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endage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5초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의 Zoea 유생기에 출현하는 동일영기군 속의 개체변이체에 대한 형태학적 고찰 (MORPHOLOGICAL VIEW ON BIG INDIVIDUALS APPEARED IN THE SAME AGE GROUP OF ZOEA LARVA,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

  • 권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6-144
    • /
    • 1974
  • 1. 사육수조에서 교모 포난시킨 친하로부터 부화된 유생을 순환식 이중수조내에서 수온 $26\pm0.3^{\circ}C$, Chlorioity $6.21-6.45\%$ Cl., pH $8.\~8.1$, 조도 3,000 lux의 조건하에서 Artemia salina nauplius를 먹이로 급여하여 사육했다. 2. 동일영기군에서 출현하는 개체변이체(숙성이)와 표준형개체 사이의 형태적 차이를 비교하여 숙성이의 출현영기와 관련이 있는 제4영기로부터 제9영기의 각 부속지의 발생과정을 관찰한 결과, 본종에 있어서도 개체성장의 변이에 의한 숙성이가 출현하기 쉬운 영기(제5영기와 제7영기)가 존재하며 이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은 섭이요인과 관련이 큰 것으로 보인다. 3. 동일영기군의 숙성이를 외형적인 형태학적 면으로 기관의 분화정도로써 표준형의 개체와 비교 조사한 결과 동일영기군에서 출현하는 숙성이의 각 부여기관은 부분적으로는 영기가 발전된 개체의 특징도 구비하지만 또 다른 면으로는 그 영기의 표준형의 특징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각 영기의 특징은 개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영기의 특징을 부분적으로나마 명확히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본종에 있어서의 개체변이체는 한 영기를 완전히 비약성약하여 그 다음 영기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고 부속기관의 분화속도가 부분적으로 이시성을 나타낼 따름이므로 완전한 skipping 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4. 유생의 부속기의 발생분화는 일과적으로 개체변이가 크지만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안정성을 가지는 부분과 이와 반대로 변이의 감수성이 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한 개체내의 각 부속기의 분화, 발생은 부위에 따라 이시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5. 각 영기의 노정은 종래와 같이 탈피후의 1개체의 전체 부속기의 변화된 정도에 따라 정할 것이아니라 전술한 환경요인의 변동에 대해서 극히 안정성을 띄는 부속기관을 지표로 하여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 PDF

서식환경에 따른 통발속(Utricularia) 포충낭의 형태 분화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Trap in Aquatic and Terrestrial Utricularia Species)

  • 이경란;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37-244
    • /
    • 2010
  • 주머니 형태의 흡입식 포충낭을 형성하는 통발속(Utricularia) 식물은 포충낭에 발달하는 감각모 및 다양한 분비모로 능동적인 식충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속에 서식하는 수생형 통발(U. japonica)과 땅속에 서식하는 지생형 땅귀개(U. livida)2종 포충낭의 형태적 분화 특성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들 2종의 포충낭 내부 및 외부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먹이 감지구조 및 감각모와 분비모의 분화양상은 서식환경에 따라 매우 상이하였다. 수생형 통발의 포충낭 입구에는 분지된 안테나 및 부속지들이 위치하고, 덧문에는 감각모 4개가 분포하였다. 포충낭의 외부 표피조직에는 반구형의 작은 단세포 분비모들이 산재하나 내부로 향한 입구 부위에는 무병 및 capitate형 분비모들이 점액물질을 분비하여 덧문을 여닫으며 먹이 포획을 하였다. 포충낭 내부 전체 표피표면에는 4분지모들이 밀생하나, 2분지모들은 덧문 하단의 일부 조직에만 수직으로 발달하였다. 반면, 지생형 땅귀개의 포충낭 입구에는 내부를 향하면서 좁아지는 누두상의 먹이 접촉 및 감지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들의 배축면에는 다세포성 비분비모들이 규칙적으로 배열하나 향축면에는 여러형태의 분비모가 밀생하여 입구를 피복하며 덧문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았다. 덧문에는 2개의 감각모가 발달하며 포충낭 내부에는 H-자 형태의 4분지모가 소수 발달하였고, 2분지모는 덧문 하단 표면에 수평으로 배열하였다. 먹이 유입 시 이들 분비모에서는 다량의 분비물질이 분비되어 포충낭 내부 전체표면을 피복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수생 및 지생 통발 2종 포충낭의 형태 분화 및 구조적 특성이 이후 흡입식 포충낭에서의 식충기작 및 세포수준에서의 미세구조 연구에서 유용한 중요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노출에 따른 조간대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의 생태독성학적 판정점 제시 (Ecotoxicological End-points on Intertidal Mud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following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Exposure)

  • 김원석;박기연;차밀라니;곽인실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11-318
    • /
    • 2014
  •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노출에 따른 Macrophthalmus japonicus의 생태독성학적 판정점을 탐색하고자 생존율, 부속지 탈락 수, 갑각 및 내장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PFOS 노출에 따른 생존율의 감소는 농도 의존적 패턴을 보여 상대적 고농도인 PFOS $30{\mu}gL^{-1}$에서 168시간 노출시 24%의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부속지 탈락은 대조군에 비해 PFOS 노출군에서 탈락빈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갑각색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FOS 노출군에서는 백화현상이 농도의존적 패턴으로 관찰되었다. 내부 장기의 색 선명도도 PFOS 노출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양 저서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적 주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광릉늑대거미 (Arctosa kwangreungensis) 배후발생과정의 조직 미세구조 분석 (Histologic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he Wolf Spider Arctosa kwangreungensis (Araneae: Lycosidae))

  • 양성찬;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1호
    • /
    • pp.17-26
    • /
    • 2012
  • 배회성거미류의 배후발생과정에서 형태적 분화가 행동학적 특성으로 발현되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 후기배아와 각 발생 단계의 유충을 실험재료로 그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난황주머니를 가진 후기배아는 부속지의 근육조직과 신경절의 미분화로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며, 시각기의 신경절과 신경의 발달도 미약하였다. 제1령 유충의 두흉부에서는 미분화된 세포집단이 관찰되고 체색의 발현과 복부신경절의 분화가 현저하였다. 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의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섬유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성체와 유사한 부속지의 분절구조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체제가 확립되었다. 제3령 이후의 유충들은 탈피를 거듭하여 두흉부에서 중추신경계가 차지하는 영역이 축소되었고 독선과 근육조직, 그리고 결합조직등의 활발한 분화가 진행되었다. 먹이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 단계에서 부속지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발생과 이를 통제하는 신경계의 분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미루어, 섭식환경이 배후발생과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과 부속지에 의존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배회성거미류의 행동 습성이 형태조직학적 분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생형 통발(Utricularia japonica)의 흡입식 포충낭 형태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Suction Trap in Aquatic Utricularia japonica)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109-1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뿌리 없이 분지된 줄기에서 기원한 포충낭으로 먹이를 빠르게 포획하는 수생형 통발 포충낭의 형태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입구 부위 및 덧문에 발달하는 구조들이 능동적 먹이 포획에 있어 다른 어느 구조보다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화되어 있다. 포충낭 입구에는 분지된 안테나 및 부속지들이 위치하고, 덧문 중앙 부위에는 4개의 감각모가 발달하여 먹이의 접촉자극을 감지하였다. 자극신호는 입구의 무병, 유병의 다양한 capitate형 분비모들이 소수성 점액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이들을 피복하며 덧문을 닫아 먹이를 포획하였다. 덧문 안쪽의 threshold는 입구부분, pavement epithelium 층, 내부 구역으로 구분되며, 입구와 내부구역의 중간에 있는 pavement epithelium 층에는 소수성 큐티클이 피복된 밸름층이 형성되었다. 먹이가 포충낭의 내강으로 들어오면 내벽에 발달하는 2분지선과 4분지선들이 효소 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이들을 소화 및 흡수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이와 같이 통발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안테나, 감각모, 덧문, capitate형 분비모, 내벽의 분지선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와 기능이 분화되어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였다. 이후 포충낭의 분화발생을 생장단계별로 추적 연구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접목시키면 더 유용한 통발속 포충낭 구조 자료가 될 것이다.

Redescription of Two Species of Triconia (Copepoda, Cyclopoida, Oncaeidae) Based on Their First Records in the Tropical Pacific

  • Cho, Kyuhee;Kim, Woong-Seo;Lee, Wonchoel
    • 환경생물
    • /
    • 제35권1호
    • /
    • pp.64-82
    • /
    • 2017
  • Two species of the minuta-subgroup within the oncaeid copepod genus Triconia $B{\ddot{o}}ttger$-Schnack, 1999 collected in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are newly recorded. A female T. minuta (Giesbrecht, 1893 ["1892"]) and both male and female T. umerus ($B{\ddot{o}}ttger$-Schnack and Boxshall, 1990) from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are redescribed with the comparison of its morphological details, which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the larger body size, the length to width ratio of the genital double-somite, the relative length of the outer basal seta on P5, and the ornamentation of the appendages. The characters, which are used for identification, such as the length ratio of the outer subdistal and outer spine versus the distal spine on P3-P4, and the outer spine length of the middle exopodal segment on P3 and P4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formation on the variations in the endopodal spine lengths of swimming legs 2-4 is also provided for T. minuta and T. umerus, with the summary of the wide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se two species.

성구동물에서 발견한 Catinia Plana Bocquet and Stock의 재기재와 Myzomolgus속의 2신종 기재 (Coprpoda, Poecilostomatoida, Catiniidae) (Redescription of Catinia plana Bocquet and Stock, 1957 and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Myzomolgus (Copepoda , Poecilostomatoida, Catiniidae) Associated with the Sipunculans in Korea)

  • Kim, Il-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71-89
    • /
    • 2001
  • Catiniidae과의 모식속이자 모식종이며 불완전하게 기록된 Catinia plana Bocquet and Stock을 모식 표본의 재조사를 통하여 재기재 하였다. 부속지의 구조, 특히 대악과 제2소악의 구조를 재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동일 과에 속하며 지금까지 단형속이었던 Myzomolgus속의 2신종을 기재하였다. 이들은 각각 한국산 성구동물 Sipunculus nudus Linnaeus와 Siphonosoma cumanense (Keferstein)의 피부에 공생한다. Myzomolgus속의 종들을 비교한 결과, 이들은 여러 가지 동질적인 형태를 공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속은 확실한 속임이 판명되었다. Catiniidae과의 5속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검색표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수산지(韓國水産誌)』의 조사방법과 통계자료의 문제점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Problems in Statistics of The Chronicle of Korea Fishery)

  • 이근우
    • 수산경영론집
    • /
    • 제45권3호
    • /
    • pp.39-53
    • /
    • 2014
  • This paper is to survey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problems in statistics of The Chronicle of Korea Fishery. The contents of The Chronicle were researched by two groups. One group is the managers of every province, the other group is the officers of every county. The managers performed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and field study and also arranged the reports from the county officers. But the managers seemed not to pay the full attention about the consistency of contents. The main contents about fishery are the number of coastal households and population, the number of fishery households and population, the number of fishing boats and fishing net. The body of The Choronicle and the table of fishing affairs in the appendages must be carefully compared to use the statistics. Though these statistics lack the consistency, the number of fishery households and boats deserves the attention. The fishing households account for less than 3% of all households, and about one third of fishing households has fishing boat.

한국 남해안산 쥐노래미에 기생하는 연충류 (The helminthic parasites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Jordan et Starks, from the Korean southern sea)

  • 김기홍;허성회;지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42
    • /
    • 1997
  • 한국 남해안에서 채집한 쥐노래미를 대상으로 기생성 연충류를 조사한 결과 아가미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 Prosomicrocotyla gotoi, 1종과 장관에 기생하는 흡충류, Opecoelus sphaericus, 1종이 발견되었다. 이 두종은 모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기록되는 미기록종들이었다. P. gotoi는 후고착반(opisthaptor)이 두갈래로 나뉘어진 frill형태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유사종인 P.chirii와는 고환과 clamp의 수에 의해 구별되었다. O. sphaericus는 복흡반의 가장자리에 3쌍의 손가락 모양 돌기가 나 있었으며, 유사종인 O. nipponicus와는 고환의 위치에 의해서 구별되어졌다.

  • PDF

Pod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Caused by Choanephora cucurbitarum

  • Kwon, Jin-Hyeuk;Shen, Shun-Shan;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354-356
    • /
    • 2001
  • In August 2001, pod rot of cowpea caused by Choanephora cucurbitarum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fields of the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Korea. Initial symptoms of the disease were the appearance of water-soaked, dark-green lesions and followed by rapid rotting of the infected tissues. As the disease progressed, whitish mycelia and monosporous sporangiophore with monosporous sporangiola were produced on the lesions. The fungus produced white to pale yellowish brown mycelia with scattered monosporous sporangiophore and monosporous sporangia containing sporangiospores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onosporous sporangiophore was long, slender and branched at the apex, with each branch bearing a sporangiospore. Sporangium was subglobose in shape and 42.6-112.6 ㎛ in size. Monosporous sporangiola were elliptic, fusiform or ovoid, brown in color, and 9.8-23.4$\times$7.2-12.8 ㎛ in size. Sporangiospores were elliptic, fusiform or ovoid in shape, dark brown or brown in color, 12.9-24.6$\times$8.6-15.4 ㎛ in size, and had three or more appendages. Zygospores were black and 43.6-72.4 ㎛ in size. The fungus grew on PDA at 15-40$\^{C}$, and optimum temperature was 30$\^{C}$.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od rot of cowpea caused by C. cucurbitarum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