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4초

담배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식물의 특성과 T.M.V. 저항성 검정 (Haploid Plant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for T.M.V. Resistance from in Vitro Anther Culture of Nicotiana tabacum L.)

  • Ahn, D.M.;Lee, S.C.;Yoon, I.B.;Heu, 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4
    • /
    • 1977
  • 담배에서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육종을 실용화하고 저 중촌등의 'D'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약중 평균 30% 이상이 반수농식물을 유기하였으며 약당 유기된 식물개체수는 평균 6주이상이었다. 2. F$_1$으로부터 유기된 반수체중 T.M.V 저항성은 이론치와 일치하는 1 : 1의 비를 나타내었다. 3. 반수체식물의 생육조사에서는 예기한바와 같이 모든 측정형질에 대하여 F$_1$의 반수체가 모본의 반수체보다 더큰 변이를 보였다.큰 변이를 보였다.

  • PDF

배 약배양에서 배지조성이 Callus 및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and its Component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Differentiation in Rice Anther Culture)

  • 손재근;오병근;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1-276
    • /
    • 1985
  • 벼 약배양에 있어서 기본배지 및 배지내 첨가물질이 callus유기와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 및 식물체분화는 N$_{6}$기본배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Indica형 품종보다는 Japonica형 품종에서 그 효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2. 약치상후 callus유기는 기본배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20~40일 사이에 90% 이상이 유기되었다. 3. 식물체분화는 callus유기배지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Miller 배지에서 유기된 callus의 식물체분화는 N$_{6}$나 MS배지에 비하여 저조하였다. 4. N$_{6}$배지내에 포함된 질소원중 (NH$_4$)$_2$SO$_4$의 함량을 31.5mM로 조절하였을 때 callus 및 식물체분화율이 향상되었다. 5. 생장조정제 첨가에 있어 2,4-D단독 처리보다는 NAA 2mg/$\ell$에 Kinetin 1mg/$\ell$를 혼용 처리하였을 때 callus유기 뿐 아니라 식물체분화율도 향상되었다. 6. Indica형 품종의 callus유기에 대한 DL-Ala-nine 첨가효과는 약을 저온처리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 PDF

생강의 화기구조 조사 및 약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생 (Investigation of floral Structure and Plant Regeneration through Anther Culture in Ginger)

  • 김태수;최인록;김현순;김수동;박문수;고정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7-210
    • /
    • 2000
  • 생강의 개화특성과 화기구조를 관찰하고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내 생장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병의 형성은 국내종은 서산종, 도입종은 태국종에서만 출현되었으며 화뢰당 소화형성은 서산종 8개, 태국종이 10개 형성되었으나 종자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개화기는 8월 18일에서 8월 25일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났고 1일중 개화시각은 오후 4시-5시 사이에 대부분 개화하였다. 3. 꽃은 장주화로서 주두상단에는 섬모가 나 있으며 수술은 연착약, 배낭내 태좌는 증축태좌 형태를 나타냈다. 화분은 원형과 타원형이 혼재되어 있으나 원형이 많았으며, 화분막은 2중 구조였다. 4. 약 유래 캘러스 형성에는 CM배지가 좋았고, 캘러스로부터 기관분화는 MS배지에 BA 2mg/l 를 첨가한 재생배지에 이식 후 40일경부터 부정근이 먼저 출현되고 배양 60일 후에는 줄기와 뿌리가 완전 분화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밀 감수분열기 Mutagen 처리가 약배양에 있어서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tagen at Meiotic Stage on Wheat Ploidy in Anther Culture)

  • 박광근;강양순;하용웅;허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4-78
    • /
    • 1991
  • 밀 약배양에 있어서 Callus 유기, 식물체분화 및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돌연변이 유기제의 처리 효과를 검토코자 감수 분열기 1 핵기 이삭에 X-ray는 4수준( 100, 200, 500, 1,000 rad) Ethyle Methane Sulphonate 는 3수준 ( 0.1, 0.2, 0.3M)으로 각각 처리하여 $C_{l7}$배지에서 callus를 유기시키고 1/2 MS 배지에서 식물체를 분화시켰다. 그 결과 callus 유기는 억제되었으나 식물체분화는 다소 높았으며 특히 약치상 후 61~80일째 장기치상된 약의 callus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았다.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는 반수체(n=3 x=21) 발생율이 증가되었고 n=20, n=21개의 염색체를 갖는 이수체가 발생되어 염색체 변이가 컸다.다.

  • PDF

Comparison of Lines From Anther and Maternally-derived Dihaploids in Flue-cured Tobacco(Nicotiana tabacum L.)

  • Chung, Yun-Hwa;Keum, Wan-Soo;Choi, Sang-Ju;Cho, Myung-Cho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8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wo different haploid breeding methods in tobacco varietal development. A single FI hybrid plant from cross of two flue-cured cultivars of Nicotiana tabacum L., Bright Yellow4(BY4) and NC95, was used to develop the 30 anther derived dihaploid (ADH) lines and maternally-derived dihaploid (MDH) lines utilizing Nicotiana africana,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mid-parent, mean of ADH lines showed increase in number of leaves, delay in days to flower and narrow in width of leaf.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investigated characters were recognized. MDH lines also showed narrow width of leaf,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characters were observed. The variations of the investigated characters were generally greater in ADH than MDH lines. MDH lines had higher height of plant and shorter days to flower than ADH lines, while the other characters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s. The degree of heritability for each of the characters observed between ADH and MDH was almost the same. The characters showing high heritability value were height of plant, number of leaves, days to flower, and yield, while those showing relatively low value were length of leaf, width of leaf, and total alkaloid content. Predicted gains from selection for increased yield were calculated for both populations(ADH, MDH) and correlated responses associated with selection for yield were estimated. Height of plant, width of leaf, days to flower, and concentration of reduceing sugar would be expected to improve with selection for yield much faster in the MDH population than in the ADH.

  • PDF

고추의 유전자형 및 생태형이 약배양 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enotype and Ecotype on Anther Culture Efficiency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용권;권오열;윤화모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2
    • /
    • 1999
  • 고추 (Capsicum annuum L.)의 일대잡종을 이용하여 모본의 유전자형 및 생태형이 약배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본의 유전자형에 따라 약배양 효율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약배양 효율은 모본으로 배 발생률이 낮은 계통보다 높은 계통을 사용한 교배조합에서 높아 약배양 효율에 세포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형에 따른 배 발생 효율은 재래종$\times$피망 교배조합에서 배 발생률이 17.8~46.1%로 가장 높았고, 피망$\times$재래종 조합은 5.4~8.5%의 배발생률을 보여 가장 낮았다. 재래종 $\times$남방계, 남방계 $\times$재래종, 남방계 $\times$피망, 피망 $\times$남방계 교배조합의 배 발생률은 10.5~23.1%로 비교적 중간값을 보였다.

  • PDF

벼의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와 항산화제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Mixture on the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 이승엽;이재길;권태오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3-87
    • /
    • 2000
  • 벼 소포자 유래의 반수성 세포집단을 기내 돌연변이 유기 연구에 이용하기 위하여, 액체배지를 이용한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과 유도된 캘러스의 갈변화에 따른 활력저하를 막기 위하여 배지내 항산화제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약 부유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는 N6배지에 1 mg/L 2,4-D와 1 mg/L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 서 캘러스 형성율 48.5%, 녹색체 분화율 6.8%, 총 식물체 분화율 9.0%로 가장 높았다. 약 부유배양에서 항산화제 (antioxidant mixture, Sigma Chemical Co.)의 첨가는 캘러스 형성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캘러스 갈변방지와 총 식물체 분화율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항산화제의 적정농도는 250mg/L 였으며, 캘러스 유도배지와 식물체 분화배지에 모두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