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 Curvature Radi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하악 대구치의 II형 근심 근관에서 치근단 부위의 만곡도 조사 (An evaluation of canal curvature at the apical one third in type II mesial canals of mandibular molars)

  • 윤혜림;이동균;황호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2호
    • /
    • pp.104-109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curvature at the apical one third in type II mesial canals of mandibular molars using the radius and angle of curvature. Materials and Methods: Total 100 mandibular molars were selected. Following an endodontic access in the teeth, their distal roots were removed. #15 H- or K-files (Dentsply Maillefer) were inserted into the mesiobuccal and mesiolingual canals of the teeth. Radiographs of the teeth were taken for the proximal view. Among them, type II canal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subgroups, IIa and IIb. In type IIa, two separate canals merged into one canal before reaching the apex and in type IIb, two separate canals merged into one canal within the apical foramen. The radius and angle of curvature of specimens were examined. Results: In type II, mean radius of curvature in mesiolingual and mesiobuccal canals were 2.82 mm and 3.58 mm, respectively. The radius of the curvature of mesiolingual canal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mesiobuccal canals in type II, and especially in type IIa.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dius of curvature between mesiobuccal and mesiolingual canals in type IIb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gle of curvature between type IIa and IIb. Conclusion: In this study, type II mesial canals of mandibular molars showed severe curvature in the proximal view. Especially, mesiolingual canals of type IIa had more abrupt curvature than mesiobuccal canals at the apical one third.

각막지형도(topography) 각막곡률로부터 토릭 각막형상의 수식화 (Mathematical Expression of the Toric Cornea using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s)

  • 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9-444
    • /
    • 2011
  • 목적: 수평축과 수직축 비가 다른 토릭각막의 형상을 수학적인 함수로 표현하여 각막곡률 분포의 분석과 콘택트 렌즈 착용에 필요한 눈물두께 계산에 적용한다. 방법: 각막을 타원함수로 가정하고 함수로부터 유도된 곡률반경식과 각막 토포그라피 측정 곡률반경을 일치시켜 타원함수의 변수를 결정하였다. 계산은 작성한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중심이 각막 정점에 위치하지 않는 리본(나비)형 토포그라피 이미지를 가지는 직난시 각막의 수평, 수직 각 축에 대해 각막의 형상을 수치적으로 알 수 있는 타원함수를 구하였다. 결론: 각막에 대해 고도의 수차 등이 요구되지 않는 응용, 예를 들면 콘택트렌즈 피팅, 난시교정 등에 각막 형상을 단순한 타원함수로 표현하는 것이 편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A comparative study of several nickel-titanium instruments on canal shaping ability in the simulated canal with abrupt curvature

  • Lim, Jung-Jang;Hwang, In-Nam;Oh, Won-Man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95-595
    • /
    • 2003
  • I.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which type of Ni-Ti instrument be able to perform canal shape well in the simulated canal with abrupt curvature near it's apex. II.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6 simulated root canals were made in epoxy resin(EPOXICURETM, BUEHLER, USA), #15 finger spreader (MANI, Japan) were used as root canal templates. The simulated root canal were made with radius of curvature of 1.5 mm, 3.0 mm, 4.0 mm, 6.0 mm respectively, and angle of curvature of all simulate camals was 90 degree.(omitted)

  • PDF

엑시머 레이저 수술의 역학적 모델 (A Mechanical Model of Excimer Laser Surgery)

  • 신정욱;김종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0
    • /
    • 1993
  • A finite element-based computer simulation of excimer laser susery was conducted to study some factors on the surgery. In particular,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apex of the cornea was examined under various surgical conditions. Corneal tissue was assumed to be a nearly incompressible, linear elastic, homogeneous, isotropic material under very small deformation. The geometry of the human cornea was taken from the experimental data[1]. The simulation utilized ANSYS(Swanson Analysis System Inc.Rev.4.4A). In this study,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 the outcomes of the excimer laser surgery were investigated. First, two patterns of surgery with various surgery thickness(40-70micrometers) were examind. The pattern#1 describes the meridian from the apex to the edge of the surgery area to be straight. And the corresponding meridian of the pattern 2 can be expressed as a quardratic fun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attern #2 is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Then, the effects of other factor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attern #2. Other factors are:various diameters of the surgical area (3-8 milimeters), Young's modules(3.5-4.5MPa), and depth of surgery at the apex(40-70micrometers). Compared with the computer simulation of the radial keratotomy surgery[2], the excimer laser surgery was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n treating myopia patients. In conculusi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qualitative agreement with clinical experience[3] indicating the potential of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surgery as a guideline to the surgeon before actual surgery.

  • PDF

수종의 엔진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에 의한 급한 만곡의 근관 성형시 근관형태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THE CHANGE OF CANAL CONFIGURATION AFTER INSTRUMENTATION BY SEVERAL NICKEL-TITANIUM FILES IN THE SIMULATED CANAL WITH ABRUPT CURVATURE)

  • 임중장;김동준;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03-311
    • /
    • 2005
  • 본 연구는 치근첨부위의 급한 만곡을 가진 근관에서 엔진구동형 니켈-타이타늄기구를 이용해 근관 성형시 근관형태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함으로써 어떤 기구가 근관의 본래 형태를 잘 유지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sharp$15 finger spreader를 이용해 만곡된 근관의 주형을 형성하고 epoxy resin으로 모형 근관을 갖는 레진 블록 96개를 제작하였다. 모형 근관은 만곡의 반경이 1.5mm, 3.0mm, 4.0mm 및 6.0mm를 가지며, 근관의 만곡도는 90도로 제작하였다. 엔진구동형 니켈-타이탸늄 파일로 ProFile, ProTaper, Hero 642 그리고 $K^3$를 사용하였으며 크라운다운법을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300rpm으로 근관을 성형하였다 시술 전$\cdot$후 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미지분석기를 이용하여 근관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근관의 만곡을 따라서 치근첨으로부터 1mm간격으로 계측점을 총 9부분을 설정하여 원래의 근관형태가 유지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계측점 에서 근관의 중심축의 변위량, 근관의 폭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계측점에서 각 기구들간의 유의성은 Kruskal-Wallis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기구간에 검정은 Mann-Whitney U-test분석법을 이용한 결과 급격히 만곡된 근관 성형시에 반경 1.5mm의 만곡에서는 엔진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을 사용시 주의를 요하며, 반경 3.0mm 이상의 만곡에서는 다른 엔진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보다는 ProFile의 사용이 권고된다.

압입자 첨단마모에 따른 나노압입곡선의 변화 및 이의 보정기법 (Variation of Nanoindentation Curve due to Wear of Indenter Apex and Its Correction Method)

  • 이윤희;김용일;박종서;김광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나노압입시험기의 힘교정과 압입자에 대한 3차원 형상 관찰 및 분석이 본 연구에서 진행되었다. 표준분동으로 교정한 마이크로밸런스로 나노압입시험기에서 발생시킨 하중을 측정하여 측정치와 발생치의 비로 압입하중을 교정하였고, 나노압입시험의 시작점인 초기 접촉 하중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삼각뿔 압입자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비교적 사용이력이 없는 압입자 A와 마모된 압입자 B의 첨단곡률반경은 각각 $19.71{\pm}3.03$ nm와 $1043.94{\pm}50.91$ nm로 결정되었다. 완벽한 삼각뿔 압입자 형상과 중첩하여 압입자 A와 B의 첨단무딘깊이(bluntness depth)를 1.22 nm와 64.56 nm로 결정하였고, 용해실리카 기준시편에 수행한 나노압입시험 결과를 살펴본 결과 두 압입자의 압입하중-변위곡선들이 무딘깊이 차이만큼 수평축으로 서로 어긋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평 이동을 통해 보정된 압입곡선의 분석을 통해 개별 압입자 면적함수에 대한 고려없이 1.11 % 이내에서 동일한 용해실리카의 나노경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각막지형도를 이용한 20대의 각막형상 및 난시도에 따른 각막곡률반경의 분석 (The Analysis of Corneal Patterns in Korean 20s by Corneal Topography and Corneal Radii by Astigmatic Degree)

  • 김소라;길지연;박창원;김지혜;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3-281
    • /
    • 2011
  • 목적: RGP 렌즈의 디자인 개발 및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대의 각막 형상을 형태별, 난시도별, 각막 정점으로부터의 거리별로 분석하였다. 방법: 각막 지형도 검사(corneal topography)를 이용하여 20대 총 252안의 각막형태를 분류하고 각막 정점으로부터 일정 간격 내의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한 후 난시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대의 각막형태는 원형 14.3%(36안), 타원형 31.3%(79안), 대칭 나비형 28.6%(72안), 비대칭 나비형 17.5%(44안), 부정형 8.3%(21안)로 분류되었다. 원형 및 타원형 각막은 각막난시도가 낮은 경우가 많은 반면 대칭 나비형 및 비대칭 나비형 각막은 높은 경우가 많았다. 각막 정점에서 일정 간격으로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하였을 때 원형 및 타원형 각막에서는 각 구간별로 상대적인 각막곡률반경이 난시도와 상관없이 모두 일관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칭 나비형 및 비대칭 나비형 각막에서는 각막 정점으로부터 반경 1.0-1.5 mm 범위의 상대 각막 곡률반경이 감소하여 반경 1.0 mm 이내보다 오히려 급경사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난시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난시도 1.50-2.00 D 및 2.25-2.75 D의 나비형 각막에서는 반경 3.5 mm부터 각막 곡률의 변화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 각막 형상 및 난시 정도에 따라 각막 중심부에서 주변부로의 각막곡률반경의 변화 정도가 달라짐을 보이므로 RGP 렌즈의 제조 및 처방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