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lerogenesi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염화칼슘 처리에 의한 엘크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duction of Antlerogenesis by Calcium Chloride Treatment in Female Elk Deer)

  • 김상우;이승수;최순호;상병돈;김영근;상병찬;서길웅;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79-284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 상태로는 뿔이 발생하지 않는 암사슴에서 인공적으로 뿔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물의 조직을 괴사시키는데 사용되는 CaCl2 용액을 뿔 발생 예정부위인 좌우 양측 두개 골막에 주사하여 뿔 발생 여부 및 CaCl2 농도와 주사량이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공시축은 엘크 암사슴 5두이다. 엘크 암사슴에 15%용액 2ml 및 3ml를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육경과 뿔 발생이 모두 유도되지 않았으며, 15%용액 4ml 처리구와, 30%용액 1.5ml, 2ml, 3ml구 및 50%용액 1ml, 2ml 구에서는 육경과 뿔 발생이 모두 유도되었다. 뿔 생산량은 30%용액 1.5ml 처리구에서 1,290g로 가장 많았으며, 주사량이 증가할수록 뿔 생산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발생한 가지수는 15%용액 4ml 처리구는 2개, 30%용액 1.5ml, 2ml 및 3ml 처리구는 각각 5개, 2.3개 및 1개였으며, 50%용액 1ml 및 2ml 처리구는 각각 3개 및 1개로 농도 및 주사량과 가지수는 관련이 없었다. 오히려 초기 가지수의 발생은 주사 횟수 및 주사방법의 차이에 의한 상처부위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30% CaCl2 용액이 엘크 암사슴의 육경 및 뿔 발생과 그 생산량 및 가지수에 가장 적합한 농도였다.

암사슴의 뿔 발생 인공 유도가 번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rtificial Induction of Antlerogenesis on Reproduction in Female Elk Deer)

  • 김상우;서길웅;상병찬;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37-46
    • /
    • 2007
  • 본 연구는 사슴뿔이 발생되지 않는 암사슴의 전두골의 뿔 발생예정지역의 좌우 양측골막에 $CaCl_2$ 용액의 주사로 인위적인 뿔 발생유도에 의한 뿔 발생유도율 및 뿔 생산량을 조사하고, 암사슴의 뿔 발생유도가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엘크 암사슴 11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엘크 암사슴에 $CaCl_2$ 처리 농도에 따른 뿔 발생유도는 $CaCl_2$ 30 및 50 % 처리구가 15 % 처리구보다 뿔 발생유도율이 높았으며, 뿔의 생산량에 있어서는 $CaCl_2$ 30 % 처리구가 15 및 50 % 처리구보다 많은 사슴뿔의 생산량을 보였고, $CaCl_2$ 30 % 처리구내 투여량에 있어서는 1.5 ml 및 2.0 ml 투여가 다른 투여수준에 비하여 뿔의 길이와 생산량이 우수 하였다. 암사슴 뿔의 발생유도 후에도 분만율은 75 ~ 100 % 로 번식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암사슴의 재생뿔 발생율은 총 11두중 5두가 발생하여 45.0 %로 불규칙한 발생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Cl_2$ 용액 처리에 의한 엘크 암사슴의 뿔 발생유도 및 뿔 생산량에 있어서는 $CaCl_2$ 용액의 농도는 30 %가 적절하고, 투여수준은 1.5 및 2.0 ml 주사시 뿔의 발생유도율 및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위적인 암사슴 뿔의 유도시에도 번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염화칼슘 주사량이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Chloride Injection on the Induction of Antlerogenesis by Breed in Female Deer)

  • 김상우;이승수;최선호;상병돈;김영근;상병찬;서길웅;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407-416
    • /
    • 2008
  • 본 연구는 CaCl2 용액의 주사량이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꽃사슴, 레드디어 및 엘크 암컷 각 6두에 대해 30% CaCl2 용액의 주사량을 1ml?, 1.5ml? 및 2ml?의 3처리구로 나누어 전두골 좌, 우 양쪽 골막에 3월과 7월 두 차례 주사한 후 사슴뿔 발생 유도율, 사슴뿔 생산량, 발육성적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은 꽃사슴이 1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발생하였고, 레드디어는 2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유도되어 꽃사슴과 레드디어의 뿔 발생 유도율은 8.3%였다. 엘크 암사슴은 1ml? 처리구에서는 뿔 발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1.5ml?와 2ml? 처리구에서는 모두 뿔 발생이 유도되어 유도율은 67%였다. 뿔 생산량은 꽃사슴의 경우 길이 21cm?이고 무게 70g 이었으며, 레드디어는 길이 18.5cm?에 무게 83g의 뿔을 생산하였다. 엘크는 3월 1.5ml? 처리구의 길이가 평균 34±3cm?이었고 무게는 526~1,008g이며, 2ml? 처리구는 길이가 평균 39±8cm?, 무게는 693~1,379g의 범위에 있었다. 엘크의 2ml? 처리구는 7월에 주사한 것이 뿔 길이와 뿔 생산량에서 3월의 것보다 적었다. 암사슴 뿔의 발육은 엘크의 경우 주사 후 20일경에 길이 0.5~1cm? 정도의 돌기로 자랐고, 40일까지는 유발된 상처와 함께 1~3cm?정도의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본격적인 성장은 처리 후 60일경이 지나야 일어났고, 120일경에 절각을 하였을 때 뿔 길이는 28~44cm?의 범위에 있었다. 생산된 암사슴 뿔을 세로로 절단하였을 때 전체 길이의 위쪽 70%는 골화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는 번식성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봄에 처리한 사슴의 재생 뿔 발생은 불규칙하게 일어났고, 재생 뿔 발생률은 평균 45%였으며, 주기가 진행될수록 길이와 생산량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30% CaCl2 용액의 주사량을 조절하여 처리하면 꽃사슴, 레드디어 및 엘크의 암컷에서 뿔 발생을 유도할 수가 있으며, 엘크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를 위한 최적 주사량은 1.5~2ml? 범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