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rating scale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8초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하는 불면증을 동반한 만성 조현병 환자의 수면의 특징 (The Sleep Characteristics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ith Insomnia i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 황동기;남민;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증과 정신병적 증상이 지속되는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와 연관된 요인과 수면의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 법 :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에 거주 중이며 불면증과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조현병 환자들이 참여하였다(n = 63). The 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와 the 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같은 수면 척도가 평가되었고, ISI-K 점수가 15점 이상인 대상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병적, 불안, 우울 증상은 각각 Brief Psychotic Rating Scale (BPRS), the Korean Version of Anxiety Sensitivity Index (K-ASI) 그리고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I(K-BDI)로 평가하였다. 사회인구학적 자료와 ISI-K 그리고 PSQI-K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ISI-K와 PSQI-K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ISI-K와 PSQI-K의 평균 점수는 각각 $18.1{\pm}2.6$점과 $12.0{\pm}2.2$점이었다.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결과에서 발병 연령과 ISI-K사이의 음의 상관관계와 BPRS와 PSQI-K 사이, K-ASI와 모든 수면 척도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ISI-K와 PSQI-K에 대해 K-ASI와 발병연령, K-ASI와 BPRS를 각각 단계적으로 입력한 모든 다중회귀분석에서 K-ASI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남았다. 결 론 :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불면 증상이 우울 또는 정신병적 증상과 무관한 반면, 불안 증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help Group Program on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Mastectomy Patients)

  • 박영신;임난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71
    • /
    • 1999
  •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intended to test the effect of self-help group program, which is one of the way to enhance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to mastectomy patients.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4, 1998 to Oct. 31, 1998 at two Medical Center in Seou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mastectomy and were follow-up ; 14 in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control group matched with age and treatment.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aptation in Lee(1994)'s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1965), and Self-rating Anxiety Scale(SAS, 1970), quality of life in Spranger(1996)'s and No(1988)'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self-help group program for mastectomy patient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ilot study by the investigator.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6 weeks self-help group program and were received arm and shoulder exercise, informa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upport by group members. The control group were received no intervention, Both group answered questionnaires prior to intervention and 6 weeks later.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X^2$-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self-help group program will have a higher score on adaptation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ut the post test scor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ere declined and the depression score was reduced relatively.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self-help group program will have a higher score on quality of life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ut the posttest score of quality of life in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relatively. Hypothesis 3. "The higher adaptation state of mastectomy patient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as supported(r=,80, p<.001). Additionally, the lower physical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the higher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which was the main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accounted for 59.5%, depression and anxiety accounted for 65.5%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when the self-help group program was intervened to mastectomy patients, it was tended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So self-help group program can be considered useful nursing inter vention effect on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mastectomy patients. With discussion, I suggest repeated further re search on self-help group with appropriate sample size and longitudinal study. Also during adjuvant therapy, it is needed to develop convenient method to be supported from peer group and family, such as computer mediated support group.

  • PDF

범불안장애의 불안증상에 대한 가미소요산의 제형별 효능 비교 임상연구의 중간보고 (Interim Report about The Comparative Clinical Study of Efficacy of Gamisoyo-san(Jiaweixiaoyaosan) on Anxiet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임정화;서복남;이상룡;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4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icacy of Gamisoyosan on anxiet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ccording to dosage form. Methods : In this randomized, double 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we planned to give Gamisoyosan simple extract mixture or Gamisoyosan compound extract or controlled medication for major symptom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 preparatory research,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was measured as the 1st evaluative instrument, and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K),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Korean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K),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WHO Quality of Life Abbreviated(WHOQOL-BREF) and Heart Rate Variability(HRV) were also measured as the 2nd evaluative instrument at the before treatment. Result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are Clinical characteristics-vital signs a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chief complaint, pattern Identification and etiological factor of the highest frequency number were worry, heart deficiency with timidity(心膽虛怯), family matters. The average period of disease in subjects is 6.31years. The results of Chest PA, EKG and clinicopathologic examination are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Scores of HAM-A, STAI-K, PSWQ were measured above the cutoff poin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AM-A, STAI-K, BDI-K and among HAM-A, STAI-K, PSWQ.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SWQ and BDI-K. Conclusions : We considered that selection of subjects in this research is appropriately accomplished And this methodolog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And also, we hope to make up for this study through various study and discussion.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eonan, and Rural Area)

  •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5-156
    • /
    • 2004
  • 연구목적: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사용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진정한 인간관계가 가상공간에서의 표면적인 관계로 대치되는 것',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이 현저히 약하고 사용을 금지할 경우 심리적 혼돈과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상태' 등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여건이 다른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율, 인구학적 변수들, 컴퓨터 사용성향, 불안성향, 우울,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한 자기 효능감이 각 지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군은 서울, 천안, 천안근교 농촌 소재의 남녀 중고교생 17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문항들,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이 번안한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을 이중훈이 번안한 한국판 자기평가 우울척도, 인터넷 사용 성향을 묻는 문항들, Young, K. S.의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를 윤재희가 번안하였고 본 연구자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한 인터넷 중독척도, J. W. Henry & R. W. Stone이 개발한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과 Paulhus, Delroy가 개발한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을 송원영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가상공간 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해당학교장의 협조를 받아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전체 대상군의 인터넷 중독율은 2.9%였으며 세 지역간에 인터넷 중독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농촌이 서울이나 천안에 비하여 높은 불안, 우울정도를 보였고,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높은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천안, 서울, 농촌 순으로 여가생활을 혼자 지내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소에 있어서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가정이 많았으며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도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사용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 대상군의 경우 서울, 천안, 농촌의 순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 중독율은 세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불안, 우울,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여가형태, 인터넷 접속장소, 인터넷 접속방법,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대상군에서는 세 지역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독군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 지역간 중 고교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여가형태, 인터넷 환경,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인터넷에 중독되면 이러한 차이가 없어지고 비슷한 형태의 중독군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시도 여부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 MMPI-2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in Depressed Patients : Using MMPI-2 Profiles)

  • 이슬아;김근향;서신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40-49
    • /
    • 2012
  • 연구목적 : 우울장애 환자군 내에서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중 주요우울장애와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37명을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자살시도군(N=15 ; 40.54%)과 비시도군(N=22 ; 59.46%)으로 분류하였다. BDI, BAI, HDRS, HARS, MMPI-2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증상 심각도와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자살시도자들은 우울 증상의 임상가 평정치인 HDRS 상에서는 비시도자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DI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MMPI-2 소척도 중 F, Fb, Pa, RC1, DEP, HEA, PK, AAS 상에서 비시도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우울장애 환자들이 현재의 삽화 중에도 객관적인 증상의 심각도와는 별개로 비시도자들에 비해 더 심한 주관적 고통감과 자살 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타인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을 더 많이 호소하고, 신체 증상에 대한 호소와 물질 사용과 관련된 문제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우울장애 환자 중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구분되는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MMPI-2는 그러한 특성을 변별하여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여성 우울증 환자에서 Aripiprazole과 Bupropion 부가요법의 우울증상 및 안전성에 대한 효과 비교 : 사후분석연구 (Comparison of the Bupropion versus Aripiprazole Adjuncti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Female Depression : Post-Hoc Analyses from a Randomized Prospective Open-Label Multi-Center Study)

  • 금무성;천은진;이광헌;구본훈;이영지;박영우;이종훈;이승재;성형모
    • 우울조울병
    • /
    • 제16권3호
    • /
    • pp.140-151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djunctive aripiprazole versus bupropion, on depressive symptoms of female depression. Methods : Sixty six femal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s were enrolled from a six-week, randomized prospective open-label multi-center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aripiprazole (2.5-10 mg/day) or bupropion (150-300 mg/day). Montgomery 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17-item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17), Iowa Fatigue Scale, Drug-Induced Extrapyramidal Symptoms Scale, Psychotropic-Related Sexual Dysfunction Questionnaire scores,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were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one, two, four, and six weeks. Changes on individual items of HAM-D17 were assessed as well as on composite scales (anxiety, insomnia and drive), and on four core subscales that capture core depression symptoms. Results : Overall, both treatments improved depressive symptoms, without causing serious adverse ev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AM-D17 total score (p=0.046) and CGI-S (p=0.004), between aripiprazole and bupropion augmentation, favoring aripiprazole over bupropion. Aripiprazole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effect size in depressed mood (p=0.006), retardation (p=0.005), anxiety psychic (p=0.032), and general somatic symptom (p=0.01). Conclusion : While both treatments were effectiv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ripiprazole may be preferable, in treating general and core symptoms of female depression.

공황장애 환자의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공황장애 증상 완화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deo-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on panic disorder symptom relief and brain wave o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정진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53-459
    • /
    • 2019
  •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정서관련 변인(불안, 우울, 공황장애) 및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 정서관련 변인은 운동군의 불안척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뇌파 변인은 운동군의 좌뇌 L-Beta 영역과 통제군의 좌뇌 H-Beta, 우뇌 L-Beta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고,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공황장애 환자의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정서관련 변인 및 뇌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지만 정서관련 변인의 경우 모든 변인의 평균값이 프로그램 실시 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수행 기간을 보다 장기간 적용한다면 또 다른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시하지 못한 동작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숙지 및 적응 시간을 충분히 갖은 후 본 프로그램이 수행된다면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울증 자살시도자들에서 표준우울평가척도들의 요인분석 : CRESCEND 연구 (Factor Analysis of Standardized Depression Scales in Suicidal Attempters among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 CRESCEND Study)

  • 홍민아;김민경;김정범;전태연;임현우;이민수;김재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1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ssociations between specific symptoms and suicidal behavior by using global severity on depression scale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1,183 patients of CRESCEND study. Factor analysis of the 17-item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was used to compare symptom clusters between the past suicide attempters and the non-suicide attempters, among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Results : Factor analyses of HAM-D and BDI-II extracted three factors. Suicide attempt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ore factor of HAM-D, including depressed mood, feeling of guilt, suicide, work, and activities. The higher scores on all factors of BDI-II or scores correlated with a total of 7 suicide attempts and with known risk factors for suicidal behavior.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icide attempters complained of more cognitive, affective, somatic symptoms on BDI-II, but the core factor on HAM-D was the only differentiated factor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ian-rated scales as well a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valid in measuring suicidal attempts, and the clinical profile may help in guiding the studies of biological correlates and the treatments to reduce suicide risk.

농촌거주 네팔인과 한국인의 정신건강에 관한 횡문화적 연구 (Transcultural Research for Mental Health between the Rural Population of Nepalese and Korean)

  • 김영욱;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42-158
    • /
    • 1991
  • 1990년 1월 네팔의 돌칼 지역 주민 698명과 1990년 7월부터 8월까지의 한국의 청도 및 경주지역주민 417명을 대상을 불안-우울 통합척도를 사용하여 얻은 성적은 다음과 같다. 평균점은 네팔인이 $51.27{\pm}11.10$, 한국인이 $44.29{\pm}11.79$로 네팔인이 유의하게 높았다. 네팔인이 높게 평가한 상위의 항목들은 안절부절, 우울, 우려, 울음, 피로 순이었고 한국인이 높게 평가한 상위의 항목들은 피로, 수면장애, 불만, 현기증, 불안 순이었다. 양국민이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불안 우울 성적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모두 힌두교인 네팔인은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성적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한국인은 종교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불안-우울 통합지수가 50점 이상인 경우는 네팔인이 51.6%, 한국인이 27.8%으로 네팔인이 한국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PDF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 Lee, Jung-Hoon;Maeng, Seri;Lee, Jeong-Seop;Bae, Jae-Nam;Kim, Won-Hyoung;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4호
    • /
    • pp.113-12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QoL)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before and during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and to examine how their QoL is affected by emo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COVID-19. Methods: Participants in the pre-COVID-19 (n=43) and COVID-19 (n=36) groups were recruited from the same university hospital.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 4.0 Child Self-report,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the PedsQL 4.0 Parent Proxy Report, and the Conners' Parent Rating Scale (CPRS) were employed. Independent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Caregivers assessed the children's QoL more negatively than the children themselves in both groups. Children with ADHD evaluated their physical function more negatively and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VID-19 group. In the COVID-19 group, the PedsQL child self-repor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CPRS, the CDI, and environmental factors (i.e., relation to chil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Conclusion: Children with ADHD in the COVID-19 group had a numerically lower QoL an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To improve QoL, it is important to deal with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ADHD symptoms and environment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