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ngiogenic activit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9초

복분자 온수추출물의 VEGF-유도성 혈관신생 억제효과 (Hot-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Suppresses VEGF-induced Angiogenesis)

  • 김억천;김혜진;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45-1355
    • /
    • 2014
  • 약초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신생 억제는 많은 고형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종양을 억제하는 방법은 VEGF-유도성 혈관형성 경로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복분자 온수추출물의 혈관형성 억제효과를 in vitro와 ex vivo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복분자 온수추출물은 VEGF-유도성 혈관신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ERK와 p38의 인산화, MMP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복분자 온수추출물은 VEGF에 의해서 유도된 VEGFR2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은 복분자 온수추출물이 VEGFR2의 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이것은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lockade of vascular angiogenesis by Aspergillus usamii var. shirousamii-transformed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Zizyphus jujuba

  • Kang, Sang-Wook;Choi, Jung-Suk;Bae, Ji-Young;Li, Jing;Kim, Dong-Shoo;Kim, Jung-Lye;Shin, Seung-Yong;You, Hyun-Ju;Park, Hyoung-Sook;Ji, Geun-Eog;Kang, Yo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1호
    • /
    • pp.3-8
    • /
    • 2009
  •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 invasion, angiogenesis and inflammatory tissue destruction. Increased expression of MMP was observed in benign tissue hyperplasia and in atherosclerotic lesions. Invasive cancer cells utilize MMP to degrade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vascular basement membrane during metastasis, where MMP-2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alignancie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the medicinal herbs of Aspergillus usamii var. shirousamii-transformed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Zizyphus jujube (tAgR and tZj) with respect to MMP-2 production and endothelial motility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or VEGF-expos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Nontoxic tAgR and tZj substantially suppressed PMA-induced MMP-2 secretion. In addition, $25{\mu}g/mL$ tAgR and tZj prevent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timulated endothelial cell transmigration and tube form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AgR and tZj dampened endothelial MMP-2 production leading to endothelial transmigration and tube formation. tAgR and tZj-mediated inhibition of endothelial MMP may boost a therapeutic efficacy during vascular angiogenesis.

인체폐암세포 A549의 세포주기 조절인자에 미치는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의 영향 (Modulacon of Cell Cycle Control by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 in A549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황지원;김영민;홍수현;최병태;이원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26-733
    • /
    • 2005
  • Histone deacetylase (HDAC) 억제제가 새로운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아직까지 인체폐암세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암세포에 미치는 HDAC 억제제의 항암작용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A549 인체폐암세포주를 대상으로 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대표적인 HDAC 억제제인 tichostatin A (TSA)에 의한 영향을 세포주기 조절관련인자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TSA의 처리에 의하여 A549 폐암세포의 증식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심한 형태적 변형을 동반하였다. 저농도 처리군에서는 TSA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주기 G1기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고농도 처리군에서는 G2/M기에 속하는 세포의 빈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apoptosis 유발의 간접적인 지표가 되는 sub-G1기에 속하는 세포의 빈도 역시 TSA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매우 증가되었다. 이러한 TSA의 A549 폐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는 cyclins 및 CdkS의 발현 억제, 종양억제유전자인 p53 및 Cdks 억제제인 p21과 p27의 발현 증가와도 연관성이 있었다. TSA의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들에 의하면 TSA는 강력한 인체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항암작용이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비소세포폐암주에서 저산소상태에 의해 유발된 HIFa-1 α와 VEGF의 발현증가에 미치는 Epigallocatechin-3-gallate의 억제 효과 (The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HIF-1 α and VEGF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

  • 송주한;전은주;곽희원;이혜민;조성근;강형구;박성운;이재희;이병욱;정재우;최재철;신종욱;김기정;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178-185
    • /
    • 2009
  • 연구배경: 암세포는 빠른 증식 속도로 인하여 상대적인 저산소증에 노출되면서 비정상적인 종양 혈관을 형성하여 치명적인 병인을 형성한다. EGCG는 녹차의 추출물로 간세포암주 및 전립선암주에서 HIF-1$\alph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EGCG의 비혈관 증식성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EGCG가 비소세포폐암주에서 HIF-1$\alpha$ 및 VEGF의 발현에 대한 억제 가능성을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비소세포폐암주인 A549를 RPMI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저산소 유사 상태는 Modular Incubator Chamber (MIC-101)을 이용하였고 5% 이산화탄소와 95% 질소 혼합 가스를 5분 동안 공급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으며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기(Blood Gas Analyzer ABL725)로 세포 배양 상태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증식 상태는 MTT 방법을 실시하였다. EGCG는 0, 12.5, 25, 50,100 ${\mu}mol/L$로 농도 변화를 주어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16시간 동안 저산소 상태를 만든 뒤 HIF-1$\alpha$, VEGF, $\beta$-actin mRNA에 대해 Real time PCR을 시행하였다. 결 과: 48시간과 72시간에서 저산소 상태에 놓인 A549 세포의 증식능력은 대조군에 비하여 억제되었다. EGCG 는 저산소화에 의해 유도된 HIF-1$\alpha$의 mRNA의 전사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 효과는 VRGF mRNA 발현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결 론: EGCG는 HIF-1$\alph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비소세포암주에서의 예방적 항암요법이나 항암 치료요법 시의 주요 작용 목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요막과 흰쥐 각막에서의 신생혈관 억제를 위한 약재(Cnidium officinale Makino와 Tabanus bovinus) 효과 규명 (Effe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Tabanus bovinus in a CAM and Rat Corneal anti-angiogenesis)

  • 한선희;김대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3
    • /
    • 2002
  • 이 실험은 약재(Cnidium officinale Makino와 Tabanus bovinus)를 이용한 장요막과 흰쥐 각막에서의 항신생혈관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배 발생과정 중 자연스러운 신생혈관이 생성되는 장요막에서의 신생혈관 억제를 위한 실험에서는 유정란을 $37^{\circ}C$, 포화습도상태인 incubator에 넣어 4일 경과 후 주사바늘을 계란의 흠집에 찔러 넣어 알부민 3ml를 추출하고 계란의 둥근 부분에 지름 2cm의 창을 내고 투명테이프로 막아 incubation시킨다. 이때, 장요막의 직경이 3~5 mm인 embryo를 신생혈관 억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retinoic acid는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되었다. 혈관이 뻗어 나오고 있는 장요막에 retinoic acid($10{\mu}g/egg$)를 처리한 후 48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현저하게 혈관의 분포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신생혈관 억제 효과가 약재(Cnidium officinale Makino와 Tabanus bovinus) ($50{\mu}g/egg$)를 시약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도 나타났다. 다음은 각막을 봉합하여 투명한 각막에 인위적으로 신생혈관을 유도하는 실험으로 흰쥐를 복강 마취시킨 후 10-0nylon용 사용하여 각막의 중앙부를 전층으로 한번 봉합한 후 각막의 염증을 막고자 terramycin을 하루에 한번씩 일주일간 점안하였다. 약재를 처리하지 않은 각막에서는 봉합 후 2~3일째 많은 혈관들이 뻗어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5~6일 이내에 각막기능 손상부위까지 혈관이 뻗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봉합 후 3주일째의 신생혈관 분포가 최고치에 달했다. 이에 비해 약재(Cnidium officinale Makino와 Tabanus bovinus) ($20{\mu}g/kg$)를 4주간 구강투여한 흰쥐의 각막에서는 신생혈관 억제에 주목할 만한 효과를 보였다. 대조군 흰쥐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약재를 구강 투여한 흰쥐의 각막에서 신생혈관이 상당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신생혈관 억제제로 효능을 인정받은 thalidomide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이 약재(Cnidium officinale Makine와 Tabanus bovinus) 는 항신생혈관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특성은 각막에서 뿐 아니라 다른 부위의 종양을 억제하고 그 전이를 막는 약리학적인 측면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