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aisal Valid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황혜정;김경회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9-151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social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503 3- to 6-year-old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Social Competence Scal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s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confirmed. These factors were initiative, ability, and soci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mpetence Scale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as highly significant (r=.29, p<.001). Three sub-factors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otal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Among the six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5 were related to the total score of social competence. These were utilization of emotion, empathy,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relationship with peers.

  • PDF

기술신용평가모형의 타당성 검증 (A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for Technology/Credit Appraisal Model)

  • 김재범;조용곤;조근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1068-1071
    • /
    • 2005
  • 최근 들어 기술을 담보로 하는 신용금융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자금지원 대상기업의 기술평가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업 보유의 기술경영성과를 측정하여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민간 투, 융자를 위한 기술신용평가모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신용평가모델의 평가항목 타당성을 실증 분석한다. 모형의 항목 분류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적 타당성을 평가하며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신뢰성을 평가한다. 구조적 타당성 검정을 위해 확인 요인분석을 수행하며 평가모형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통계방법 중의 하나인 판별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기술개발 성공 및 부실발생의 예측력을 갖는 기술신용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척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ternal Happiness Scale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정계숙;박재국;박수홍;유미숙;최은실;서보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7-4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ernal happiness scale which can be used for mot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First, the maternal happines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consent of experts. Finally it was consisted of 56 items from 18 elements of happiness through checking the contents validity with professionals. Second, final respondents for the survey were 1300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eoul, Busan, Gyeonggi, and Kyungnam. Third, the 8 factors including the 53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the mothers' appraisal of the items and the review of the adequacy for the factor analysis. The 8 factors were consisted with 'Family relations with family', 'Laid-back life and self-esteem',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ependency and development', 'Spiritua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ppearance', 'Sociocultual environment'. Fourth, the maternal happiness scale demonstrated appropriate levels of construct validity, item internal consistency,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 and item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ore factors of maternal happiness. In addition,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mot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수술실간호사 업무수행평가 도구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Operating Room Nurses)

  • 박성애;박광옥;김명숙;윤계숙;이윤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1호
    • /
    • pp.71-8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formance tool to evaluate operating room nurses. Method: In the first stage, 59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fter two focus group meetings were carried out using as background a reference review. At this stage 59 items were developed. Next, the selected preliminary items were modified by an expert group of nurses with over 10 years experience, nurses holding doctoral degrees and professors in nursing. In the third and fourth stage, these items were analyzed by the expert group to determine validity and tested by hospital nurses with over 10 years experience to determine reliability Results: For the final tool, the 59 items, 47 item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dimension and 12 items for the competence evaluation dimension were found to be valid and reliable. Cronbach's $\alpha$ was .9622, a promising alpha value for the total instrument. Conclusion: This tool is an efficient performance evaluation instrument providing meaningful feedback for operating room nurses.

  • PDF

The Importance of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for Conducting Survey Research

  • Eungoo KANG;Hee-Joong HWANG
    • 연구윤리
    • /
    • 제4권1호
    • /
    • pp.1-7
    • /
    • 2023
  • Purpose: Poor anonymity and confidential strategies by a researcher not only develop unprecedented and precedented harm to participants but also impacts the overall critical appraisal of the research outcomes. Therefore, understanding and applying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in research is key for credible research. As such, this research expansively presents the importance of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for research surveys through critical literature reviews of past work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literature content approach to obtain proper literature dataset which was proven by high degre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only books and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The current authors have conducted screening procedure thoroughly to collect better fitted resources. Results: Research findings consistently mentioned the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principles are preserved and implemented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privacy of all individuals, establishing trust and rapport between researchers and study participants, as a way of critically upholding research ethical standards, and preserving the integrity of research processes. Conclusions: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are research ethical principles that help in providing informed consent to participants assuring subjects of the privacy of their personal data. As provided by research bodies and organizations, every research process has to incorporate the principles to meet credibility.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ar of Failure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Startup Business Candidate)

  • 김수진;한정화;이상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49-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중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계획된 행동모델의 변수들을 매개로 하여 미래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창업의도와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주로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창업의도를 높이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기업가적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에서는 소홀하게 다루어왔던 것에 주목하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 PFAI(Performances Failure Appraisal Inventory) 척도를 사용,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 등을 매개로 한 실증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상쇄시키는 역할로써 창업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각각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계획된 행동모델의 구성요소인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하여 각각 영향을 미침으로써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창업교육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을 수강한 집단에게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미약하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

혼합치열과 영구치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웹 기반 인공지능 두부 계측 분석에서의 비교 검증 (Comparative Validation of the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 at Web-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ephalometric Analysis)

  • 신선한;김동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5-94
    • /
    • 2022
  •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7 - 15세 사이의 혼합치열기와 영구치열기의 소아 및 청소년 환자에서 기존 교정 분석 방법과 인공 지능을 활용한 교정 분석 방법을 이용한 변수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교정 진단을 위해 측면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소아 환자 60명(혼합 치열기 30명, 영구치열기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V-ceph을 사용한 기존 분석 방법과 WebCeph를 사용한 딥 러닝 기반 분석 방법으로 1명의 검사자가 17개의 두부 측정 계측점을 식별하고, 22개의 측정 항목을 평가했다. 기존 분석 방법의 반복 측정으로 인한 오차는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었다. 혼합치열군과 영구치열군에 대한 각각 두 방법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혼합치열군에서 두 분석 방법의 차이는 8개의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PDI, SNA, SNB, Mandibular plane angle, LAFH (p < 0.001), Facial ratio (p = 0.001), U1 to SN (p = 0.012), and U1 to A-Pg (p = 0.021). 영구치열군에서는 두 분석 방법 간에 4개의 계측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DI (p = 0.020), Wits appraisal (p = 0.025), Facial ratio (p = 0.026), and U1 to A-Pg (p = 0.001).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기존의 교정 분석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딥 러닝 기반 교정 분석 시스템은 측정의 신뢰성과 유효성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하지만 소아 환자의 교정 분석을 위해 딥 러닝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인지하고 올바른 판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관평가 기반 수변구역의 경관관리 전략 - 경안천 수변구역을 대상으로 -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Landscape Assessment of Riparian Buffer Zone in the Han River: Focused on Gyeongan Stream)

  • 박창석;배민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903-916
    • /
    • 2012
  • We need to use aesthetic landscape assessment(ALA) as the means of riparian buffer zone(RBZ) management. This study verified the political validity of designation policy of RBZ and land purchas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BZ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LA of RBZ in Gyeongan Stream for the better attractive and healthy riparian landscapes. The natural type landscape units(LUs) covered 40.9% of the entire area and the cultivated land type LUs covered 20.58%. Landscape assessment consisted of landscape quality and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The criteria for assessing landscape quality(LQ) were naturalness, interest, uniqueness, and landscape function. LQ was ranked into five grades using a matrix. The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consisted of an inner integration assessment in each LU and outer integration assessment among LUs. To review the propriety of designating the riparian area and the riparian ecological belt, differences in ecological appraisal and aesthetic valuation were reviewed through a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of ALA, 29.15% of the entire area scored at grade 1 in LQ, while 31.95% scored at grade 5, indicating that grade 5 areas occupied a high share. Surveyed areas were divided into designated RBZ and undesignated RBZ. Results indicated that designated RBZ scored grade 1 in LQ took up 33.2% of the tota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3.3% taken up by undesignated RBZ. When examined according to buffer distance, grade 1 areas within 50m took up 50.2% of the total area, lower than the 32.7% at buffer distances of 500m-1km. Results indicated a 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analysis was undertaken for the expansion of designation of the riparian area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land for formation of a riparian ecological belt, and was designated at priority 1 and 2 for land purchase. This study can als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riverine eco-belt through discovery of design factors for upgrading the ecology, aesthetics, and landscape of the riparian area and application in determining land purchase priorities.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project)

  • 이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79-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본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설계하고 이를 사업평가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설정하였고, 개발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현장 평가를 진행하여 <인생나눔교실> 사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 영향과 사업 내용의 적정성 지표가 20개의 지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17년 5개 지역주관처의 현장평가를 실시한 결과, 탁월 및 우수 등급이 4개 기관, 보통 등급이 1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생나눔교실>의 사업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평가를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아직 피평가자의 수용성과 효용성에 대해서는 평가지표에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매년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재설정하여 평가모형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