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maximum serie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and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 유철상;박철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31-4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와 긴 경우에 대한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최대치 독립호우사상은 1961년부터 2010년까지의 서울지점 시강우 자료에 다양한 IETD와 절단값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결정된 연최대치 독립호우사상 계열은 기존의 연최대치 계열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ETD와 절단값의 영향은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예를 들어, IETD의 증가에 따라 짧은 지속기간 및 긴 지속기간을 갖는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 빈도는 유사한 감소비율을 갖으나, 절단값의 증가에 따라서는 특히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출된 독립 호우사상의 평균 강우강도는 강우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 최대치 강우강도가 주로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강우지속기간이 짧은 경우, 연 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강우 지속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매우 짧은 집중시간을 고려하는 작은 유역의 경우, 전통적인 자료 분석방법을 통해 결정된 설계강우가 실제 발생 가능성이 없는 비현실적인 경우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큼을 의미한다.

연최대치계열과 비연초과치계열으로부터 산정한 확률강우량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Design Rainfalls From the Annual Maximum and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 박예준;권현한;정은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69-478
    • /
    • 2014
  •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연최대치 계열은 자료의 구축이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연최대치 계열을 이용하기에는 자료의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특히, 적은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확률강우량 또는 설계홍수량을 추정할 경우 과다산정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973년부터 2012년까지 총 40년간의 관측자료를 대상으로 독립호우사상을 구분하고, 연최대치 계열과 비연초과치 계열을 구성한 후, 연최대치 계열과 비연초과치 계열로부터 산정된 확률강우량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적은 관측자료를 가지고 지점빈도해석을 수행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Statistical Model for Predicting Flood Frequency

  • Noh, Jae-Sik;Lee, Kil-Choon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51-63
    • /
    • 1993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statistical models in predicting flood frequency at the stage gaging stations of which the flow is under natural condition in the Han River basi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tatistical flood frequency models were proven to be fairly reasonable to apply in practice, and also were compared with sampling variance to calibrate the statistical efficiency of the estimators of the T year floods Q(T) by two different flood frequency models. As a result, it was showed that for return periods greater than about T = 10 years the annual exceedance series estimators of Q(T) has smaller sampling variance than the annual maximum series estimators. It was showed that for the range of return periods the partial duration series estimators of !(T) has smaller sampling variance than the annual maximum series estimate only if the POT model contains at least 2N(N : record length) items or more in order to estimate Q(T) more efficiently than the ANNMAX model.

  • PDF

우리나라 연최대치 강우량 계열 및 확률강우량의 변화 특성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and Frequency-Based Rainfall in Korea)

  • 김재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3-56
    • /
    • 2002
  • About 12 rain gauge stations of Korea,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of before and after 1980 whose durations are 1, 2, 3, 6, 12, 24, 48, 72 hours respectively were composed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time series were calculated and probability rainfall were estimated by L-moment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compared each oth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cent quantitative rainfall variations. And also, distribution curves of each statistical variations for each duration were constructed by using Kigging method to look into spacial rainfall variation aspec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recent rainfall increase in the South Korea. And spatial increase pattern of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rainfall appeared analogously each other. 1n the cases of comparatively short rainfall duration, we could see relatively low increase or decrease tendency in Chungchong Province, Cholla-bukdo, Cholla-namdo eastern part, Kyongsang-namdo western part area. While, variations happened great1y in seaside district of east coast, southwest seashore, Inchon area etc. In the cases of longer durations relatively low increase was showed in southern seashore such as Yeosoo area and as distance recedes from this area, showed gradually augmented tendency. The aspect of mean looks similar tendency of above except that the variation rate of almost seaside district are big in the case of shorter durations. In addition, rainfall increases of short durations which became the center of hydrologist and meteorologist are unconfirmed in this study.

  • PDF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 박민규;유철상;김현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37-1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하여 측우기자료와 현대자료를 비교하였다. 측우기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빈도해석에서 필요한 특정지속기간의 연최대치 계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관측기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호우사상 개념을 이용해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작성하였다. 연최대호우사상은 이변량지수분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모수 추정을 위해 연도별 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절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연도별 모수를 이용할 경우의 결과가 모수의 경년별 변동성이 연강수량의 변동성과 비교해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독립호우사상을 비교한다면 현대기록이든 측우기기록이든 강우지속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현대보다는 측우기 관측기록의 경우가 총강우량과 강우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최대 호우사상의 비교에서는 측우기에 비해 현대의 경우가 강우지속기간이 현격하게 길어지면서 강우강도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총강우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최대호우사상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현대관측기간 동안에는 강우지속기간과 총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측우기 관측기록과 비교시에는 일정한 주기성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홍수 빈도 예측을 위한 통계학적 모형 (The Statistical Model for Predicting Flood Frequency)

  • 노재식;이길춘
    • 물과 미래
    • /
    • 제25권2호
    • /
    • pp.89-97
    • /
    • 1992
  • 본 연구는 한강유역내 수위표지점 중에서 댐에 의한 인위적 유량 조작을 받지 않는 자연하천유역에서의 지점들을 대상으로 홍수빈도예측을 위한 통계학적 모형의 적용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적용 가능한 것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홍수빈도모형에 의한 홍수추정량으로 부터모형의 통계학적 효용성을 검토한 결과, 단 기간 기록년수의 자료에서 유용한 부분기간치계열 방법에 의한 POT모형이 연최대치계열 방법에 의한 ANNMAX형보다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 PDF

수리구조물의 파괴위험도와 설계홍수량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II) - 비연초과치 계열을 중심으로 - (Hydrological Studies on the design flood and risk of failure of the Hydraulic Structures( II))

  • 이순혁;박명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9-78
    • /
    • 1986
  • This studies were establish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distributiom for the number of occurrence and magnitude, probable flood flows according to the return periods, design floods, and design frequency factors for the studying basins in relation to the risk levels which can be correlated with design return period and the life of structure in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Eight watersheds along Han, Geum, Nak Dong and Seom Jin river basin were selected as studying basin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1. Poisson distribution and Exponential distribution were tested as a good fitted distributions for the number of occurrence and magnitude for exceedance event, respectively,at selected watersheds along Han, Geum, Nak Dong and Seom Jin river basin. 2.Formulas for the probable flood flows and probable flood flows according to the return periods were derivated for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at the selected watersheds along Han, Geum, Nak Dong, and Seom Jin river basin. 3.Analysis for the risk of failure was connected return period with design life of structure in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4.Empirical formulas for the design frequency factors were derivated from under the condition of the return periods identify with the life of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risk levels in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5.Design freguency factors were appeared to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turn periods while those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levels of the risk of failure. Numerical values for the design frequency factors for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ware appeared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annual maximum series already published by the first report. 6. Design floo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risk levels could be derivated by using of formulas of the design frequency factors for all studying watersheds in the nor-annual exceedance series.

  • PDF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한 확률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Frequency-Based Flood Using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 이길성;박경신;정은성;김상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49-22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 하였다. 지점빈도 분석은 Annual Maximum Series(AMS) 및 Partial Duration Series(PDS)를 이용하여 자료를 추출하고 각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AMS를 이용한 확률홍수량의 산정은 표본의 개수가 부족하면 이에 따른 변동성(variability)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PDS를 사용하면 임계값(threshold)에 따른 주관적 영향이 결과에 반영되는 단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DS를 사용하는 경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 1.7회의 발생횟수를 갖는 자료를 추출하고 몬테카를로 모의시험을 통하여 주관적 영향을 제거하였다. 또한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의 비교검토를 위해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역의 면적과 일평균강우량으로부터 확률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Bayesian-Generalized Least Square(B-GLS) 방법을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안양천 유역의 13개 소유역에 대한 세 가지 방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특정한 방법이 항상 우수하다는 결론은 얻을 수 없었으나 각 유역별로 AMS가 가장 크고 B-GLS가 가장 작은 확률홍수량을 갖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고정시간과 임의시간에 따른 우리나라 연최대강우량의 환산계수 산정 (Conversion Factor Calculation of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in Korea Between Fixed and Sliding Durations)

  • 오태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B호
    • /
    • pp.515-524
    • /
    • 2008
  • 합리적인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다. 확률강우량은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자료로부터 각 지속기간에 해당하는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구성한 자료의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하게 된다. 연최대치 강우 계열은 대부분 시간강우량 또는 일강우량 자료를 통해 추출하므로, 적절한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연최대치 강우 계열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관측한 37개 지점의 분단위 강우자료와 시간 및 일 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지속기간별로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환산계수를 회귀분석하여 지속기간에 따른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의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추정된 환산계수를 연최대치 강우 자료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