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odemus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초

활엽수(闊葉樹) 천연림(天然林) 지역(地域)에서 서식지(棲息地) 구조(構造)에 따른 소형(小型) 포유류(哺乳類) 개체군(個體群)의 차이(差異) (Differences in Small Mammal Populations Due to Different Habitat Structure in Natural Deciduous Forest)

  • 임신재;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79-184
    • /
    • 1999
  • 이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내 국유림의 활엽수 천연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산림 작업에 의해 변화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1996년 5월에서 11월까지의 기간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소형포유류를 4주 간격으로 생체포획용 덫을 사용하여 7회에 걸쳐 포획-재포획 법을 통해 포획을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는 흰넓적다리붉은쥐(45.1%, n=64)와 대륙밭쥐(54.9%, n=78)의 2종이 포획되었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는 벌채지와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는 간벌지와 비벌채지에서 각각 포획되었다. 월별 포획된 소형 포유류의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비벌채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벌채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포획된 지역별 개체군의 동태 역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별로 성숙 개체들의 체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의 경우 벌채지보다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의 경우 간벌지보다 비벌채지에서 포획된 개체들의 체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구조에 따라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가 소형 포유류의 종 구성 및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rosurveillance of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near the DMZ, Northern Gyeonggi-do, Korea, and Analysis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Chiggers from Mammals Examined

  • Kim, Heung-Chul;Lee, In-Yong;Chong, Sung-Tae;Richards, Allen L.;Gu, Se-Hun;Song, Jin-Won;Lee, John S.;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237-243
    • /
    • 2010
  • Comprehensive quarterly serosurveillance on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loc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OK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rodent-borne and associated ectoparasite disease risks to military personnel. A total of 1,196 rodents and insectivores representing 8 species, Apodemus agrarius (87.3%, n = 1,044), Mus musculus (5.4%, n = 65), Crocidura lasiura (3.3%, n = 40), Microtus fortis (2.6%, n = 31), Micromys minutus (0.3%, n = 4), Tscherskia triton (0.3%, n = 4), Rattus norvegicus (0.3%, n = 4), and Myodes regulus (0.3%, n = 4) were assay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antibodies were detected in 6 of 8 species and seroprevalence determined; A. agrarius (45.6%), M. musculus (23.1%), M. fortis (48.4%), M. minutus (50.0%), T. triton (50.0%), and R. norvegicus (25.0%). A total of 31,184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508 rodents and insectivores were slide-mounted and 10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Leptotrombidium pallidum (53.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followed by L. pal pale (15.7%), Neotrombicula tam/yai (14.3%), L. orientate (10.7%), L. zetum (3.1%), Walchia fragilis (2.1%), and L. gemiticutum (0.8%), while the remaining 3 species, L subintennedium, N. gardellai, and Euschoengastia koreaensis were rarely observed (prevalence < 10%). In contrast to previous surveys, higher chigger indices of the primary scrub typhus vectors, L. pallidum (165.4), L. orientale (45.0), and L. palpate (21.4), were observed during the spring season.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 이용 (Diets and Foraging Tactics of Eurasian Eagle Owls(Bubo bubo) in Two Different Habitat Types)

  • 남현영;이우신;최창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7
    • /
    • 2007
  • 한국중부 지역에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를 확인하고 서식 환경에 따른 먹이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냥흔적 및 먹이 잔존물 82개, 소화되지 않은 먹이 덩어리인 펠릿(pellet) 55개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류, 포유류 및 곤충으로 구성된 총 150개체의 먹이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조류의 이용 빈도(56.67%) 및 생물량(78.04%)이 가장 높았다. 집쥐류(Rattus spp.), 꿩(Phasianus colchicus), 등줄쥐(Apodemus agrarius)를 흔히 이용하였으나, 생물량 측면에서 꿩이 가장 중요한 먹이로 나타났다. 척추동물을 기준으로 한 수리부엉이 먹이의 평균 생물량은 503.3g으로서 비교적 다양한 크기의 먹이를 포식하였으나, 개활지 보다 산림지역에서 더 크고 다양한 먹이를 이용하였다. 산림지역에서는 꿩과 원앙(Aix galericulata) 등의 조류를 많이 포식하였으나, 특정 분류군을 선호하기 보다 적정 크기의 먹이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개활지에서는 소형의 특정 포유류(설치류)에 의존하면서 큰 생물량을 가진 꿩 등의 조류를 일부 이용하는 기회주의적인 먹이습성을 보였다.

가항늪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의 먹이원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iet Items of American Bullfrog (Lithobates catesbeianus) in Ga-hang Wetland, Korea)

  • 박창득;이창우;임정철;양병국;이정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5
    • /
    • 2018
  • 본 연구는 황소개구리의 성별 및 성숙도, 시기에 따른 먹이원 및 포식 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상남도 창녕군 가항늪에서 진행하였다. 황소개구리 먹이원은 위 절제술을 통해 위에서 직접 수집하였으며, 위 내용물을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연구결과, 황소개구리는 크고 무거운 개체일수록 많은 양의 먹이를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및 성숙도에 따른 포식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기간 동안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은 곤충강(개체 수 평균 비율 65.5%)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갑각강(13.5%), 복족강(7.9%) 순으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는 곤충강의 물자라(Muljarus japonicus)를 가장 많이 포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박새(Parus major), 등줄쥐(Apodemus agrarius), 땃쥐(Crocidura lasiura) 등도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으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는 습지생태계의 교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과들은 환경부 생태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는 황소개구리가 습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의 척추동물상과 종분화 및 지사학적 역사 (Vertebrate Fauna, Speciation and Geological History in the Cheju Island)

  • 심재한;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2-57
    • /
    • 1998
  • 제주도 척추동물상에 관한 문헌을 정리한 결과 제주도산 담수어류는 9목 12과 24종, 양서류는 2목 6과 9종, 파충류는 2아목 5과 10종, 조류는 18목 49과 4아과 236종, 포유류는 6목 9과 16종으로 총 35목 2아목 80과 4아과 295종이 분포,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즈도의 특산 척추동물은 제주족제비(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등줄쥐(Apodemus agrarius chejuensis), 제주멧밭쥐(Micromys minutus hertigi) 및 제주땃쥐(Crocidura russula quelpartis)등 4종의 포유류가 있고, 조류는 제주오목눈이(Ageithalos caudatus trivirgatus), 제주동고비(Sitta europaea bedfordi), 제주밀화부리(Eophona personata personfumigatus), 제주박새(Parus major minor) 및 제주휘파람새(Cettia diphone antans) 등 7종이며, 양서류는 유미류의 제주도롱뇽(Hynobius leechii quelpartis) 1종 등, 총 12아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한편 본토에는 서식하지 않고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종은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과 무태장어(Anguilla mauritiana)이다. 제주도는 신생대 3기말에서부터 4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지질학적으로 빙하기가 시작되는 Donau 빙하기 이후부터 척추동물이 이주하여서식하기 시작하였고, 제주도가 형성된 후 척추동물이 생존하기에 적합ㅎ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중기 홍적세 이후 현세로부터 약 30만년전부터 빙하기와 간빙기의 반복과 더불어 본토집단과 지리적 격리가 거듭되면서 척추동물의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 PDF

서귀포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분포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Sampled in Seogwipo)

  • 이혁재;박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4-350
    • /
    • 2019
  • Orientia tsutsugamushi 감시를 위한 털진드기 분포를 제주도 서귀포시 일원에서 조사 하였다. 총 20개의 채집기를 이용하여 논, 밭, 수로, 초지(4개 지점)에서 털진드기 유충을 9~11월까지 매주 1회씩 채집한 결과 개체수는 3종 51마리가 채집되었다.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분포 감시를 2018년 3월부터 11월까지 한달에 한번씩 9개월 동안 논, 수로, 밭, 저수지, 야산(5개 지점)에서 Sherman traps 각 20개씩 100개를 설치해서 채집한 결과 64마리의 들쥐를 포획해서 trap index 0.08 이였다. 포획된 들쥐는 한 종류인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만 확인되었다. 시기별로는 4월에 15마리로 가장 많았고, 포획된 64마리의 야생 설치류에서 털진드기가 436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6.8이었으며 시기별 chigger index는 11월 46.0로 가장 높았고, 7월에 6.8, 6월에 4.6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기와 포획된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총 487마리에 대한 쯔쯔가무시 보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PCR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A Report of Chigger Mites on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in Southwest China

  • Chen, Yan-Ling;Guo, Xian-Guo;Ren, Tian-Guang;Zhang, Lei;Fan, Rong;Zhao, Cheng-Fu;Zhang, Zhi-Wei;Mao, Ke-Yu;Huang, Xiao-Bin;Qian, Ti-J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25-634
    • /
    • 2021
  •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s in 91 investigation sites (counties) in southwest China between 2001 and 2019, the present paper reported the chigger mites on A. agrarius mice in southwest China for the first time by using a series of statistical methods. From 715 striped field mice captured in 28 of 91 investigated sites, only 255 chiggers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identified as 14 species, 6 genera in 3 subfamilies under 2 families. Of 715 A. agrarius mice, only 24 of them were infested with chigger mites with low overall prevalence (PM=3.4%), overall mean abundance (MA=0.36 mites/host) and overall mean intensity (MI=10.63 mites/host). The species diversity and infestation of chiggers on A. agrarius were much low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on some other rodents in southwest China. On a certain species of rodent, A. agrarius mouse in southwest China seems to have a very low susceptibility to chigger infestations than in other geographical regions. Of 14 chigger species, there were 3 dominant species, Leptotrombidium sialkotense, L. rupestre and Schoengastiella novoconfuciana, which were of aggregated distribution among different individuals of A. agrarius hosts. L. sialkotense, one of 6 main vectors of scrub typhus in China, was the first dominant on A. agrarius. The species similarity of chigger mites on male and female hosts was low with CSS=0.25, and this reflects the sex-bias of different genders of A. agrarius mice in harboring different chigger species.

등줄쥐의 육교형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Use of Wildlife Bridge by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ius))

  • 정기영;이지훈;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7-346
    • /
    • 2023
  •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저감방안으로 육교형 생태통로가 건설되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있다. 생태통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족적트랩, 카메라트랩과 같은 모니터링 방법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얼마나 많은 개체가 이용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통로와 인근 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큰 소형포유류인 등줄쥐를 대상으로 포획-재포획 방법으로 개체 위치 파악을 통해 생태통로 이용 정도를 도출하고, 트랩 주변 환경 특성을 이용하여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도는 격자단위의 포획지점을 연결하여 이동 거리와 경로를 확인하였고,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은 트랩당 포획 횟수를 종속변수로 한 일반화 선형 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등줄쥐의 이동 거리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생태통로를 횡단하는 개체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등줄쥐는 생태통로를 통로보다는 서식지로 이용함을 확인하였다. 등줄쥐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 환경 특성은 층위별 식생피복량(1~2m, 2~8m, 8m 이상), 교목식생, 트랩 주변 최대 수목 흉고직경, 경사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태통로 조성 시 더 많은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고, 높은 경사와 절토사면 생성을 방지하여 생태계 내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등줄쥐 이용도를 높인다면 생태통로의 효과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lative Abundance of Vectors of Scrub Typhus in Jeonnam Province, Korea

  • 송현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7-370
    • /
    • 2011
  • Studies on the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vectors of scrub typhus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09 at the Jangseong of Jeonnam Province, Korea. Among the total 62 field rodents collected by the Sherman collapsible traps, 56 rodents were $Apodemus$ $agrarius$ (90.3%), 4 were $Crocidura$ $lasiura$ (6.4%) and 2 were $Cricetulus$ $triton$ $nester$ (3.2%). Out of the 62 field rodents, 39 were parasitized by chiggers, showing 62.9% of the infestation rate and 80.0 of the chigger index. Chigger index of $A.$ $agrarius$ and $C.$ $triton$ $nester$ were 79.9, 82.0, respectively. But chigger mite was not collected from $C.$ $lasiura$. From the trapped field rodents, 3,120 chigger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with 6 species of 2 genera. $Leptotrombidium$ $scutellare$,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was the dominant species, showing 2,276 chiggers (72.9%). $L.$ $pallidum$ was the second dominant species showing 346 chiggers (11.0%). The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was showed the different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seasons. $L.$ $pallidum$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April (34.8%), May (77.8%) and Jun (39.3%), whereas $L.$ $scutellare$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September (78.78%) and October (76.8%).

Current Status of Mammal Fauna on Jindo Island, Korea

  • Oh, Hong Shik;Park, Seon Mi;Kim, Yoo Kyung;Han, Sang Hyun;Lee, Hwa Jin;Ha, Jeong 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9호
    • /
    • pp.73-79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mammals that inhabit Jindo Island, Jeollanam-do,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6 to July 9, 2016. Using several survey methods, such as Sherman's live trap, footprint, caves, excretions, and road-kill investigations, the mammals observed on Jindo Island were found to be from 5 orders and 9 families, including 12 species in total. Among them, three species of small mammals were Mogera wogura, Crocidura shantungensis, and Apodemus agrarius. Additionally, two legally protected species were found through excretion observations. Lutra lutra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which were designated to endangered wild animal classes I and II, respectively. The survey results can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status of mammals in the Jindo-gun area, as well as for building a database for ecosystem 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