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orchard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7초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 김향미;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9-90
    • /
    • 2021
  •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Occurrence and Analysis of Apple Blotch-like Symptoms on Apple Leaves

  • Back, Chang-Gi;Lee, Seung-Yeol;Kang, In-Kyu;Yoon, Tae-Myung;Jung, He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29-434
    • /
    • 2015
  • Apple blotch-like symptoms (ABLS) were observed on 'Fuji' apple leaves in Cheongsong, Gunwi and Yeongcheon apple orchards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during 2010-2014. Characteristics of ABLS were yellowing, brown spots on leaves, and defoliation, similar to apple blotch diseased (ABD) leaves, which are infected with Marssonina coronaria.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y eye between ABLS and ABD, which has led to misdiagnosis and overuse of fungicid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ABLS using stereomicroscopy, culture isolation, cross-sectional analysis of leaves, and PCR. No acervuli were found on the surface of ABLS leaves and no growth was observed on potato dextrose agar (PDA) plates in culture. Furthermore, cross-sectional analysis revealed similar results, and mycelia were absent in ABLS leaves. By contrast, all these characteristics were present in ABD leaves. Furthermore, no fungi or viruses were detected in ABLS leaves by PCR, suggesting that the disease is not caused by these ag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LS might be a physiological disorder in plants that is distinct from ABD.

사과원에서 사과면충과 사과면충좀벌의 발생동태 및 살충제 실내검정 (Population Dynamics of Eriosoma lanigerum (Hemiptera: Aphididae) and Aphelinus mali (Hymenoptera: Aphelinidae) in Apple Orchards and Screening Effective Insecticides in the Laboratory)

  • 김동순;양창열;전흥용;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9-325
    • /
    • 2009
  • 사과면충은 지하부 대목부 및 흡지에서 성충 및 약충 상태로 월동하였고, 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사과원의 주간부에서 콜로니는 4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1차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그 후 감소하였다가 7월 하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하순에도 1차 발생최성기 규모의 발생량을 보였다. 발생량은 주 당 3.5개를 넘지 않았으며, 연간 2개 내외로 유지되었다. 사과면충좀벌 기생률은 지제부 보다는 지상부에서 기생률이 높았고, 사과면충 발생농가 조사결과 기생률이 최고 70% 이상이었다. 사과면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검정 결과 fenitrothion, dichlorphos, machine oil, methidathion, thiacloprid, imidacloprid 등 약제의 살충률은 각각 97.8, 96.8, 95.4, 91.5, 26.7 및 7.8% 이었다. 또한 동일한 약제에 대한 사과면충좀벌 머미의 성충으로 우화율은 각각 51.2, 72.6, 14.2, 3.5, 72.2 및 85.4% 이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진딧물 적용약제들의 살충률은 낮았으며, fenitrothion 및 dichlorphos는 사과면충에 대한 살충률이 높고 천적에 비교적 저독성이어서 종합관리 시 동시방제 약제로 적당하였다.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4-16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 잡초방제법(雜草防除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산(牙山)과, 예산(禮山) 2개(個) 지역(地域)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특성분석(社會的特性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8과(科) 48종(種)이 발생(發生)했으며 명아주, 여뀌가 우점(優占)하였고 바랭이, 쇠비름, 망초가 차우점(次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4월(月),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많았으며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월년광엽잡초(越年廣葉雜草)와 월년화본과잡초(越年禾本科雜草)는 봄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또한 연간(年間)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을 보면 3월(月)에 발생(發生)하여 초여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월동잡초(越冬雜草)인 냉이, 둑새풀 이었으며 4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여뀌, 명아주였고 6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바랭이, 쇠비름 등(等)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最大種) 다양도(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의 발생생태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on Apple Tree in Kyungpook, Korea)

  • 김동아;이순원;이준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84-95
    • /
    • 1998
  •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초래했던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은 후지 등의 새로운 사과 품종 도입과 농약의 개발로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최근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후지 등의 신품종에도 발병되기 시작하여 농약 관행방제 과수원에서도 조기낙엽 등의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경북지역 사과주산지를 중심으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상황과 포자비산상황 등 발생생태와 기상, 재배품종, 재배관리 및 방제방법 등에 따른 갈색무늬병의 다발생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갈색무늬병은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이후 대부분의 과수원에서 발생하였고, 9월이후에는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은 해에 발생이 많았다. 병원균의 포자비산은 5월부터 시작되어 10월까지 계속되었고, 8월에 최고의 peak를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8~9월에 전체 포자비산량의 70% 이상이 비산되었는데 강우가 많을 때 비산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에 있어서 북부 산간지역인 영주, 청송, 안동에서 대체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많았고, 남부지역인 군위와 영천에서는 상대적으로 발병이 낮았다. 재배품종별로는 홍옥에서 발생이 가장 많았고, 조나골드과 세계일은 중간 정도이며, 다음으로 주품종인 후지, 쓰가루 순이었다. 갈색무늬병은 관수와 배수가 불량하고 밀식으로 투광,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시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재배관리상태가 나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방제에 있어서는 약제살포량이 적고, 약제살포간격이 길어 방제가 소홀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Efficacy of Commercial Mating Disruptors on Field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s (Busck))

  • 정성채;박천우;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06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교미교란제인 SPLAT$^{(R)}$와 Isomate$^{(R)}$-ROSSO의 교미교란효과를 각각 영천과 경산 및 청송과 영주에서 조사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야외 집단의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네 지역에서 모두 월동세대 개체군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교미교란제는 분석시기 10일 전에 포장에 처리되었으며, 두 교미교란제 모두는 수컷의 성유인물 탐지능력을 억제시켰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교미교란제를 비교하면 SPLAT 형태가 Isomate 형태보다 교란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교미교란 효과는 조사기간 동안 복숭아순나방의 피해로 여겨지는 신초 피해를 억제하는 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After-infection Activity of Protective Fungicides against Apple White Rot

  • Lee, Dong-Hyuk;Kim, Dae-Hee;Woo, Hyun;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66-173
    • /
    • 2007
  • In a trial to select suitable fungicides for developing a spray program that can control apple white rot effectively, after-infection activities in some protective fungicides were detected. Six fungicides, mancozeb, propineb, benomyl, folpet, azoxystrobin and iminoctadine-triacetate, which had been extensively used in apple orchards, were sprayed on 12-year-old apple trees (cv. Fuji) at 15-day intervals from late May to late July. Disease incidences and infection frequencies of the fruit bagged just before and soon after each spray were examined. When the infection frequency or disease incidence of the fruit bagged after each spraying of fungicid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ruit bagged before spraying, the fungicides appeared to confer after-infection activity. The six fungicides showed diverse activities on white rot: folpet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disease development, iminoctadine-triacetate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infection, azoxystrobin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disease development and infection, and mancozeb, propineb and benomyl showed no distinct activity. The activity of a fungicide became much higher when it was sprayed alternately with other fungicide rather than successive spraying of the same fungicide.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these protective fungicides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highly effective spray program against white rot.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 (Management of Grapholita molesta and Carposina sasakii Using Mating Disruption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 이선영;최경희;도윤수;이순원;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3-110
    • /
    • 2014
  •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밀식사과원의 정지전정에 따른 수체생장과 생산성 및 경영효율 비교 (Tree Growth, Productiv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High-Density Apple Orchards according to Training Systems in Korea)

  • 정혜웅;김경훈;송태영;홍성일;한호균;김귀권;신종협;여덕환;김병철;박준권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39-49
    • /
    • 2017
  • 수형을 달리하여 재식 이후 일관되게 관리하여온 왜성사과밀식재배에서 재식 후 7-9년차 수체에 대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 그리고 생산된 과실의 품질을 비교하는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과원관리체계의 핵심기술인 수형과 전정방법을 일반대목 개심형(T-1), 왜성대목 썬플러스형(T-2), 세장방추형(T-3), 쏠렉스형(T-4), 세형방추형(T-5), 키큰방추형(T-6), 고밀식형(T-7)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상기 비교시험 결과, T-5와 T-6 체계로 전정하고 관리 받은 사과원이 수체생장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고 또한 생산된 과실의 품질도 우수하였다. 또한 경영효율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T-5와 T-6 체계에 의해 전정한 사과원이 여타 전정으로 관리된 왜성사과밀식재배에 비해 월등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Evaluation of crab apples for apple production in high-density apple orchards

  • Kwon, Soon-Il;Yoo, Jingi;Lee, Jinwook;Moon, Yong-Sun;Choi, Cheol;Jung, Hee Young;Lee, Dong Hoon;Kim, Chang Kil;Kang, I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71-276
    • /
    • 2015
  • Crab apple cultivars, 'Maypole', 'Tuscan', and 'Manchurian', were evaluated as potential pollinizers of major apple cultivars, 'Fuji', 'Hongro', and 'Tsugaru', cultivated in high-density apple orchard systems. Numerous cultivar characteristics, including blooming time, pollen germination, fruit set, disease and pest resistance, and self-incompatibility, were examined. The blooming times of both 'Maypole' and 'Tuscan' ranged from April 19 to May 5, which was 2-4 days earlier than those of the major commercial apple cultivars. PCR analysis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any of the S-alleles (S1, S3, S7, or S9) identified in major commercial apple cultivars.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fruit set was high after tree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with crab apple pollen. Artificially cross-pollinated fruits were of similar or higher quality than open-pollinated fruits. They also demonstrated resistance to apple blotch, sooty blotch, and fly spec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crab apples, 'Maypole' and 'Tuscan' w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pollinizers of major apple cultivars in Korea. Use of the pollen of these crap apples in commercial production will improve fruit quality and promote sustainable and robust fruit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