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nexin V

Search Result 3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ranscriptional Profile and Cellular Effects on Treatment of Methylmercury Using Human Cdna Microarray

  • Kim, Youn-Jung;Yun, Hye-Jung;Jeon, Hee-Kyung;Chai, Young-Gyu;Ryu, Jae-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29-129
    • /
    • 2003
  • Methylmercury is known to have devastating effects on the mammalian nervous system. Whe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were treated with MeHg at sublethal concentrations (6.25 uM), up-regulated genes (39) & Down-regulated genes (19) were identified by microarray.(omitted)

  • PDF

Codonoposide $1_c$ is a potent inducer of apoptosisin Human Leukemia cell line, HL-60.

  • Lee, Kyung-Won;Lee, Kyung-Tae;Park, Hee-Juhn;Choi, Jong-Won
    • Proceedings of the PSK Conference
    • /
    • 2003.10b
    • /
    • pp.159.2-159.2
    • /
    • 2003
  • Codonopside lc is an active natural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Campanulaceae), a Korean medicinal herb.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effect of Codonopside 1c on the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L-60 human promyelocytic cells. When HL-60 cells were treated with Codonopside 1c, evidence of apoptotic features, including DNA fragmentation, formation of DNA ladder in agarose gel elecrophoresis and increse of annexin V binding, were obtained. (omitted)

  • PDF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s on Candida albicans and Trichophyton rubrum and its Induction of Apoptosis (키토산의 Candida albicans와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항진균 작용과 Apoptosis 유도작용)

  • Chee, Hee-You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4 no.2
    • /
    • pp.119-121
    • /
    • 2006
  •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 ($M.W.\;400,000{\sim}500,000$) and chitooligosaccharide ($M.W.\;3,500{\sim}5,000$) was investigated against Candida albicans and Trichophyton rubrum. Chitosan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nd T. rubrum at 50 and 100 ng/ml, respectively while chitooligosaccharide did not suppress the growth of fungus. The mode of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 was found to be fungicidal activ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of apoptosis by chitosan, exposure of phosphatidylserine on the surface of the cytoplasmic membrane was observed by the FITC-annexin V re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tosan induced apoptosis on C. albicans.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Neuroblastoma SK-N-SH Cells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신경아세포종 SK-N-SH 세포에 미치는 영향)

  • Sim, Jae-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3
    • /
    • pp.53-69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신경아세포종의 암세포주인 SK-N-SH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SK-N-SH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와 LDH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세포형태의 관찰과 DAPI, TUNEL, Annexin V-PI double staining assay 및 cell detachment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DNA fragmentation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caspase-3, -9의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SK-N-SH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신경아세포종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 관찰에서 세포독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암세포성장의 유의한 억제는 $20{\mu}g/m{\ell}$ SVT에 의해서만 나타났다. 2.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에서는 세포자멸사 활성세포가 미약하게 나타난 반면 cell detachment assay와 Annexin V-PI double staining에서는 각각 세포박리와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의 세포주기, 세포 내 칼슘양 및 DNA fragmentation에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세포내 활성산소 양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SK-N-SH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Bax에 대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aspase-3 및 caspase-9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 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K-N-SH의 세포박리와 유관한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Neuroblastoma SK-N-MC Cells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이 신경아세포종 SK-N-MC 세포에 미치는 영향)

  • Sim, Jae-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41-57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신경아세포종의 암세포주인 SK-N-MC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SK-N-MC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와 LDH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세포형태의 관찰과 DAPI, TUNEL, Annexin V-PI double staining assay 및 cell detachment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DNA fragmentation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caspase-3, -9의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SK-N-MC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신경아세포종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에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 관찰에서 $20{\mu}g/m{\ell}$ SVT 처리가 암세포성장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관찰에서 SVT처리는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 2.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에서는 세포자멸사 활성세포가 미약하게 나타난 반면 cell detachment assay와 Annexin V-PI double staining에서는 각각 세포박리와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의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및 DNA fragmentation에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세포내 활성산소 양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SK-N-MC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caspase-9에 대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Bax 및 caspase-3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므로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K-N-MC의 세포박리와 유관한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므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

Induction of cytoprotective autophagy by morusin via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Park, Hyun-Ji;Park, Shin-H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v.14 no.5
    • /
    • pp.478-489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Morusin, a marker component of Morus alba L., possesses anti-cancer ac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utophagy-inducing effect of morusi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ells and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 SUBJECTS/METHODS: Autophagy in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were analyzed by LC3 immunofluorescence and western blot, respectively. The role of autophagy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was determined by treating NSCLC cells with bafilomycin A1, an autophagy inhibitor, and compound C, an AMPK inhibitor.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duction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trypan blue exclusion assay, annexin V-propidium iodide (PI) double staining assay, and cell cycle analysis. RESULTS: Morusin increased the formation of LC3 puncta in the cytoplasm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5 (Atg5), Atg12, beclin-1, and LC3II in NSCLC cells, demonstrating that morusin could induce autophagy. Treatment with bafilomycin A1 markedly reduced cell viability but increased proportions of sub-G1 phase cells and annexin V-positive cells in H460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rusin can trigger autophagy in NSCLC cells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morusin-induced apoptosis. Furthermore, we found that AMPK and its downstream acetyl-CoA carboxylase (ACC) were phosphorylated, whil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its downstream p70S6 kinase (p70S6K) were dephosphorylated by morusin. Morusin-induced apopto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ment with compound C in H460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usin-induced AMPK activation could protect NSCLC cells from apoptosis probably by inducing autophagy.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combination treatment with morusin and autophagy inhibitor or AMPK inhibitor might enhance the clinical efficacy of morusin for NSC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