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Toxicity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초

PCBs 노출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신장, 아가미 및 간췌장의 조직학적 반응 (Histological Response of Kidney, Gill and Hepatopancreas of the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fter PCBs Exposure)

  • 김재원;지정훈;강주찬;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3-289
    • /
    • 2003
  • The effect on kidney, gill, and hepatopancreas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method under limit concentration of effulent of PCBs for 60 days. The free surface of epithelial cell layer in the renal tubules of kidney showed a strong positive reaction in alcian blue during all exposure period. There were also observed swelling of hemocyte in glomerulus and macrophage. At 60 days after exposure, epithelium of the renal tubules was fused and some of organism $(20\%)$ showed damage of glomerulus and eosinophlic cell in epithelium of the renal tubules. The phenomena such as the activation and increase of the chloride cell, and swelling of hemocyte in the capillary of gill were observed during all exposure period. At 60 days after exposure, swelling of the gill filament and mucous cell appeared in gill and some of organism $(30\%)$ showed swelling of the gill lamellar. Swelling of hemocyte in the capillary of hepatopancreas was observed and the free surface of epithelial layer of the bile duct showed positive reaction in alcian blue during all exposure period. Degenerated zymogen in the pancreas and swelling of the hepatocyte were occurred at 60 days after exposure.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삼채복(Fugu flavidus)의 독성 (Toxicity of the Imported Pufferfish, Fugu flavidus ('Samchaebog'), from China)

  • 김동수;김상록;이명자;설명훈;정동윤;김현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3-53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수입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채복을 시료로 하여 각 개체의 조직 부위별 독성을 조사하였고 Bio-Gel P-2 칼럼 크로마토크래피로 복어독을 부분정제하여 TLC, 전기영동 및 HPLC에 의하여 독성분을 검출하고 확인하였다. 삼채복 10개체의 경우 그 독력은 내장, 난소 및 답즙은 ND-10MU/g 및 ND-23MU/g이었으나, 간장, 껍질, 근육 및 정소는 무독하였으며, 유독개체 출현율은 난소$(100\%)$, 담즙$(20\%)$ 및 내장$(10\%)$순으로 나타났다. 간장부위는 성별에 따른 독력의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생식소의 경우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삼채복의 난소로부터 분리한 독소는 TLC와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표준품 TTX와 anh-TTX의 상대이동도와 유사한 두 지점인 Rf 0.64, 0.86와 5.5, 7.2cm에서 나타내어 TTX 관련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HPLC분석 결과 TDA, TTX와 anh-TTX의 peak가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4-epi TTX의 peak도 약간 나타났다.

  • PDF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와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구리, 카드뮴, 크롬의 독성 (Toxicity of Copper, Cadmium and Chromium on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Mysid, Neomysis awatschensis)

  • 강주찬;김흥윤;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4-881
    • /
    • 1997
  •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치하와 성체에 대한 중금속의 급성독성 수준과 아치사 농도에서 생존, 성장, 탈피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cadmium, copper 및 chromium의 독성을 검토하였다. Cadmium, copper 및 chromium에 대한 곤쟁이 성체의 $96hr-LC_{50}$은 각각 20.2, 11.3, $670.4\;{\mu}g/\ell$, 치하에서는 각각 3.4, 1.9 및 $49.4\;{\mu}g/\ell$이었다. 성체와 치하의 $96hr-LC_{50}$을 기준으로 중금속의 독성은 copper>cadmium>chromium 순이었다. 치하를 각 중금속의 아치사 농도에 40일간 노출시키면서 생존, 성장 및 탈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cadmium이 $\geq1.0\;{\mu}g/\ell,\;copper\geq0.6\;{\mu}/\ell$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성장률은 cadmium $2.0\;{\mu}g/\ell$와 copper $\geq1.2\;{\mu}g/\ell$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탈피기간에는 영향이 없었다. 산소소비량은 중금속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대조구의 산소소비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금속 농도에 따른 산소 소비량은 cadmium과 copper는 $5\;{\mu}g/\ell$ chromium은 $10\;{\mu}g/\ell$ 농도에서 약 $5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하구역에 cadmium이 $\geq1.0\;{\mu}g/\ell$, copper가 $\geq0.6\;{\mu}g/\ell$ 농도가 존재할 경우 곤쟁이의 분포와 개체군의 크기에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천수의 생태독성을 파악하기 위한 황산화미생물의 이용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Biological Toxicity Monitoring in Water Using Sulfur Oxidizing Bacteria)

  • 강우창;오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0-174
    • /
    • 2012
  • 일반적으로 실제 하천의 EC 값은 일정하게 유지가 된다. 연속식, 반연속식 운전으로 실험한 결과 정상상태(steady state)를 보였다. 연속운전의 경우 유출수의 EC 값은 1.7 dS/m로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유입 EC = 0.1 dS/m) 반연속식운전의 경우 새로운 유입수가 유입됨으로 인해 초기 EC는 약 0.1 dS/m이고 미생물이 황을 산화함에 따라 황산염 이온이 생성되고 EC가 증가하여 30분 후 EC는 약 0.6 dS/m로 측정되었고 장시간 운전하여도 일정한 트랜드의 안정적인 값이 측정되었다. ${NO_2}^{-}-N$가 주입되면서 미생물이 저해를 받아 EC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독성물질 주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다. 독성이 없는 유입수를 다시 유입시켰을 경우 약 4~5시간 후 반응조 내의 미생물이 원상태를 회복하여 유입 전 EC의 값이 다시 측정되었다. 황을 이용한 독성모니터링방법은 다른 여러 조건의 실험을 통해 문제점 파악 및 보완이 필요하지만 연속식 운전, 반연속식 운전 2가지 방법을 통해 독성물질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말똥성게에 대한 온천천수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Oncheon Stream Water to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이석모;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14-422
    • /
    • 1984
  • 수영만으로 유입되는 온천천이 해양생물에 미치게 될 영향을 직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1984년 2월 20일부터 4월 15일까지 4회에 걸쳐 수질분석 및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질분석 결과 온천천은 BOD, COD 값이 환경기준을 훨씬 초과하고 있어 가정하수가 주종을 이루는 도시하수의 특성을 지닌 하천임을 알 수 있다. 기준은 설정되어 있지않지만 LAS가 반치사농도 이상으로 오염되어 있어 단독독성물질로 큰 문제가 될 것이 예상되었다. 2.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관족부착에 대한 온천천의 96시간 반영향농도($EC_{50}$)는 희석비율 $40.0{\sim}51.05\%$(v/v)으로 일반적인 강과 하천수에 비해 강한 독성을 보이고 있다. LAS 단독물질로 실험했을 경우 $EC_{50}$$3.7{\sim}3.8$ ppm으로 나타났다. 3. Tabata의 오염물질에 따른 5개군의 적용계수에 근거 0.1을 실험결과에 적용하여 온천천에 생물환경에 허용될 수 있는 희석비율 $4.0{\sim}5.1\%$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는 온천천이 가정하수나 유역의 산업폐수로부터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으며, 합성세제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LAS가 반치사농도 이상으로 오탁되어 있고 그 외 알지 못하는 복잡다양한 물질들이 서로 혼합되어 독성을 야기시키고 있음을 말해준다. 4. 수영만 해수의 수질을 고려하여 유입수가 수영만 생물에 미치는 독성의 범위를 파악한 결과 만내 COD값이 12.2ppm 이상 되는 해역은 해를 입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수영천, 동천 및 보수천의 수질분석 결과, 유량과 유입되는 지점의 해수류동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온천천과 유사한 형태의 악영향을 예상할 수 있다.

  • PDF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에너지수지에 미치는 PCBs의 영향 I. 곤쟁이에 미치는 PCBs의 급성 및 만성영향 (Effects of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 on Energy Budget in Mysid, Neomysis awatschensis I.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PCBs on Mysid, Neomysis awatschensis)

  • 진평;신윤경;전은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5-103
    • /
    • 1998
  • 연안 및 천해에 서식하는 반부유성 갑각류인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를 대상으로 수온별 PCB의 시험농도에 따른 생물검정, 성장, 호흡 및 질소배설 등을 측정하여 PCB의 영향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곤쟁이에 미치는 PCB의 96시간 후의 반수치사 농도 (96 hr.-$LC_50$)는 $10^{\circ}C$에서 28.7492ppb, $20^{\circ}C$에서는 10.6742 ppb였다. PCB의 만성농도에서 약 60일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은 $10^{\circ}C$의 경우, 0.5ppb에서 $85\%$, 1.0ppb에서 $80\%$ 였으며, 1.5ppb와 2.0ppb에서는 $75\%$를 나타내었으며, $20^{\circ}C$의 경우는 0.5ppb에서 $85\%$, 1.0ppb와 1.5ppb에서 $75\%$, 그리고 2.0ppb에서는 $65.0\%$를 나타내었다. PCB의 각 만성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평균체장성장율은 $10^{\circ}C$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0.039mm10ay, PCB농도 2.0ppb에서는 0.036mm/day를 였으며, $20^{\circ}C$에서는 대조구에서 0.072mm/day, 2.0ppb에서 0.039mm/day를 나타내었다. PCB는 탈피간체장증가율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탈피기간에는 개체의 크기와 수온에 따라 영향을 나타내었다. 수온별 PCB의 각 실험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호흡 및 질소배설량의 변화는 PCB 실험농도의 고수온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섭이 및 동화효율은 $10^{\circ}C$$20^{\circ}C$에서 PCB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암모니아 및 아질산 급성독성에 따른 무태장어(Anguilla marmorata) 치어의 영향 (Effects of Acute Toxicity of Ammonia and Nitrite to Juvenile Marbled Eel Anguilla marmorata)

  • 최종렬;박준성;황주애;이동길;김형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697-704
    • /
    • 202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level of acute TAN (total ammonia nitrogen) and NO2--N concentrations at pH levels of 6.0, 7.0 and 8.0 for 96 h in juvenile marbled eel Anguilla marmorata (total length 209.0±22.02 mm and body weight 13.0±5.01 g).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urvival rate of juvenile eel at TAN concentrations 0, 100, 200, 300, 400, and 500 ppm at pH 6.0, pH 7.0, and pH 8.0 were 100, 100, 96.7, 74.4, 31.1, and 0%; 100, 82.2, 61.1, 36.7, 0, and 0%; and 98.9, 55.6, 8.9, 0, 0, and 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urvival rate of juvenile eel at NO2--N concentrations 0, 100, 200, 300, 400, and 500 ppm at pH 6.0, pH 7.0, and pH 8.0 were 100, 43.3, 21.7, 0, 0, and 0%; 100, 76.7, 65.0, 43.3, 21.7, and 13.3%; and 100, 100, 100, 88.3, 78.3; and 58.3% respectively. The 96h-LC50 at pH 6.0, 7.0, and 8.0 were 332, 235, and 167 mg/L for TAN, and 188, 296, and 711 mg/L for NO2--N, respectively. The acute toxicity of TAN to juvenile eel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e in pH, whereas the acute toxicity of NO2--N to juvenile ell increased with low levels of pH and lengthening of exposure time to NO2--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