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drug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제약단지 인접 지역 지표수의 잔류 의약물질 생태위해성평가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Pharmaceuticals in the Surface Water Near a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mplex in Korea)

  • 박수현;강하병;신혜수;유일한;최경호;고영림;박경화;김경태;지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5-64
    • /
    • 2020
  • Objectives: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presence and associated ecological risks of pharmaceutical residues in aquatic environments near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area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pharmaceutical contamination and its associated ecological risks in streams near a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mplex. Methods: Seven pharmaceuticals (acetaminophen, clarithromycin, diclofenac, diphenhydramine, ibuprofen, mefenamic acid and roxithromycin) were measured in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streams near a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mplex. A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 was derived using either the assessment factor method or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 method. In addition, a hazard quotient for each pharmaceutical was calculated by dividing its 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by its PNEC. Results: Samples collected downstream from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pharmaceuticals than those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site (upstream). Moreover, pharmaceutical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ambient water than in the final effluent from the WWTP, which suggested that non-point sources were contributing to the contamination of the ambient water environment. Some of the target pharmaceuticals exhibited a hazard quotient >1, indicating that their potential ecological effects on the aquatic environment near the pharmaceutical industrial area should not be ignore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area was contaminated with residual drugs, and that there was a possible non-point source near the WWTP effluent discharg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plans for pharmaceuticals, particularly in hotspots such as pharmaceutical industrial sites and their vicinities.

동물성 식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의 문제점과 대책 (Control of Chemical Residues in Animal Foods - Problems and their Countermesures -)

  • 이문한;신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39-158
    • /
    • 1990
  • 동물성 식품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ehdafn성 약물이 사용되고 있고 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의 공해물질이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학물질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동물성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식품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부와 보건 사회부에서는 약제 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잔류 허용기준을 따로이 마련하였고 독자적으로 잔류에 대한 조사연구에 착수하였다. 잔류 약제에 대한 규제는 국민건강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착실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나 생산기반이 흔들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국내에서의 동물성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통하여 수출을 확대하고 무분별한 수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원화되어 있는 업무를 일원화되어야 한다. 검사를 통하여 잔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정책 보다는 생산 단계에서 안전휴약기간을 지키도록 적극 교육, 홍보, 지도하여야 한다. 이 심포지엄 연제에서는 미국과 한국 농림수산부에서는 잔류검사기법에 대한 개요와 검사 계획, 국내에서의 잔류물질에 대한 조사연구 개황, 그리고 허용기준 설정방법 등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배양 조건에 따른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with Growth Conditions for Spirulina platensis platensis)

  • 주동식;조만기;레이너 부홀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9-416
    • /
    • 1998
  • 판형 배양조를 이용하여 온도와 빛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과 이에 따른 균체내 지질축적량 및 지방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균체량으로부터 빛 강도에 대해서 고찰해본다면 $2695{\mu}E/m^3/sec$의 낮은 빛 강도는 적절한 배양 빛 강도가 아니었고, 온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4235{\mu}E/m^3/sec$$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가 적절였다. 온도의 경우 $40^{\circ}C$에서는 빛 강도에 관계없이 균체 성장이 억제되고 결국에는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25^{\circ}C$의 낮은 온도에서는 성장이 지연되었다. $30^{\circ}C$$35^{\circ}C$가 적절한 온도였는데, 빛 강도에 따라 온도의 선택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질 함량은 $30\~35{\circ}C$ 온도와 $4235-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에서 최대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질조성은 배양 조건에 관계없이 C16 : 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C210 : 0, C18 : 2의 순이었고, 특정 지질성분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기대했던 C18 : 3의 함량은 몇몇 조건에서만 극히 소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제주산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된 $\beta$-용혈성 연쇄구균 ($\beta$-Streptococcsus spp.)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ta$-Streptococcus spp. Isolated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Jeju Island)

  • 허문수;송춘복;이제희;여인규;전유진;이정재;정상철;이기완;노섬;최광식;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5-369
    • /
    • 2001
  • 2000년도 2회에 걸쳐 제주도 일원 넙치 양식장을 대상으로 감염어에서 분리된 연쇄구균에 대한 특성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감염어로부터 분리된 연쇄구균은 형태적으로 연쇄상의 gram 양성의 구균이었고, catalase와 oxidase에 음성이었으며, 용혈성 시험에서는 $\beta$-용혈성을 나타내었다. 감염어에서 각 장기별 생균수에서는 환부, 신장, 혈액 그리고 뇌순으로 연쇄구균이 검출되었다. 약제 감수성에서는 ampicillin, ciprofloxicin 둥에 감수성이 있었지만 erythromycin 등에는 감수성이 없었다. 복강에 주사하여 병원성 시험을 한 결과 10일 이내에 전량 폐사하는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감염균의 용혈성에 대한 특성은 $50^{\circ}C$ 30분의 배양에서 용혈활성이 마르게 증가되어 최대값에 도달되었고 또한 $pH 5.5\~6.5$에서 높은 활성값을 보였다.

  • PDF

붕어에 기생하는 철사충 Philometroides carassii의 생활사와 치료에 관하여 (LIFE CYCLE AND CHEMOTHERAPEUTIC CONTROL OF A FILARIAN WORM, PHILOMETROIDES CARASSII PARASITIC IN CARASSIUS AURATUS)

  • 옥대한;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12-122
    • /
    • 1973
  • 붕어와 금붕어에 기생하는 사상충, Philometroides carassii (Ishii, 1931)를 구제할 목적으로 1971년 4월부터 1972년 12월까지 당년어 붕어 200마리와 금붕어 150마리에 이 충의 유충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감염시켜, 생활사를 규명하고 약물치료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충은 Cyclops sp.가 중간숙주이며 이것의 복강에 침입한 유충은 3시간 이후에 감염력을 가졌다. 2. Cyclops sp.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먹힌 유충은 어체내에서 24시간내 장에서 소화되거나 배설되었다. 3. 중간숙주를 경유하여 어체의 장에 기생한 유충은 $1\~10$일후 복강속으로 침입하고, 여기서 성장하여 미성숙성충이 되었다. 붕어 복강속에서 기생하는 미성숙 성충은 $18\~20$개월 후 꼬리지느러미로 나와 성충이 되었다. 금붕어 복강속에 기생하는 미성숙 성충은 $7\~8$개월 후 꼬리지느러미로 나와 성충이 되었다. 4. 어체 복강속에 기생하는 미성숙 성중에서 본 종의 수컷을 최초로 발견했으며 암컷보다 대형이었다. 5. 성충에 대한 약물 치료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고 성충에서 방출되는 유충에 대해 약욕 치료실험한 결과 dipterex가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4ppm으로 5일만에 대부분 폐사되었다.

  • PDF

나일틸라피아의 흉선과 말초 혈액내 림프구에 미치는 Glucocorticosteroid 호르몬의 효과 (Effects of Glucocorticosteroids on the Thymus and Peripheral Lymphocyt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장선일;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134
    • /
    • 1994
  • 나일 틸라피아의 흉선과 말초 혈액내 림프구에 glucocorticoste.oid (GCS)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농도로 dexamethasone (DEX)와 hydrocortisone (HC)을 치어 (5-7g) 복강에 주사하여 흥선의 조직과 세포수 등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생체에 DEX와 HC를 투여한 군에서는 흥선의 무게 감소와 흥선 세포의 수적 감소가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이들 호르몬의 처리 양과 시간에 의존적이었다. 10mM DEX와 10mM HC를 시험관내 흥선 세포에 12시간 처리할 경우 DNA 절편화가 유도되었으며, 그 유형은 180-200 염기쌍으로 다양하게 절편되었다. DEX와 HC를 생체에 여러 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말초 혈액내 과립 백혈구의 수적 변동은 없었지만, 10mM DEX와 10mM HC을 2-3일 처리시 말초 혈액내 림프구 수는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흥선 세포와 순환하는 림프구가 호르몬의 특성과 처리량 및 시간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GCS에 반응하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 PDF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on in vitro Gonadotropin Release in Testosterone-Treated Immature Rainbow Trout

  • Kim, Dae-Jung;Kim, Yi-Cheong;Aida, Katsum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29-437
    • /
    • 2009
  • The control mechanis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n gonadotropin (GTH) release was studied using cultured pituitary cell or cultured whole pituitary obtained from Testosterone (T) treated and control immature rainbow trout. The release of FSH was not changed by salmon type GnRH (sGnRH), chiken-II type (cGnRH-II), GnRH analogue ([des-$Gly^{10}D-Ala^6$] GnRH ethylamide) and GnRH antagonist ([Ac-3, 4-dehydro-$Pro^1$, D-p-F-$Phe^2$, D-$Trp^{3,6}$] GnRH) in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and control fish. Indeed, FSH release was not also alter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All tested drugs had no effect on the release of LH in both culture systems of control fish. The levels of LH, in contrast, such as the pituitary content, basal release and responsiveness to GnRH were increased by T administration in both culture systems. In addition, the release of LH in response to sGnRH or cGnRH-II in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but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both GnRH at the concentration examined. Indeed, LH release was also increas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of T-treated fish. GnRH antagonist suppressed the release of LH by sGnRH ($10^{-8}\;M$) and GnRH analogue ($10^{-8}\;M$) sti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and which were totally inhibited by $10^{-7}\;M$ GnRH antagoni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itivity of pituitary cells to GnRH is elevated probably through the T treatment, and that GnRH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LH release. GnRH-stimulated LH release is inhibited by GnRH antagonis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gonadal steroids on FSH levels are less clear.

양식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에서 최초로 분리된 갈고리벌레과 Cymothoids의 특성 연구 (First report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Cymothoids isolated from cultured flathead grey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 서한길;오명주;조미영;한현자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3-408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양식 가숭어에서 최초로 분리된 등각류는 Nerocila japonica와 가장 근연한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형태학적 분류 등 명확한 종 동정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직접 노출에 의한 구충 효과를 확인한 결과 trichlorfon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