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Intramural Hematom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대동맥벽내 혈종 환자에서의 폐동맥 외막주위 혈종: 증례 보고 (Pulmonary Artery Periadventitial Hematoma in a Patient with Aortic Intramural Hematoma: A Case Report)

  • 권훈;정연주;이지원;황민희;김진유;이남경;이지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49-653
    • /
    • 2024
  • 폐동맥 외막주위 혈종은 Stanford A형 대동맥벽내 혈종의 드문 합병증이다. 근위부 상행 대동맥과 폐동맥은 공통된 혈관외막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동맥벽내 혈종의 혈액은 폐동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급성 흉통을 호소하는 66세 남성에게서 보인 Stanford A형 대동맥벽내 혈종과 연관된 폐동맥 외막주위 혈종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Unusual Case of Overt Aortic Dissection Mimicking Aortic Intramural Hematoma

  • Disha, Kushtrim;Kuntze, Thomas;Girdauskas, Evaldas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126-129
    • /
    • 2016
  • We report an interesting case in which overt aortic dissection mimicked two episodes of aortic intramural hematoma (IMH) (Stanford A, DeBakey I). This took place over the course of four days and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surgical treatment strategy. The first episode of IMH regressed completely within 15 hours after it was clinically diagnosed and verified using imaging techniques. The recurrence of IMH was detected three days thereafter, resulting in an urgent surgical intervention. Overt aortic dissection with evidence of an intimal tear was diagnosed intraoperatively.

대동맥벽내 혈종의 수술치험-증례보고- (Surgical Treatment of Intramural Hematoma of the Aorta Case Report)

  • 이해원;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40-343
    • /
    • 1997
  • 대동맥벽내 혈종은 진성 대동맥박리증과 구별되는 질환으로 아직 정확한 예후나 치료지침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57세 여자환자에서 상행대동맥에 발생한 대동맥 벽내 혈종 1례를 수술 치험하였다. 환자는 질식감과 함께 심한 전흉부동통이 견갑골간으로 전파되는 것이 주소였다. 술전 흉부 전산화 단층왈영에서 흉부대동맥전체와 복부대동맥 일부의 대동맥 벽내에 초생달 형태의 혈종이 관찰되었고, 내벽의 파열 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완전순환정지와 역행성 뇌 순환하에서 상행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우측관상동맥입구 의 손상이 있었으나 복재정 맥을 이용한 우회문합술로 수술하였다. 환자는술후4주만에 퇴원하였으며, 창상감염, 심낭삼출액 등의 합병증외에는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 PDF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과 흡사한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증 -1l례 보고 -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Mimicking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 최재성;곽재건;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0-34
    • /
    • 2003
  • 급성 대동맥 박리증과 대동맥 침투성 궤양은 근내혈종과 함께 급성 대동맥 증후군을 구성하는 치명적 질환이나 그 병태생리와 자연경과가 다르고 치료전략이 다를 수 있어 정확한 감별진단을 요한다. 그러나 서로 임상양상이 비슷하고 초음파나 CT, MRI등의 진단방법으로도 명확히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는 약 10년간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71세 여자로 내원 3일전에 갑자기 시작된 전흉부 통증 및 오심, 구토를 주소로 입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내막박리편은 보이지 않았으며, 상행대동맥 및 무명동맥간, 대동맥궁, 하행 흉부대동맥에 걸친 근내혈종(intramural hematoma)과 양측성 혈흉 및 혈성 심낭삼출 소견이 보였고, 무명 동맥간의 하방 약 1 cm 거리에 상행대동맥의 앞쪽으로 국소적인 궤양소견이 보여 상행대동맥에 생긴 침투성 궤양 및 이로인한 대동맥 파열로 진단하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수술장 소견에서는 무명동맥 기시부 하방 1cm 정도에 약 0.5cm크기로 내막이 찢어져 있었고 외막을 열고 오래된 혈종을 제거하니 거의 폐쇄되어있던 가성내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내막 파열 부위와 교통하였다. 이처럼 대동맥 박리증이 침투성 궤양과 흡사한 임상양상 및 진단 소견을 보일 수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대동맥 파열로 오인된 흉부 하행 대동맥의 벽내 혈종 치험 1예 (Intramural Hematoma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Misdiagnosed as Aortic Rupture - A case report-)

  • 조원민;민병주;이인성;신재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72-875
    • /
    • 2004
  • 흉부 하행 대동맥의 벽내 혈종의 치료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내과적인 치료를 우선으로 하며, 그 경과 관찰을 통해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 경향이다. 본 례는 흥부 하행 대동맥의 벽내 혈종 환자에 있어 초기에 내과적인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경과 관찰 중 벽내 혈종의 크기 증가 및 대동맥 파열이 의심되어 응급으로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던 경우로, 수술 전 진단과 는 달리, 수술 소견은 비교적 유기화된 벽내 혈종과 혈흉이 아닌 늑막 삼출액을 동반했던 경우였다. 즉 대동맥 파열로 오진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던 경우로, 대동맥 벽내 혈종 환자의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 경우였다.

Massive Hemothorax Occurring with Intramural Hematoma of the Descending Aorta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 Yun, Jeong Hee;Jeon, Yeong Jeong;Hong, Tae Hee;Byun, Joung Hun;Hwang, Sang Won;Park, Jae H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122-125
    • /
    • 2016
  • Postpartum aortic intramural hematoma (IMH) is a rare but potentially lethal condition. We report a case of aortic IMH with massive hemothorax in a postpartum woman. The patient was a 31-year-old woman who had delivered twins by cesarean section. Two days after delivery, she complained of sudden-onset dyspnea.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assive left hemothorax. Exploratory thoracotomy was performed, and we found a defect measuring approximately 6 mm in the adventitial layer of the thoracic aorta and an IMH. We repaired the defect primarily, and no more bleeding was observ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the 19th postoperative day without any complications.

상행대동맥 벽내 혈종에 의해 발생한 심낭 압전의 지연 진단 - 1예 보고 - (Delayed Diagnosis of Cardiac Tamponade That Was Caused by Intramural Hematoma of the Ascending Aorta -A case report-)

  • 황유화;송석원;이기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94-198
    • /
    • 2010
  • 대동맥 벽내 혈종은 대동맥 내벽의 열상 등 손상이 없으면서 대동맥의 혈관벽내의 출혈로 정의되며 고전적인 대동맥 박리로 진행할 수 있는 질환으로 대동맥 박리의 변형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동맥 벽내 혈종은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나 궁극적 치료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상행 대동맥에 발생한 대동맥 벽내 혈종은 대동맥 파열과 심낭 압전의 위험성으로 인해 보통 수술적인 치료가 고려되고 있다. 저자들은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71세 남환에서 대동맥 벽내 혈종 1예를 수술 치험 하였다. 잘못된 진단으로 인해 응급실 내원 5시간 뒤 시행된 대동맥 단층 컴퓨터 촬영 검사 결과 상행대동맥 벽내 혈종과 심낭 압전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급성 신부전, 허혈성 장기손상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응급 수술로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 치환술을 진행하였고 환자는 수술 14일 뒤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Single-Center Clinical Analysis of Traumatic Thoracic Aortic Injuri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Ma, Dae Sung;Jeon, Yang Bi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2호
    • /
    • pp.81-8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trauma patients with blunt thoracic aortic injurie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During the study period, 9,501 patients with traumatic aortic injuries presented to Trauma Center of Gil Medical Center. Among them, 1,594 patients had severe trauma,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 of >15. Demographics, physiological data, injury mechanism, hemodynam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thoracic injury according to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the timing of the intervention, and clinical outcomes were reviewed.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had blunt aortic injuries (75% male, mean age, 45.9±16.3 years). The majority (82.1%, n=23/28) of these patients were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The median ISS was 35.0 (interquartile range 21.0-41.0). The injuries were found in the ascending aorta (n=1, 3.6%) aortic arch (n=8, 28.6%) aortic isthmus (n=18, 64.3%), and descending aorta (n=1, 3.6%). The severity of aortic injuries on chest CT was categorized as intramural hematoma (n=1, 3.6%), dissection (n=3, 10.7%), transection (n=9, 32.2%), pseudoaneurysm (n=12, 42.8%), and rupture (n=3, 10.7%). Endovascular repair was performed in 71.4% of patients (45% within 24 hours), and two patients received surgical management. The mortality rate was 25% (n=7). Conclusions: Traumatic thoracic aortic injuries are life-threatening. In our experience, however, if there is no rupture and extravasation from an aortic injury, resuscitation and stabilization of vital signs are more important than an intervention for an aortic injury in patients with multiple trauma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optimize the timing of the intervention and explore management strategies for blunt thoracic aortic injuries in severe trauma patients needing resuscitation.

Aortic Surgery without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at Total Circulatory Arrest

  • Lee, Hae Young;Kim, Dong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27-32
    • /
    • 2013
  • Background: Minimal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CPS) during aortic surgery using total circulatory arrest (TCA) may reduce several potential side effects: clamping on a diseased aorta, insult of coronary ostia, and ede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6 to 2009, 72 patients underwent aortic surgery without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at the initiation of circulatory arrest. The diagnoses were acute aortic dissection (44), aneurysm (22), and intramural hematoma (6). Results: The duration of TCA, the lowest nasopharyngeal temperature, bypass time, and aortic clamp time was 45 minutes, $16.4^{\circ}C$, 162 minutes, and 100 minutes, respectively. The amount of CPS was 1,050 mL, and 15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out CPS. The average inotrope score was 113 points (range, 6.25 to 5,048.5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opamine infusion of 5 mcg/kg/min for 1 day. Seven patients showed a level of creatine kinase-MB above 50 ng/mL, postoperatively, compared with the average of 12.75 ng/mL. The ischemic change was found on electrocardiogram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cardiac morbidity requiring mechanical assist. The average of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40 hours (range, 15 to 482 hours) and 11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Minimal infusion of only retrograde CPS during rewarming without initial infusion at TCA in aortic surgery is feasible and can be used with acceptabl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