하수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곳에 감시정을 여러개 설치하여 지하수위와 수질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채수정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하수를 뽑아내어 침출수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하천에 방류하여야 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매립장 주변 지역에 차수벽 설치가 요구된다.

  • PDF

H 연구지역의 수리지질-수리분산특성과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연구 (A Study on Hydrogeologic, Hydrodispersive Characterization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ssessment of an H-site)

  • 한정상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95-311
    • /
    • 1994
  • A comprehensive in-situ tests are performed to define the hydrogeologic and hydrodispersive characteristic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ies, longitudinal dispersivity, and average linear velocities as well as conducting flow-net analysis at the study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y area is very heterogeneous so that hydraulic conductivities range from $6.45{\times}10^{-7}$ to $1.15{\times}10^{-5}m/s$ with average linear velocities of 0.34~0.62m/day. Whole groundwater in upper-most aquifer is discharging into the sea with specific discharge rate of $7.2{\times}10^{-3}$ to $1.3{\times}10^{-2}m/day$. The longitudinal dispersivity of the aquifer is estimated about 4.8m through In-situ injection phase test. The area is highly vulnerable to potential contaminant sources due to it's high value of DRASTIC index ranging from 139 to 155 and also under water table condition with very shallow groundwater level. To delineate contaminant plumes of toxic NaOH and carcinogenic benzene when these substances are assumed to be leaked through existing TSDF at the study area by unexpected accidents or spill, Aquifer Simulation Model (ASM) including Flow and Transport Model is used. Te simulated results reveal that the size of NaOH plume after 5 years continuous leak is about $250{\times}100m$ and benzene after 10 years, $490{\times}100m$. When the groundwater is abstracted about 50 days, which is maximum continuously sustained no-precipitation period during 30 years, with pumping rate of $100m^3/day$, THWELL program shows that the groundwater is adversly affected by sea water intrusion.

  • PDF

연안암반대수층의 해수침투경향성 파악을 위한 전기전도도 시계열 분석과 예측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Coastal Aquifers)

  • 주정웅;여인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4호
    • /
    • pp.267-276
    • /
    • 2017
  • 전라남도는 연안지역은 농업활동과 상수도의 미보급으로 인하여 지하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지하수의 과다사용은 지하수위 저하를 일으키며 그로 인한 해수침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해수침투 관리가 매우 필요한 지역이다. 전라남도 무안군의 연안암반대수층에서 측정된 EC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가 대수층에 적합한 시계열 모형을 구축하고, 해수침투의 지표인 EC를 예측하고자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1년 이상 측정한 EC 시계열 자료는 짧은 주기적인 변동과 함께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비정상 시계열의 특성을 보였다.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시계열 모형 식별 결과 ARIMA 모형과 계절적인 요인을 고려 할 수 있는 SARIMA 모형 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모형 적용한 결과, EC의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해 ARIMA보다는 EC 자료의 변동 특성을 잘 반영한 SARIMA 모형이 예측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시계열 분석은 암반 대수층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EC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패커를 이용한 오염지하수 관정 상.하부 대수층의 지하수 수질 평가 (Groundwater Quality Evaluation for Upper and Lower Aquifers of Cotaminated Groundwater Well Using Preliminary Packer)

  • 조희남;조윤철;김주영;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6호
    • /
    • pp.73-77
    • /
    • 2009
  • 연구대상지역내에는 지하수수질이 상이한 상 하부 대수층이 각각 발달되어 있었다. 하부 대수층내 지하수의 주 오염원인은 상부의 질산성질소로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지하수공 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폐기 또는 방치지하수공을 통한 질산성질소의 하부 대수층으로 오염 확산 억제를 위하여 예비팩커를 공 내부에 설치하고 패커 상, 하부의 질산성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예비패커 설치후 상, 하부 구간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예천군 신월리 경우, 상부는 10.3 mg/L 이었으나 하부는 5.0 mg/L로 상부에 비해 50% 낮은 함량을 나타내였다. 예천군 어신리는 상부는 11.3 mg/L 이었으나 하부는 8.8 mg/L로 상부에 비해 22% 낮은 함량을 보였다. 예천군 저우리는 상부는 11.0 mg/L이고 하부는 1.6 mg/L로 상부에 비해 85%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안동시 회곡리는 상부는 14.6 mg/L 이었으나 하부는 8.0 mg/L로 상부에 비해 45% 낮은 함량을 나타내였다. 연구지역에서 예비패커를 적용한 결과 패커 하부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상부에 비해 22~85% 낮게 나타내였다.

대전 산업단지 지하수의 6가 크롬 오염 및 확산 평가 (Fate and Transport of Cr(VI) Contaminated Groundwater from the Industrial Area in Daejeon)

  • 전철민;문상호;안주성;김영식;원종호;안경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403-41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내 국가지하수관측망(대전, 문평)의 6가 크롬 오염지하수의 오염 현황을 파악하고 그 확산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전(문평) 관측소에서 나타나는 6가 크롬($Cr^{+6}$) 수질장해의 원인을 규명하고 6가 크롬의 오염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금번 연구에서는 보조 관측정을 설치 활용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6가 크롬이 $3.2{\sim}4.5mg/L$ 정도 검출됨으로써 6가 크롬에 의한 관측소 충적공의 수질오염은 지속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그러나 관측소의 암반관정 및 0.05mg/L 수질기준 이하의 농도를 보이는 MPH-1과 3번 관측공을 제외한 주변 관측공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6가 크롬 및 총 크롬 함량의 오염 범위는 관측소 충적층 관정 인근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신규 5개 보조 관측정에서 채취한 77개의 시추 코어 및 슬라임 시료 모두에서 수용성/교환성 6가 크롬이 검출 한계(0.01mg/L) 이하로 나타나, 오염이 관측된 관측소 관정 주변의 토양 및 풍화토에서는 직접적으로 6가 크롬의 오염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지하수 수질분석 및 코어시료 분석 결과, 그 오염원의 중심 및 오염 확산 범위는 관측소 주위 반경 100m 이내로 매우 한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확산의 범위가 매우 좁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추조사 결과, 폐수종말처리장 부지조성 당시의 불량 매립층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불량 매립산업폐기물이 관측소 인근의 6가 크롬 수질장해 원인으로 추론된다. 지표매질의 6가 크롬 자연저감능 평가를 위해 초기 농도 5mg/L Cr(VI)을 이용한 6가 크롬 유효 환원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암회색 점토층에서 각각 58%, 66%, 64% 정도의 높은 6가 크롬 저감율을 보였으며, 이는 유기물 함량과 상호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포화대/충적층 매질에 대한 6가 크롬 함량 및 자연저감 능력의 정량적 평가 결과, 매질에 의한 6가 크롬의 자연 저감능이 확인되었으며 관정 주변으로의 오염 확산은 충분히 제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시추 관측정 및 기설 관정의 수가 부족했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선택적 유동(preferential flow) 경로에 의한 확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정기적인 양수작업을 통하여 지하수에 부화된 6가 크롬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관측소 주변에 설치된 보조 관측정들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6가 크롬의 농도 변화 추이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오염 확산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감시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roundwater Ubiquity Score를 이용한 제주도 토양 특성별 농약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of Pesticides Using Groundwater Ubiquity Score in Jeju Island Soils)

  • 현해남;장공만;오상실;정종배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4-153
    • /
    • 2007
  •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를 이용하여 제주도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농약에 대한 지하수 오염가능성을 평가하고 등급화 하였다. 살충제 12종, 제초제 6종, 살균제 3종을 선정하여 제주도 20개 토양통에 대한 흡착특성과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GUS를 구하였다. 제주도 토양에서 조사된 각종 농약의 전반적인 지하수 오염가능성은 제초제 > 살균제 > 살충제 순서이었다. 제초제의 지하수 오염가능성의 크기는 bromacil > metolachlor > alachlor > linuron pretilachlor > butachlor 순서로 나타났다. 살충제의 지하수 오염가능성의 크기는 carbofuran > ethoprophos > diazinone > dimethoate > penthoate > mecarbam > methidathion > endosulfan > fenitrothion > parathion > chlorpyrifos > terbufos 순서로 나타났다. 살균제의 지하수 오염가능성의 크기는 metalaxyl > chlorothalonil > triadimefon 순서로 나타났다. 이들 농약 중에서 특히 지하수 오염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된 것은 제초제 alachlor, metolachlor, bromacil, 살충제 ethorophos와 carbofuran 그리고 살균제 metalaxyl이었다. 농약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농약의 절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지하수 오염가능성이 낮고 오염시킨 예가 적은 약제의 선별적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특히 오염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오염의 예가 많은 약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사용제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