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racycli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Tissue Doppler imaging을 이용한 소아 종양 환자에서의 심기능 평가 (Evaluation of cardiac function by tissue Doppler imaging in children with cancer)

  • 김여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17-423
    • /
    • 2006
  • 목 적 :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의 개발, 골수나 조혈모세포 이식 기회의 증가로 소아 백혈병과 고형 종양을 가진 환아들이 장기 생존하게 되면서 치료에 따른 장기 부작용, 특히 심장 독성에 크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항암제에 의한 심장 독성을 파악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은 비침습적이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심초음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소아암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중이거나 치료를 종료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조직 도플러 영상을 사용하여 심실 기능을 평가하고, 향후 동질환의 환아에서 조기 및 후기 심독성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복적인 조직 도플러 영상을 적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 종양 크리닉을 방문한 항암치료 중이거나 항암치료 종료된 환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환아군(1군)은 단축 분획 29% 이상(2군), 28% 이하의 군(3군)으로 나누고, anthracyclin 사용군(4군)과 미사용군(5군)으로 다시 나누었다. M-mode와 간헐파 도플러를 이용하여 단축 분획, 구혈률, 승모판막으로 유입되는 혈류의 E, A 속도, DT, IVRT를 측정하였고,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심첨 4, 2 방도에서 중격, 전벽, 하벽, 측벽의 기저부, 중간, 심첨 부위의 Sm, Em, Am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modified Tei index, E/A, E/Em ratio를 구하였다. 결 과 : 환아의 평균 나이는 8년 4개월이었고 남아 12명, 여아 11명이었다. 항암제 중 anthracyclin을 사용한 환아(4군)는 13명이었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아는 4명이었으며 단축 분획이 28% 이하인 환아(3군)는 6명이었다. 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6년 6개월이었고 남아 6명, 여아 3명이었다. 환아군과 대조군간에 성별, 나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과 1군의 E/Em ratio는 $7.06{\pm}1.64$, $6.46{\pm}1.85$로 두 군간에 P<0.05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측정값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 2, 3, 4, 5군간에도 E/Em ratio는 P<0.05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2, 3군과 4, 5군간에는 측정값들의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좌심실 평균 이완기압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는 E/Em ratio에서 대조군과 항암 치료 군간에 차이가 확인됨으로써 항암 치료 이후의 심장 기능 부전은 수축기 기능 변화가 아닌 이완기 기능 변화가 먼저 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장 이완기 기능을 평가하는 간헐파 도플러 측정값들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음으로 이완기 기능을 평가하는데는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더 민감한 방법이었다. 따라서 항암 치료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심장 기능에 대한 잦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겠고, 추적 관찰하는 방법으로는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심초음파 검사가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유용한 방법일 수 있다.

Inhibitory effect of DA-125 on cancer metastasis by downregulating MMPs and CAMs

  • Park, Hyen-Joo;Hwang, Hye-Jin;Kim, Won-Bae;Kim, Soon-Hoe;Lee, Sang-K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68.3-69
    • /
    • 2003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by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DA-125, a anthracyclin derivative, on the invasion or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ases (MMPs) was investigated in human fibrosarcoma HTl080 cells by RT-PCR or gelatin zymographic methods. As result, DA-125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MP-2 and 9 as well as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TIMP-2 and MT1-MMP with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addition, DA-125 inhibited cancer cell migration and colony formation, and also exhibi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invasion and motility with a matrigel and type I collagen assay. (omitted)

  • PDF

4-카바모일옥시메틸-1-아자안트라퀴논 유도체들의 합성 및 세포독성 (Synthesis and Cytotoxicity of 4-Carbamoyloxymethyl-1-azaanthraquinones)

  • 이희순;이승일;홍승수;조정숙;김영호
    • 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7-512
    • /
    • 1998
  • In the course of developing novel antitumor intercalating agents. We synthesized 4-carbamoyloxymethyl-l-azaanthraquinones 7-12, incorporating the latent alkylating functi onality. These compounds were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 of substituent on the nitrogen of carbamate. The target compounds were prepared by hetero Diels-Alder reaction as a key step followed by functionalization of benzylic methyl to the desired substituents. Growth inhibitory studies of the azaanthraquinones were conducted in vitro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SNU-354; liver and MCF7; breast) and human epidermoid carcinoma cells that are sensitive (KB-3-1) and multidrug-resistant (KB-V-1). The compounds were less potent than doxorubicin against sensitive cell lines. However, the most active compound 12 was not cross-resistant with doxorubicin against KB-V-1.

  • PDF

Superoxide dismutase 및 Dimethyl thiourea가 흰쥐 위샘 으뜸세포에서 Adriamycin 투여 후 나타나는 미세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MTU and SOD on Ultrastructural Changes of Gastric Chief Cells in Adriamycin Treated Rats)

  • 백두진;장형심;정호삼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225-236
    • /
    • 1998
  • Adriamycin is a one of anthracyclin antibiotics isolated from the culture media of Streptomyces peucetius var casius.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metabolite by redox cycling during the metabolism and the inhibition of DNA synthesis results in antineoplastic effects of adriamycin. The author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SOD(superoxide dismutase) or DMTU (dimethyl thiourea), which are used as an antioxidant, on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gastric chief cell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driamycin in the rat. Adriamycin (30 mg/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th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20 gm and SOD (15000 unit/kg) or DMTU (500 mg/kg)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the rats 3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driamycin. The gastric chief cells 24, 48 and 72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driamycin were observed with Hitachi-600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D or DMTU alone did not affect the ultra structures of the gastric chief cells in the rat. 2. Dilation, sacculation and segmentation of the cisterna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dilation of the saccules of Golgi complex and dilated mitochondria with electron lucent matrix were seen in the adriamycin treated rats. In the course of time, the ultrastructures of the chief cell changed markedly. 72 hours after drug administration, severely dilated cisterna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ith clumping of chromatin around the nuclear envelope and mitochondria with electron lucent matrix and dilated cristae were seen in the chief cell. 3. The treatment of SOD is more effective than DMTU to attenuat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chief cells in the adriamycin administered rat.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adriamycin would induce th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organelles of the chief cell. The treatment of SOD is more effective than DMTU to attenuate the adriamycin induced dam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