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bilit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총명탕, 원지, 석창포가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발된 학습과 기억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and Acori Graminei Rhizoma on $A{\beta}$ Toxicity and Memory Dysfunction in Mice)

  • 박은경;심은섭;정혁상;손낙원;손영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08-620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and Acori Graminei Rhizoma in an in vivo Alzheimer's disease (AD) mouse model. Methods : Memory impairment was induced by an intraventricular injection of $A{\beta}25-35$ peptides and subsequently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or Acori Graminei Rhizoma extract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14days. Results : In the water maze task,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and Acori Graminei Rhizoma extracts improved learning ability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and significantly increased memory scores during the retention period versus $A{\beta}-injected$ controls. Furthermore, the toxicity of $A{\beta}25-35$ on hippocampus was assessed immunohistochemically (Tau, MAP2, TUNEL, Bax) and by in vitro study.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and Acori Graminei Rhizoma demonstrate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apoptotic cell death of hippocampal neurons damaged by $A{\beta}25-3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ongmyung-tang, Polygalae Radix and Acori Graminei Rhizoma extract improve memory impairment and reduce Alzheimer's dementia via anti-apoptotic effects and by modulating the expressions of Tau and MAP2 protein in the hippocampus.

  • PD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rosmarinic acid improve amyloid-β25-35 induced impairment of cognition and memory function

  • Lee, Ah Young;Hwang, Bo Ra;Lee, Myoung Hee;Lee, Sanghyun;Cho, Eun J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274-281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e accumulation of amyloid-${\beta}$ ($A{\beta}$) in the brain is a hallmark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plays a key role in cognitive dysfunction.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extract (PFE) and its major compound, rosmarinic acid (RA), have show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 investigated whether administration of PFE and RA contributes to cognitive improvement in an $A{\beta}_{25-35}$-injected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Male ICR mice were intracerebroventricularly injected with aggregated $A{\beta}_{25-35}$ to induce AD. $A{\beta}_{25-35}$-injected mice were fed PFE (50 mg/kg/day) or RA (0.25 mg/kg/day) for 14 days and examined for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hrough the T-maze, object recognition, and Morris water maze test. RESULTS: Our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FE and RA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enhanced cognition function and object discrimination, which were impaired by $A{\beta}_{25-35}$, in the T-maze and object recognition tests, respectively. In addition, oral administration of PFE and RA decreased the time to reach the platform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rossings over the removed platform when compared with the $A{\beta}_{25-35}$-induced control group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Furthermore, PFE and R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malondialdehyde (MDA) in the brain, kidney, and liver. In particular, PFE markedly attenuat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production of NO and MDA in the $A{\beta}_{25-35}$-injected mouse brai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E and its active compound RA have beneficial effects on cognitive improvement and may help prevent AD induced by $A{\beta}$.

진세노사이드 Rd와 사포닌 대사물인 compound K의 항지질과산화 효과 (Anti-lipid Peroxdation Effect of Ginsenoside Rd and Its Metabolite Compound K)

  • 김경현;성금수;문연자;박시준;신미란;장재철
    • 한국전통의학지
    • /
    • 제15권1호
    • /
    • pp.97-105
    • /
    • 2006
  • To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in the liver of 40-week-old mouse, the sample were orally pretreated 5mg/kg/day for 5 days with red ginseng saponin components(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saponin, protopanaxatriol saponin, ginsenoside-Rd, ginsenoside-Re, compound-K) for 5 days. The ability of saponin to protect the mouse liver from oxidative damage was examined by determining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and the contents of glutathione,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The only protopanaxadiol among the ginseng saponin frac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epatic SOD activity(p<0.01). The red ginseng saponin induced a slight increase of GPx activity, especially ginsenoside Rd, compound K and protopanaxatriol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ts activity. The content of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p<0.01), but the oxidized glutathione level was lowered in all the red ginseng saponin. Finally,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ginsenoside Rd and protopanaxadiol. In conclusio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 among the saponin fraction were especially increased in the activity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nd de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that was expressed in term of MDA formation. This comprehensive antioxidant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 seems to be by a certain action of saponin other than a direct antioxidant action.

  • PDF

Coated cysteamine, a potential feed additive for ruminants - An updated review

  • Muhammad Umar Yaqoob; Jia Hou;Li Zhe;Yingying Qi;Peng Wu;Xiangde Zhu;Xiaoli Cao;Zhefeng Li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61-172
    • /
    • 2024
  •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etter performance, and less gas pollution during rumen fermentation, there is a need to find a green and safe feed additive for ruminants. Cysteamine (CS) is a biological compound naturally produced in mammalian cells. It is widely used as a growth promoter in ruminants because of its ability to control hormone secretions. It mainly controls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somatostatin and enhances growth hormone production, leading to improved growth performance. CS modulates the rumen fermentation process in a way beneficial for the animals and environment, leading to less methane production and nutrients los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using CS is that it improves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to the animals and enhances their absorption. CS also works as an antioxidant and protects the cells from oxidative damage. In addition, CS has no adverse effects on bacterial and fungal alpha diversity in ruminants. Dietary supplementation of CS enhances the population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Still, no data is available on the use of C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ruminants, so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using CS in breeding animals for an extended period. In this review, the action mode of CS was updated according to recently published data to highlight the beneficial effects of using CS in ruminants.

젖산발효한 연근, 도라지 당추출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과 음료기호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Beverage Preferences Relating to Fermented Lotus Root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with Sugar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 이경수;김주남;정현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3-192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에서 즐겨 먹는 대표적인 근채류인 연근과 도라지의 당추출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를 젖산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 후 생리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관능 검사를 통해 기능성 음료 제조 가능성을 대한 기초 자료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최종 당 농도는 도라지가 $48.1^{\circ}brix$, 연근이 $52.0^{\circ}brix$로 나타났다. 당추출 발효액을 $12^{\circ}brix$로 희석한 후 젖산발효하는 동안 변화하는 당 농도는 도라지가 $11.5{\sim}12.1^{\circ}brix$, 연근이 $11.9{\sim}12.4^{\circ}brix$ 범위로 나타났다. 젖산 발효기간 동안 초기 젖산균은 $10^{9{\sim}10}CFU/mL$ 수준이었으나, 연근 및 도라지 젖산발효액 둘 다 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을 조사한 결과, 젖산발효하지 않은 control인 경우 연근이 도라지보다 3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젖산발효시 도라지인 경우 control보다 각각 L. acidophilus(77%), L. brevis(90%), L. delbrueckii(177%)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함량 역시 연근이 도라지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control과 비슷하게 나타난 L. delbrueckii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젖산발효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라지인 경우 CUPRAC 측정시 L. brevis에서, FRAP 측정시는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도라지에서 L. brevis로 젖산발효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근과 도라지 젖산발효액의 관능검사 결과, 두 발효액 모두 control이나 L. acidophilus 보다 L. brevis,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한 액의 관능검사 결과가 모든 면에서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 연근이나 도라지를 이용한 당추출 젖산발효 음료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L. delbrueckii와 L. brevis 같은 일부 젖산균은 전반적으로 활성이 좋게 나타나, 기능성 젖산발효 음료로 제조하는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애엽 추출물 섭취가 ICR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Diet on ICR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경림;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23-1528
    • /
    • 2007
  • 애엽 추출물에 대한 ICR 마우스의 피부 조직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엽 추출물(mugwort extract: ME)을 섭취한 식이군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피부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3.1%{\sim}11.1%$ 증가하였다. 활성산소 중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은 애엽 추출물 식이군에서 $10.4%{\sim}17.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로써 산화단백질의 함량도 애엽 추출물 식이군(ME-100, ME- 200)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2%와 17.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과산화지질함량은 애엽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은 ME-100 군과 ME-200 군에서 각각 15.0%와 23.3%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고, 또한 애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탈라아제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추출물의 섭취가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피부 건강기능 식품과 음료 소재로서 애엽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채취지역별 '청일뽕'의 뽕잎 및 뽕가지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 김현복;고성혁;석영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1-45
    • /
    • 2006
  •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항산화식품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뽕잎을 항산화식품 소재로 이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뽕잎을 선발하여 이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동일품종, 동일 재배조건의 청일뽕에 대한 채취지역별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일뽕에 대한 춘기 뽕잎의 채취지역별 항산화능을 비교한 결과, 춘천 > 수원 > 완주 순으로 지역간 항산화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지역 모두 5개 엽기 기준 4주 후(5월 하순${\sim}$6월 초순)의 항산화능이 각각 3627.5 nmol, 2620.0 nmol, 1360.7 nmol로 높았다. 또한 이 시기뽕잎의 수량도 어린잎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하므로 춘기 뽕잎을 이용할 경우 항산화능과 수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5월 하순에 뽕잎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 하벌 후 새로 나온 가지에서 자란 추기 뽕잎의 경우 춘기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뽕잎의 항산화능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추기의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뽕잎이 경화되기 전인 8월 하순${\sim}$9월 초순 전에 채취하도록 한다. 3. 뽕잎의 항산화능은 품종, 시기, 지역 및 생육조건이 동일한 경우일지라도 수확 후 보존 방법, 이상 기후에 의해 엽질이 저하된 경우 급격하게 떨어지므로 뽕나무 재배시 뽕잎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재배 관리하여야하며, 뽕잎 수확 후 저장,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해야 한다. 4. 뽕가지의 항산화능은 춘기, 추기 모두 뽕잎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나, 항산화식품 소재로서 뽕가지를 이용할 경우 5월 하순${\sim}$6월 초순의 신소지를 이용하거나 껍질을 분리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울릉도 주요 농업특산물의 항산화능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엿의 품질 특성 (Antioxidative Ability of Some Produces in Ulleungdo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affy Made from the Produces)

  • 김미정;이예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0-67
    • /
    • 2011
  • 울릉도농업 특산물인단호박, 삼나물및 부지깽이의항산화능의 조사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엿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삼나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dry basis as raw plant)은 물 추출물에서는 2.95 mg%이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3.57 mg%였으며, 부지깽이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2.75~2.77 mg%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호박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큰 차이가 없이 0.32 mg%이었다. 0.01%에서의 환원력은 삼나물 추출물과 부지깽이 추출물이 1.62~1.91($OD_{700}$)로 단호박의 0.02~0.03($OD_{700}$)에 비하여높았다. 삼나물과 부지깽이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0.01% solution)의 전자공여능은74.91~79.21%로단호박에탄올추출물의 14.99%보다 높았으며 단호박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79%이었다. 호박엿을 제조하기 위한 호박과 물엿의 적정 비율은 색상과 종합적인 기호도로 평가한 결과 25:75(w/w)이었다. 단호박 엿에 삼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적정 첨가 비율은 0.4%이었으며, 부지깽이 에탄올 추출물은 3% 첨가가 우수하였다. 삼나물 및 부지깽이 분말의 적정 첨가 비율은 각각 0.5~1.0%(w/w) 및 1%(w/w) 범위였다.

Effects of Woo-Gui-Um on A${\beta}$ Toxicity and Memory Dysfunction in Mice

  • Hwang, Gwang-Ho;Kim, Bum-Hoi;Shin, Jung-Won;Shim, Eun-Sheb;Lee, Dong-Eun;Lee, Sang-Yul;Lee, Hyun-Sam;Jung, Hyuk-Sang;Sohn, Nak-Won;Sohn, Young-Jo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4
    • /
    • 2009
  • Objectives : Alzheimer's disease (AD) is characterized by neuronal loss and extracellular senile plaque. Moreover, the cellular actions of ${\beta}$-amyloid (A${\beta}$ play a causativ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Woo-Gui-Um, a commonly used Korean herbal medicine, has the ability to protect cortical and hippocampal neurons against A${\beta}_{25-35}$ neurotoxicity Methods :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reventa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Woo-Gui-Um in a mouse model of AD. Memory impairment was induced by intraventricularly (i.c.v.) injecting A${\beta}_{25-35}$ peptides into mice. Woo-Gui-Um extract was then administered orally (p.o.) for 14 days. In addition, A${\beta}_{25-35}$ toxicity on the hippocampus was assessed immunohistochemically, by staining for Tau, MAP2, TUNEL, and Bax, and by performing an in vitro study in PC12 cells. Results : Woo-Gui-Um extract had an effect to improve learning ability and memory score in the water maze task. Woo-Gui-Um extract ha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s in vivo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apoptotic cell death of hippocampal neurons caused by i.c.v. A${\beta}_{25-35}$. In addition, Woo-Gui-Um extract was foun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on A${\beta}_{25-35}$-induced apoptosis, and to promote neurite outgrowth of nerve growth factor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o-Gui-Um extract reduces memory impairment and Alzheimer's dementia via an anti-apoptotic effect and by regulating Tau and MAP2 in the hippocampus.

  • PDF

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Composites Containing Medicinal Plant Extracts)

  • 조희숙;이수정;신정혜;강민정;조현소;이현지;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35-1140
    • /
    • 2007
  • 항산화 활성이 높은 한약재 10종을 대상으로 9종의 조성물(PM-A-PM-I)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약재 조성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70%이상이었으며, 조성물 중 PM-D, PM-E 및 PM-F가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환원력도 전자공여능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PM-D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M-E였 다. Linoleic acid 에 대한 자동산화 억제능은 PM-A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복화가 첨가된 PM-D,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9종의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활성은 첨가된 한약재의 종류가 유사하였으나 PM-D, PM-E, PM-F 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것은 선복화의 작용이 컸던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한약재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간의 시너지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