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opriative landscap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景觀構成要素로서의 石造形物의 造形美와 機能에 關한 硏究 (A Study on Structural Function and Beauty of Stone Monuments as Landscape Elements)

  • 이재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1-22
    • /
    • 1990
  • Culture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and advanced by stone as observed in prehistoric dolmen, menhir, megalith monuments, memo-rial stones, and others. The closs association of monuments is seen even in an earlist form of culture and is witnessed to evolve with human history. Korea, with its large quality granite repository, has been active with granite-based monuments in various forms of towers, bridges, and larterns. These stone structures are so abundant throughout Korea that Korea has been called the country of stone tower in Asia.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we survey these Korean memorial stone and monuments, found at roadsides, momerial buildings, village entrances, scenic places, schools, sermon halls, public pleasure ground, and other common places. Based on installation orientation, location, and size, a particular emphasis is on the structural value, meaning, beauty, and function of these momnuments coupled with trees, shrubs, water and appropriative landscapes.

  • PDF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공간의 시각적 관계 -영남지방 조선시대 15~16세기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Visual relationships between Sarangche Numaru, Sarang Madang and Outer space)

  • 김영현;신문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35-6142
    • /
    • 2012
  • 본 연구는 15~16세기에 형성된 영남지방 상류주택을 대상으로 입지별 상류주택의 사랑채 내부 공간, 누마루의 기능, 규모, 유형 등을 통해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특성을 비교하고 또한 입지별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과의 시각적 관계를 분석하여 조선 초기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내 외부 공간 특색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구릉지형의 경우 좌향과 상관없이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의 면이 단변을 이루고, 평지형의 경우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 면이 장변을 이루었다. 둘째, 구릉지형은 사랑마당이 주조망의 대상이 아니며 주변 산세를 조망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이 조망의 대상이면서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 안에 내부정원을 형성하고 개방된 입면을 형성한다. 셋째, 구릉지형은 조산을 외부차경으로 활용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을 조망대상으로 활용하고 사랑마당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내부정원을 형성하는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