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hor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Kennedy 병의 임상적, 전기 진단적 특징 (Clinical and Electrodiagnostic Features of Kennedy Disease)

  • 오병철;임영민;김광국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5권1호
    • /
    • pp.11-15
    • /
    • 2003
  • Backgrounds: Kennedy disease is a X-linked recessive disease characterized by bulbar symptoms, proximal muscle weakness, and gynecomastia. Methods: We analyzed clinical symptoms and performed electrodiagnostic studies on 6 patients. Results: We found following features: 1) proximal muscle weakness 2) bulbar symptoms, as dysarthria, facial and tongue atrophy 3) hyporeflexia or areflexia 4) fasciculations, predominantly on face, and proximal upper extremities 5) decreased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s(SNAPs) 6) chronic neurogenic changes in needle EMG. Conclusions: Kennedy disease is characterized by degenerative process of anterior horn cell and dorsal root ganglion without upper motor neuron dysfunction. Increased triple nucleotide CAG repeats(>38) in androgen receptor gene of Xp21 will confirm early stage of this disease.

  • PDF

버섯해충 Coboldia fuscipes (Diptera: Scatopsidae) 번데기 호흡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piratory horns on Pupa of Mushroom Pest, Coboldia fuscipes (Diptera: Scatopsidae))

  • 최광호;김성렬;조은숙;배진식;진병래;양원진;손흥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1-247
    • /
    • 1999
  •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해충인 Coboldia fuscipes (Diptera: Scatopsidae)의 번데기 앞측에 있는 사슴뿔 모양 돌기의 생리적 기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uscipes 유충 및 번데기에는 형태적으로 특이한 돌기가 관찰되는데,종령 유충의 몸 두번째 마디에 길이 0.04 mm의 미세돌기 l쌍과 번데기 앞부위에 길이 0.5 mm의 사슴뿔 모양 돌기 l쌍 및 복부에 길이 0.12mm인 6쌍의 강모형 돌기가 관찰되었다.종령 4령 유충의 미세돌기를 제거한 결과,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가 출현하였으나, 이후 사슴뿔 모양 돌기 유무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성충으로 우화하였다.또한, 슴뿔 모양 돌기 존재 여부에 따른 용화시 특성으로는 먹이로 제공된 감자한천 배지 속으로 용체의 함입률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는 용체를 바깥으로 노출시키는 경향이 강하였다.그러나,사슴뿔 모양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번데기의 용화율이나 우화율 등의 생태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현미경 관찰 결과, 번데기의 사슴뿔 모양 돌기와 강모형 돌기는 관상의 측면 주세로기관지로 연결되어 기관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플로부터, C.uscipes 먼떼기의 사슴뿔 모양 돌기는 번데기 시기에 중요한 호흡뿔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Neuroprotective Effects of Sacral Epidural Neuromodul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 An Experimental Study in Rats

  • Lee, Chang-Hyun;Hyun, Seung-Jae;Yoon, Cheol-Yong;Lim, Jae-Young;Jahng, Tae-Ahn;Kim, Ki-Je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2권6호
    • /
    • pp.509-512
    • /
    • 201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neuroprotective effect of sacral neuromodulation in rat spinal cord injury (SCI) model in the hist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Methods : Twenty-one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 the normal control group (CTL, n=7), the SCI with sham stimulation group (SCI, n=7), and the SCI with electrical stimulation (SCI+ES, n=7). Spinal cord was injured by dropping an impactor from 25 mm height. Sacral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protocol : pulse duration, 0.1 ms; frequency, 20 Hz; stimulation time, 30 minutes; and stimulation duration, 4 weeks. Both locomotor function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were evaluated as scheduled. Results : The number of anterior horn cell was $12.3{\pm}5.7$ cells/high power field (HPF) in the CTL group, $7.8{\pm}4.9$ cells/HPF in the SCI group, and $6.9{\pm}5.5$ cells/HPF in the SCI+ES group, respectively. Both the SCI and the SCI+ES groups showed severe loss of anterior horn cells and myelin fibers compared with the CTL group. Cavitation and demyelinization of the nerve fiber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I group and the SCI+ES group. Cavitation of dorsal column was more evident in only two rats of SCI group than the SCI+ES group. The locomotor function of all rats improved over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ny point in time between the SCI and the SCI+ES group. Conclusion : In a rat thoracic spinal cord contusion model, we observed that sacral neuromodulation did not prevent SCI-induced myelin loss and apoptosis.

고려홍어 Hongeo koreana의 난각(연골어강: 홍어목: 홍어과) (Egg Capsule of Hongeo koreana (Chondrichthyes: Rajiformes: Rajidae))

  • 정충훈;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3-286
    • /
    • 2009
  • 고려홍어의 모식산지인 한반도 남서해안에서 포획한 암컷개체의 자궁에서 직접 적출한 난각 2개를 새롭게 기재하였다. 본종의 난각은 다른 종과 비교하여 보통 크기이고, 뿔(horn)을 포함한 전장은 124.5~133.7 mm, 뿔을 제외한 주부(main portion)의 체장은 102.8~109.4 mm, 최대폭은 41.0~42.2 mm이다. 측면에서 볼 때 배쪽으로 불룩한 비대칭이고, 표면은 비교적 부드러운 편이지만 세로로 미세한 고랑(longitudinal striations)은 뚜렷하고, 매우 발달한 섬유다발(견상사(絹狀絲) silky fibers)로 덥혀 있다. 앞뒤의 apron은 뚜렷하며, 네 뿔은 짧고 튜브모양이고 그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앞쪽 뿔은 안쪽으로 심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호흡공(respiratory fissure)은 네 뿔의 끝부분에 위치한다. 신선한 상태에서 밝은 갈색이다.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형 파열의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 - 수술 수기 - (Arthroscopic Technique of Partial Meniscectomy for Bucket 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using Posteromedial Portal)

  • 안진환;이종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00
  • 목적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보편적인 치료법인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세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파열된 반월상 연골의 정복을 시행한 수, 관절경을 후내측 구획에 위치시킨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을 삽입하여 이 구역을 재관찰하며,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 부착 부위에 대한 시야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부분 절제술이 될 수 없고, 후각부에 동반된 다른 유형의 파열이나 내측 대퇴 내과 후면의 관절 손상 등을 관찰할 수 없고, 술 중 후방 십자인대에 손상을 줄 수가 있으며, 내측 대퇴골과의 체중부하 부위에 인위적인 관절 연골 손상을 줄 수가 있다.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우수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Neural Tract Injuries by Penetration of Foreign Body: a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Study

  • Kwon, Hyeok-Gyu;Hong, Ji-Heon;Kwon, Yong-Hyun;Lee, Mi-Young;Kim, Seong-Ho;Jang, Sung-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3호
    • /
    • pp.132-135
    • /
    • 2013
  • We presented with a patient who showed injury of the cingulum and fornix by penetration of a foreign body into the brain on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A 63-year-old man suffered a brain injury by a part of a power saw blade that was suddenly detached from a power saw during work. A part of the power saw blade penetrated his right frontal skull and advanced to the right posterior horn of the lateral ventricle. This penetration caused trau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in the right frontal lobe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the lateral ventricle. He underwent craniotomy and removal of intracranial foreign bodies (bony pieces and saw blade). The patient's Memory Assessment Scale scores were 74 (4%ile) for global memory, 78 (7%ile) for verbal memory, and 80 (9%ile) for visual memory. DTTs showed disruptions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fornical body, right fornical crus, the anterior portion of the right cingulum,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eft cingulum, compared to the control. It seems that the sustained memory impairment of this patient might be related to injury of the cingulum and fornix.

슬관절 전내측 반월대퇴 인대 - 증례 보고 - (Anteromedial Meniscofemoral Ligament - A Case Report -)

  • 윤정로;김택선;양재혁;이우승;오치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44
    • /
    • 2010
  • 저자들은 대퇴과간 후외측벽과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에 부착되는 전내측 반월대퇴 인대(AMMFL)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는 수술 중 관절경에 의해서 확진 되었다. 저자들은 전내측 반월대퇴 인대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이 구조물의 이상 소견과 임상적 의미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Basic concepts of needle electromyography

  • Kim, Jee-Eun;Seok, Jin Myoung;Ahn, Suk-Won;Yoon, Byung-Nam;Lim, Young-Min;Kim, Kwang-Kuk;Kwon, Ki-Han;Park, Kee Duk;Suh, Bum Chun;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Education Committee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1권1호
    • /
    • pp.7-15
    • /
    • 2019
  • Clinical evaluations,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electromyography play major complementary roles in electrophysiologic diagnoses. Electromyography can be used to assess pathologic changes and localize lesions occurring in locations ranging from motor units to anterior-horn cells. Successfully performing electromyography requires knowledge of the anatomy, physiology, and patholog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s well as sufficient skill and interpretation ability. Electromyography techniques include acquiring data from visual/auditory signals and performing needle positioning, semiquantitation, and interpretation. Here we introduce the basic concepts of electromyography to guide clinicians in performing electromyography appropriately.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양상 (Patterns of Meniscus Injury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조성도;고상훈;황수연;김문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2
    • /
    • 2003
  • 서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발생 빈도, 위치, 형태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수상 6개월 이내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33($16\~62$세)였다. 수상 원인으로서는 스포츠 손상(45례), 교통사고(19례)순으로 많았으며, 스포츠 손상에서는 축구 손상이 34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치, 형태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치료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고 특히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과 교통 사고로 인한 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48례$(65.8\%)$로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26례$(54.2\%)$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52례$(91.2\%)$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15례$(26.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38례$(66.7\%)$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에서는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28례$(82.4\%)$였으며,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17례$(60.7\%)$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30례$(90.9\%)$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9례$(27.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22례$(66.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의 파열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내측 반월상 연골 빈도보다 많았으며 후각부 손상이 가장 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A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 Stem

  • Choi, Chan-Young;Han, Seong-Rok;Yee, Gi-Taek;Lee, Chae-Heuc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5호
    • /
    • pp.365-369
    • /
    • 2010
  • Objective : There has been inconsistency about definition of the temporal stem despite of several descriptions demonstrating its microanatomy using fiber dissection and/or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s of the temporal stem. Methods : The fronto-temporal regions of several formalin-fixed human cerebral hemispheres were dissected under an operating microscope using the fiber dissection technique. The consecutive coronal cuts of the dissected specimens were made to define the relationships of white matter tracts comprising the temporal stem and the subcortical gray matters (thalamus, caudate nucleus, amygdala) with inferior limiting (circular) sulcus of insula. Results : The inferior limiting sulcus of insula, limen insulae, medial sylvian groove, and caudate nucleus/amygdala were more appropriate anatomical structures than the roof/dorso-lateral wall of the temporal horn and lateral geniculate body which were used to describe previously for delineating the temporal stem. The particular space located inside the line connecting the inferior limiting sulcus of insula, limen insulae, medial sylvian groove/amygdala, and tail of caudate nucleus could be documented. This space included the extreme capsule, uncinate fasciculus, inferior occipito-frontal fasciculus, anterior commissure, ansa peduncularis, and inferior thalamic peduncle including optic radiations, whereas the stria terminalis, cingulum, fimbria, and inferior longitudinal fiber of the temporal lobe were not passing through this space. Also, this continued posteriorly along the caudate nucleus and limiting sulcus of the insula. Conclusion : The temporal stem is white matter fibers passing through a particular space of the temporal lobe located inside the line connecting the inferior limiting sulcus of insula, limen insulae, medial sylvian groove/amygdala, and tail of caudate nucleus. The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s of the temporal stem are expected to give the very useful anatomical and surgical insights in the temporal l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