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systematics

검색결과 1,33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한국산 가시톡토기 과 (곤충 강: 톡토기 목)의 문제 2아속의 계통분화 (Phylogenetic Study of Two Problematic Subgenera of Tomoceridae (Insecta : Collembola) from Korea)

  • 박경화;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1-25
    • /
    • 1999
  • 가시톡토기 과에서 분류학적으로 문제되는 2아속 3종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형태형질 및 효소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형질분석과 효소의 분석에서 서로 다른 계통수가 만들어졌다. 형태형질분석에서는 아속간에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효소분석의 경우 아속간에 확실히 구분되었으며 유전적 차이도 매우 컸다. 그러나 이들 계통수들은 distance method나 분지분석방법에서 모두 같은 분지순서를 나타냈는데 특히 형태형질분석의 경우에 형질평가방법과 형질비평가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같았다. 본 연구 결과 어떤 중요한 형태적인 형질이 효소분석에서 처럼 유전적 분화를 나타내면 강렬한 분류형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해양 완보류의 분류학적 연구 I. Batillipes 속 (이완보 강: Batillipedidae 과) (Taxonomic Study of Marine Tardigrades from Korea I. Genus Batillipes (Heterotardigrada: Batillipediae))

  • 노현수;민봉희;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07-118
    • /
    • 1999
  • 1995년 2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한국 해안의 조간대와 조하대의 모래틈이나 부식질틈에서 채집된 Batillipes 속 해양완보류를 조사한 결과, 29개 지점에서 출현한 8종을 동정.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1종(B. rotundiculus n. sp.)은 신종, 5종(B. pennaki Marcus, B. similis Schulz, B. tridentatus Pollock, B. crassipes Tchesunov and Mokievsky, B. philippinensis Chang and Rho)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신종을 기재하였고, 5종의 한국 미기록종에 대하여는 삽화와 함께 간략히 고찰하였으며, 한국산 Batillipes 속에 대한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제주도산 육서 등각류(절지동물문, 갑각류) (Terrestrial Isopoda (Crustacea) from Cheju Island, Korea)

  • Do Heon K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509-538
    • /
    • 1995
  • 제주도와 추자군도의 육서 등각류 21종을 보고하였다 Quelpartoniscus를 신속으로, Q. granulatus를 신종으로 기재하였다. Koshiniscus Nunomura를 Armadilloniscus Uljanin의 동물이명으로 처리하였다. Armadilloniscus hoshikawai Nunomura와 A. amakusaensis Nunomura는 A. ellipticus의 Mongoloniscus nipponicus(Arcangeli)는 M. vannamei(Arcangeli)의 , Nagurus tsushimaensis Nunomura. N. pallidus Nunomura 및 Mongoloniscus nigrogranulatus Kwon and Taiti는 M. koreanus (Verhoeff)의 동물이명이었다. Nagurus sinuosus Nunomura는 Lucasioides 속으로, Protracheoniscus pannuosus Nunomura(동물이명인 P. awaensis Nunomura, Nagurus gotoensis Nunomura 및 N. izuharaensis Nunomura 포함)는 Agnara속으로 Armadillo obscurus Budde-Lund는 Venezillo속으로 이전하였다. 이전의 기재가 명확하지 않은 종들은 그림과 함께 재기재하였다.

  • PDF

한국산 잎응애 상과의 목록 및 검색표 (A Check List and Key to the Tetranychod Mites (Acari: Chelicerata) of Korea)

  • 이원구;이정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45-58
    • /
    • 1992
  • Tetranychoid mites found from Korea until now are 42 species belonging to 12 genera, 2 families as follows: 1 Bryobia japonica Ehara et Yamada, 2. B. praetiosa Koch, 3. B. rubrioculus(Scheuten), 4. Petrobia latens(Muller), 5. Aponychus corpuzae Rimando, 6. A firmianae(Ma et Yuan). 7. Panonychus citri(McGregor), 8. P. ulmi(Koch), 9. Eotetranychus carpini Oudemans, 10. E. hicoriae(McGregor), 11. E. populi(Koch), 12. E. rubiphilus (Reck), 13. E. sexmaculatus (Riley), 14. E. smithi Pritchard et Baker, 15. E. tiliarium (Hermann), 16. E. uchidai Ehara, 17. Schizotetranychus bambusae Reck, 18. S. celarius(Banks), 19. S. leguminosus Ehara, 20. Oligonychus aceris(Shimer), 21. O. clavatus(Ehara), 22. O. hondoensis(Ehara), 23. O. ilicis(McGregor), 24. O. karamatus(Ehara), 25. O. orthius Rimando, 26. O. peridtus Pritchard et Baker, 27. O. shinkajii Ehara, 28. O. pustulosus (Ehara), 29. O. ununguis(Jacobi), 30. O. sp. 31.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32. T. phaselus Ehara, 33. T. truncatus Ehara, 34. T. urticae Koch, 35. T. vienensis Zacher, 36. Aegyptobia nothus Pritchard et Baker, 37. Pentamerismus taxi (Haller), 38. P. oregonensis McGregor, 39. Brevipalpus californicus(Banks), 40. B. lewisi McGregor, 41. B. obovatus Donnadieu, 42. Tenuipalpus zhizhilashviliae Reck. On the above species, a taxanomic key was made and ecological data including distribution and host plan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PDF

Gonepteryx속(인시목: 흰나비과) 교미낭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분석 (A Microscopic Study of the Bursa Copulatrix of Gonepteryx (Lepidoptera: Pieridae))

  • 정선우;이창언;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121-128
    • /
    • 1992
  • 흰나비과중 Gonepteryx속의 6아종에 대한 교미낭을 해부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종간의 형태를 비교분석 하였다. 흰나비과의 다른 속에서처럼 이속의 교미낭도 ductus bursa, corpus bursa 그리고 appendix bursa의 세 부분으로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corpus bursa의 형태는 종에 따라 그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였으나 signum은 모두 ribbon모양으로 속내에서 매우 안정된 형태를 보였다. Signum주위 내벽에는 동심원상으로 많은 주름이 발달해 있었으며 그곳에는 내벽돌기가 없었고 맞은편에 광범하게 분포하였다. 내벽돌기는 대부분 방추형이었으며 교미낭의 형태와 내벽돌기의 상태로 고려했을때 G. aspasia와 G.taiwana가 속내에서 가장 유사한 종들로 인식되었다.

  • PDF

Drosophila robusta species group 2종 (D.lacertosa 와 D.sordidula)의 mtDNA 변이에 의한 종분화정도

  • 최준길;박제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69-477
    • /
    • 1995
  • Drosophila virilis section 중 D. robusta 종군내에서 D. lacertosa 아군의 D. lacertosa 와 D. robusta 아군의 D.sordidula 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 및 세포학적 특징(핵형분석)간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 두종을 대상으로 종의 분화정도와 종형성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0가지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mtDNA 의 절단인식부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D.lacertosa 와 D.sordidula 의 전체 genome size는 공히 15.7kbp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mtDNa 의 제한효소 fragment 수는 각각 26개와 32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 종류의 제한효소를 동시에 처리하여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보았을 때, 이들 두종의 제한효소 지도의 형태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종군내에서 형태학적 , 세포학적 차이 및 mtDNA 의 제한효소 지도에 의한 차이로 볼 때 이들 2종의 차이는 아군수준으로까지 분류할 수 있을정도로 두종의 분화가 오래전에 이루어졌음을 시사하였다.

  • PDF

A New Species of Farranula (Copepoda: Cyclopoida: Corycaeidae) from the West Central Pacific, with a Key to Species of the Genus

  • Wi, Jin Hee;Soh, Ho Young;Jeong, Hyeon Gyeong;Kang, Hyung-K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1호
    • /
    • pp.31-41
    • /
    • 2015
  • A new species of the genus Farranula Wilson, 1942 (Cyclopoida, Corycaeidae) is described based on both sexes collected off Chuuk Island in Micronesia (West Central Pacific). The new species F. dahlae differs from its close congener F. gibbula (Giesbrecht, 1891) in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 in both sexes: body length is longer, length to width ratio of caudal rami is larger, basal element of maxilliped is distinctly longer, and terminal spine to distal segment ratio of P4 is smaller; while in females, lateral margins of fourth pedigerous somite are extended to mid-region of second urosomal somit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urosomal somite is located at middle region in dorsal and lateral views, and length ratio of caudal seta III to seta V is much larger; and in males, sharply contracted portion of second somite is located at two-thirds distance from anterior margin. Some additional morphological details of F. gibbula are given and a key to species of the genus Farranula is provided.

Metacyclops woni n. sp., a New Cyclopoid Species (Copepoda: Cyclopoida: Cyclopidae) from Cambodi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4호
    • /
    • pp.247-256
    • /
    • 2015
  • A new cyclopoi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Metacyclops Kiefer, 1927 is described, based upon the specimens from a temporary pool in a forest of Mt. Phnom Domnak Dambouk, situ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Cambodia. Metacyclops woni sp. nov. is characterized by its quite short caudal rami, about 2.5 times longer than wide, with a spinule row on anterior quarter of lateral margin. This new species belongs to the species group with the spine formula 3,4,4,3 of swimming legs 1-4. Among the members of the species group with the combination of characters of 11-segmented antennule and a single apical spine on the second endopodal segment of leg 4, it most resembles M. deserticus Mercado-Salas and Suárez-Morales, 2013 from Mexico in carrying an outermost caudal seta slightly longer than the innermost caudal seta and an apical spine on the second endopodal segment of leg 4 slightly shorter than the segment. However, it differs clearly from the present new species by much longer caudal rami with lateral caudal seta at nearly halfway of lateral margin of the ramus and smooth posterior margin of intercoxal sclerites of legs 1-4.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Metacyclops from Cambodia and the fourth one from Southeast Asia.

Two New Species of Leptochelia (Crustacea, Tanaidacea)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 Wi, Jin Hee;Jeong, Man-Ki;Jeong, Hyeon Gyeong;Park, Kwang J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4호
    • /
    • pp.284-295
    • /
    • 2015
  • Two new species of Leptochelia Dana, 1849 are described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Leptochelia grandidentata n. sp. is similar to L. itoi and L. lusei characterized by pleonites 4 and 5 of subequal lengths and a uropod endopod with 4 articles but differentiated by a cheliped fixed finger longer than the dactylus and with 4 teeth along the incisive margin, a maxilliped basis with 4 distal setae, and pereopod 1 propodus that is much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unguis and dactylus. Leptochelia suhi n. sp. shares some features of L. myora with the first article of the uropod endopod longer than the second article and a maxilliped endite with 3 spiniform distal setae but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cephalothorax being longer than the pleon, the relatively longer antennule article 3 compared to article 2, and the cheliped fixed finger with 3 robust teeth along the incisive margin. In this study, full descriptions of L. grandidentata and L. suhi are given, and a comparison with closely related species belonging to the ‘dubia/savignyi group’ is tabulated and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