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depressive effec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6초

사물탕가향부자가 항우울행동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Anti-Depressive Behavior and Immunity)

  • 장윤정;김송백;최창민;서윤정;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29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능 및 면역반응에 대한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함으로써 임상적인 응용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SGH가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행동 효과와 estradiol level 및 anti-inflammatory cytokine인 IL-4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동시에 SGH(200 and 400 mg/kg/day)를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Elevated Plus Maze(EPM)를 통한 우울행동과 혈청 estradiol,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Locus coeruleus(LC)와 Paraventricular Nucleus(PVN)에서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EPM에서 SGH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closed arms에 머무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 EPM에서 SGH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3. Estradiol 측정에서 SGH를 투여한 후 estradiol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 IL-4 측정에서 SGH를 투여한 후 혈청 IL-4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5. 뇌에서의 IL-4 면역반응은 대조군에서 감소하였으나, SGH를 투여한 후 LC와 PVN에서 IL-4 수준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사물탕가향부자는 난소적출 흰쥐의 항우울행동과 면역조절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교감단이 우울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yogam-dan on Depression and Immunity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현철;김송백;서윤정;조한백;최창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32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의 흔한 질환인 갱년기 우울증의 모델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를 설정하고 교감단이 쥐의 항우울 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표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교감단(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Elevated plus maze, Forced swimming test를 실시하였고,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뇌내의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의 보낸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 보낸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2.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늘어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Forced swimming test에서 교감단 100 mg/kg, 400 mg/kg 투여군은 각각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교감단 400 mg/kg을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5. 혈청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6. 뇌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교감단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행동의 완화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불안 행동검사에서는 유효한 효과가 없었다. 혈청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어 항우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면역기능에 작용하는 유의성 있는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