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ific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3초

치근단 형성술(Apexification)에 있어서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의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FOR APEXIFICATION)

  • 백병주;전소희;김영신;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00-708
    • /
    • 2001
  • 소아환자에 있어 외상성 손상은 미완성된 치근의 발육을 방해할 수 있다. 미완성된 치아의치수가 괴사된 경우 근관은 완전히 세척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apical stop이 부족하고 얇고 부서지기 쉬운 치수벽 때문에 적절한 apical seal을 얻기 위해서는 치근단 형성술을 시행해야 한다. 지금까지 수산화 칼슘이 치근단 형성술의 선택약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은 치료시기가 다양하고, apical closure도 불확실하며, 환자 follow up이 어렵고, 치료가 늦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인공적인 apical barrier를 형성시켜 근관의 즉각적인 충전을 할 수 있는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DENTSPLY Tulsa Dental, U.S.A)를 이용하였다. MTA는 tricalcium silicate, tricalcium aluminate, tricalcium oxide와 silicate oxide와 같은 친수성 입자로 구성된다. 또한 소량의 mineral oxide와 bismuth oxide powder를 포함한다. MTA는 경화후 pH가 수산화칼슘 또는 $Ca(OH)_2$와 유사한 12.5로 항균작용을 지닌다. 용해도가 낮고, 상아질보다 약간 더 큰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인다. 또한 다른 재료들보다 미세누출이 상당히 적고 다른 재료들보다 경조직 형성 능력이 뛰어나다. 본 증례는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외상으로 인해 치근단이 미완성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단 형성술을 위해 내원한 환아에 대해 MTA를 적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Biodentine-a novel dentinal substitute for single visit apexification

  • Nayak, Gurudutt;Hasan, Mohammad Faiz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2호
    • /
    • pp.120-125
    • /
    • 2014
  • Use of an apical plug in management of cases with open apices has gained popularity in recent years. Biodentine, a new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s a dentine substitute, whenever original dentine is damaged. This case report describes single visit apexification in a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necrotic pulp and open apex using Biodentine as an apical barrier, and a synthetic collagen material as an internal matrix. Following canal cleaning and shaping, calcium hydroxide was placed as an intracanal medicament for 1 mon. This was followed by placement of small piece of absorbable collagen membrane beyond the root apex to serve as matrix. An apical plug of Biodentine of 5 mm thickness was placed against the matrix using pre-fitted hand pluggers. The remainder of canal was back-filled with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and access cavity wa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followed by all-ceramic crown. One year follow-up revealed restored aesthetics and function, absence of clinical signs and symptoms, resolution of periapical rarefaction, and a thin layer of calcific tissue formed apical to the Biodentine barrier. The positive clinical outcome in this case is encouraging for the use of Biodentine as an apical plug in single visit apexification procedures.

MTA를 이용한 미성숙 영구치의 즉일 치근단형성술 (ONE-VISIT APEXIFICATION USING MINERAL TRIOXIDE AGGREGATE)

  • 염순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80-487
    • /
    • 2001
  • 소아청소년기에는 신체적, 정신적인 불안정성으로 인해 두개악안면부의 많은 외상이 발생하며, 종종 치아 및 주위 조직의 손상과 치수의 실활로 이어진다. 치근단이 완성된 후라면 통상의 근관치료를 시행하지만, 미성숙 치근단인 경우 치근단형성술을 통한 치근단 폐쇄가 요구된다. 기존의 수산화칼슘은 생체친화성이 우수하고, 정균적인 성질로 인해 치근단형성술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많은 내원횟수에 따른 환자의 협조도가 필요하고, 강도가 낮으며, 치근단이 넓은 경우 성공률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IRM이나 SuperEBA등을 이용한 즉일 치근단형성술의 경우, 환자의 내원은 줄일수 있으나 치근단 적용시 생체적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Mineral Trioxde Aggregate(MTA)는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변연폐쇄성을 그 특징으로 하며, 적절한 강도와 더불어 현재까지 근관치료 분야에서 유일하게 손상된 치근에서 백악질의 지속적 재성장을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에서는 넓은 치근단을 가진 수개의 실활된 미성숙 상악 영구중절치를 MTA를 이용한 즉일 치근단형성술을 시행하여 방사선투과성 및 병적인 임상증상의 감소등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reatment of non-vital immature teeth with amoxicillin-containing triple antibiotic paste resulting in apexification

  • Park, Hyon-Beom;Lee, Bin-Na;Hwang, Yun-Chan;Hwang, In-Nam;Oh, Won-Mann;Chang, Hoon-Sa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4호
    • /
    • pp.322-327
    • /
    • 2015
  • A recent treatment option for non-vital immature teeth in young patients is revascularization with triple antibiotic paste (TAP). However, tooth discoloration was reported with the use of conventional minocycline-containing TAP. In this case report, amoxicillin-containing TAP was used for revascularization of non-vital immature teeth to prevent tooth discoloration. At the 1 yr follow up, the teeth were asymptomatic on clinical examination and showed slight discoloration of the crown due to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filling rather than amoxicillin-containing TAP.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periapical radiolucency, and closed apex with obvious periodontal ligament space. However, the root growth was limited, and the treatment outcome was more like apexification rather than revascularization. These results may be due to unstable blood clot formation which could not resist the condensation force of MTA filling, whether or not a collagen matrix was in place. These cases showed that although revascularization was not successful, apexification could be expected, resulting in the resolution of the periapical radiolucency and the closure of the apex. Therefore, it is worthwhile attempting revascularization of non-vital immature teeth in young patients.

Observation of an extracted premolar 2.5 years after mineral trioxide aggregate apexification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 Lee, Gayeon;Chung, Chooryung;Kim, Sunil;Shin, Su-J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2호
    • /
    • pp.4.1-4.6
    • /
    • 2020
  •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pexification using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direct observation of extracted human teeth after the procedure has been rarely reported.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mandibular premolar treated 2.5 years ago and extracted recently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 tubercle of the right mandibular premolar of a 12-year-old boy with dens evaginatus was fractured and the pulp was exposed. The tooth was diagnosed with pulp necrosis and asymptomatic periapical abscess. During the first visit, copious irrigation was performed with 2.5% sodium hypochlorite. Calcium hydroxide paste was placed as an intracanal medicament. The sinus tract had disappeared at the second visit after 3 weeks. MTA was applied on to the bleeding point as a 4-mm-thick layer, followed by a 3-mm-thick gutta-percha filling and resin core build-up. After 2.5 years, the tooth and three other premolars were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 right and left mandibular premolars were scanned with micro-computed tomography to determine the root shape and canal anatomy. Irregular root growth was observed and the root outline of the right mandibular premolar differed from that of the contralateral tooth. Apexification with MTA leads to the formation of roots with irregular morphology, without any pulpal space.

치근단 형성술 후 약화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 보강: 증례보고 (REINFORCEMENT OF FRACTURE RESISTANCE AFTER APEXIFICATION : CASE REPORT)

  • 이영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7-403
    • /
    • 2012
  • 미성숙 영구치는 치아우식증, 외상, 비정상적인 치아 형태로 인한 파절 등에 의하여 치수 생활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치료법이 치근단 형성술로서 실활치의 치근단 치수 부위에 광화된 조직의 형성을 통하여 치근단 폐쇄를 유도한다. 현재 수산화칼슘 치근단 형성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데 근관 내에 수산화칼슘을 장기간 적용할 경우 치근단 경조직 형성을 유도할 수 있지만, 강한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치근 약화를 야기하여 치아 파절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근관 충전 시 치아보강을 위한 수복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생활력을 상실한 미성숙 영구치에서 장기간의 수산화칼슘 치근단 형성술 후 치아 보강을 위하여 MTA plug, 섬유강화형 포스트 그리고 복합 레진을 이용한 근관 충전을 시도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MTA APEXIFICATION OF TRAUMATIZED IMMATURE PERMANENT INCISORS: A RETROSPECTIVE STUDY)

  •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4
    • /
    • 2011
  •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