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imal husbandry

검색결과 746건 처리시간 0.023초

축산식품(畜産食品)의 잔류농약(殘留農藥)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 우유(牛乳) 및 식육중(食肉中) 유기염소제(有機鹽素劑)의 잔류량조사(殘留量調査) (Studies on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Livestock Products 3.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Milk and Meat)

  • 조태행;황대우;이문한;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3-71
    • /
    • 1977
  • During the period of March, 1976 to December, 1976, 48 raw milk samples were taken from dairy cows at 48 different dairy farms in Korea analyz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to determin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amount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At the same time 80 market milk, 10 beef and 10 pork samples were analyed by the same procedure for checking residual leve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Milk samples from 17 dairy farms (36 per cent of tatal) were shown to be contaminated with various organochlorine pesticides. The residua lrate of ${\gamma}-BHC$ in tested samples were 44per cent (14 sam ples) that of aldrine was 28 per cent (9 samples) and those of pp'-DD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9.3 percent (3 samples) respectively. 2. In raw milk pp'-DDT, ${\gamma}-BHC$,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and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the market milk. Any kind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beef samples bu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pork samples. Average residual values of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in the market milk were 0.0077 ppm (0.0000~1.1100 ppm), 0.0001ppm (0.0000~0.0500 ppm) and 0.0008 ppm (0.0000~2.0520 ppm), respectively, and those of dieldrin and heptachlor in pork samples were 0.0010 ppm (0.0000~0.0100 ppm) and 0.0033 ppm (0.0000~0.0330 ppm). respectively. 3.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extremely variable; in fact pp'-DDT was detected in milk samples from A, B, C and D districts and endrin was not detected from all districts. The ${\gamma}-BHC$ and dieldrin were detected at the district of A, C and D, aldrin at the districts of A and C and heptachlor at the districts of both A and D. 4. Seasonal trends of residual val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in general, noticeable. The residual level was much higher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and showed the tendeney of decrease from spring through summer and autumn generally; in the case of pp'-DDT average residual values were 0.0121 ppm in spring, 0.0022 ppm in summer and not detected in autumn. But in winter ${\gamma}-BHC$ and aldrin residues were increased a little. Residual values in raw milk (when cow are fed on hay and silage) were appeared higher in winter than the other seasons. 5.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not related in respect to hygienic conditions of dairy farms pp'-DDT and heptachlor were, in general, detected in all farms and aldrin was more detected in milk from well sanitated farms than poor sanitated ones.

  • PDF

체외생산된 생쥐배에 대한 EGF와 EGF-R 발현에 관한 연구;I. 체외수정된 생쥐배 발달에 대한 EGF 첨가제 효과와 EGF-R 발현 (Study 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Expression of EGF-Receptor (EGF-R) in Mouse IVF/IVC Embryo;I. Additive Effect of EGF and Expression of EGF-R on Mouse IVF Embryo Development)

  • 김은영;엄상준;김묘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13-20
    • /
    • 1997
  • 본 연구는 EGF가 체외수정된 생쥐배의 착상전 발달 및 inner cell mass (ICM) 과 trophectoderm (TE)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와 더불어 간접 면역형광방법을 이용하여 배 발달 단계에 따른 EGF-receptor (EGF-R) 단백의 발현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세포기 배의 group (5/25 ${\mu}l$)배양은 단독 배양보다 양호한 배 발달을 유도 할 수 있었으며, 단독 배양에서의 저조한 배 발달은 EGF를 첨가함으로서 개선시킬 수 있었다. 특히, 10 ng/ml의 EGF가 첨가된 단독배양군 (62.4%)은 단독대조군 (47.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배 발달을 나타냈다. 또한, ICM과 TE세포수 공히 EGF첨가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발달단계에 미치는 EGF의 효과를 검토하였던 바 4-세포기 이후의 배 발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배반포기배의 ICM도 동시에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간접면역형광에 의한 EGF-R의 발현유무를 조사한 결과, 4-세포기 이후에 EGF-R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GF는 착상전 생쥐배의 4-세포기 이후에 발현되는 EGF-R에 반응하여 배 발달을 유기하며, 또한 배반포기배의 ICM과 TE세포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체외생산된 생쥐배에 대한 EGF와 EGF-R 발현에 관한 연구;II. 체외생산된 생쥐 배반포기배 ICM세포에서의 EGF-R 발현 (Study 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Expression of EGF-Receptor (EGF-R) in Mouse IVF/IVC Embryo;II. Expression of EGF-R on the Inner Cell Mass (ICM) of Mouse IVF/IVC Blastocyst)

  • 김은영;김묘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21-26
    • /
    • 1997
  • 본 연구는 체외생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ICM 세포에서 EGF-R 발현유무를 immunosurgery와 indirect immunofluorescence (간접 면역 형광방법) 을 이용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ICM 세포는 체외수정 후 96시간째에 회수된 생쥐 배반포기배를 immunosurgery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졌으며, 회수된 ICM세포는 생사유무와 EGF-R 발현유무 조사에 공시 되어졌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CM세포의 회수율은 rabbit anti-mouse serum (antiserum) 과 guinea pig serum (complement) 에 각각 15-30 분과 15-60분 동안 처리 했을 경우 8.0-84.2% 였으며, 또한 처리시간이 각각 30분과 60분일 때 가장 높은 회수율 (84.2%) 을 얻었다. Immunosurgery 후 얻어진 ICM세포의 생존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live/dead염색 방법을 이용하였던 바, 처리된 ICM세포중 93.8-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회수된 ICM세포는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접면역 형광방법을 이용하여 ICM세포에서 EGF-R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ICM세포에서의 EGF-R의 발현은 인위적으로 첨가된 EGF의 이용가능성을 높임으로서 체외에서의 착상전 배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동결-융해된 인간 배반포기 배 유래의 배아 간(幹) 세포 배양 (Establishment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from Frozen-Thawed Blastocysts)

  • 김은영;남화경;이금실;박세영;박은미;윤지연;허영태;조현정;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33-40
    • /
    • 2001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human embryonic stem (ES) cells derived from frozen-thawed blastocyst stage embryo that were destined to be discarded after five years in routine human IVF-ET program. Methods: Frozen-thawed and survived human blastocysts were treated by immunosurgery, and recovered ICM cells were cultured onto STO feeder cell layer and ICM colony was subcultured by mechanical dissociation into clumps. To identify ES cell,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and expression of Oct4 in replated ICM colonies were examined.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 cell differentiation, retinoic acid (RA),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nerve growth factor (NGF) were added in culture medium. In addition, to classify the specific cell type, differentiated cells were stain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Results: One ICM colony recovered from frozen-thawed six blastocysts was subcultured, continuously replated during 40 passage culture duration without differentiation. Subcultured colonies were strong positively stained by alkaline phophatase. When the expression of Oct4 in cultured ES colony was examined, Oct4b type is more clearly indicated than Oct4a one although there was not detected in embryoid body or differentiated cells. In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from ES colony, cells were beaten regularly (60 times/min). In differentiated neural cells from ES colony, neurofilament (NF) 200 kDa protein,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MAP) 2 and ${\beta}$-tubulin of specific marker in neurons,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of specific marker in astrocytes and galactocelebrocide (GalC) of specific marker in oligodendrocytes were confirm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Also, muscle cells were detect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In addition, ES colonies can be successfully cryopreserv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human ES cells can be successfully derived from frozen-thawed blastocysts that were destined to be discarded, and obtained specific cell types (cardiomyocytes, neurons and muscle cells) through the in vitro differentiation procedures of ES cells.

  • PDF

국내육성 및 외국도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사초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Italian Ryegrass Cultivar in Korea)

  • 고기환;김종관;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7-302
    • /
    • 2015
  • 본 시험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전국 3개 지역 (전남 구례, 경북 상주 및 충남 천안)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과 사초생산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하여 7개 품종을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하였다. 품종은 '코윈어리', '플로리다 80', '연봉1호', '연봉2호', '연봉3호', '계명1호', 및 '계명2호' 공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의 경우 전남 구례는 2013년 10월 4일, 경북 상주는 10월 8일, 충남 천안은 10월 3일 파종하였다. 한편 수확시기는 품종의 평균 출수기로 전남 구례와 경북 상주는 2014년 4월 26일에 수확하였으며, 충남 천안은 4월 24일에 수확하였다. 공시한 7품종은 내병성, 내충성 및 내한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내도복성은 공시품 종 모두 약하였다. 전국 3개 지역에서 '연봉1호', '연봉2호' 및 '계명1호'의 출수기가 다른 품종보다 빨랐다. 출수기가 빠른 조생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건물률이 높고 초장도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조생종은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다른 품종보다 많았다. 본 시험결과를 볼 때 숙기가 빠른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초장이 높고, 건물률, 생초수량 및 건물수량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숙기가 빠르고 사초 생산성이 우수한 조생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2모작체계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지역에서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udangrass hybrid and Oat in Cropping After Corn for Silage in K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1-86
    • /
    • 2014
  •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기가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수단그라스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5처리 3반복 귀리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수단그라스의 파종기는 2012년과 2013년에 7월 31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귀리는 2013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파하였다. 수확은 2012년 10월 26일과 2013년 11월 2일에 하였다. 수단그라스의 출수는 3차 파종기까지만 되었고 귀리는 2차 파종기의 것만 출수 되었다. 초장과 건물함량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수단그라스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파종기의 것이 다른 4파종기의 것보다 높았으며(P<0.05) 파종기 간에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귀리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및 2차 파종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3차 파종기의 것이 낮았다(P<0.05). 수단그라스와 귀리의 CP 함량은 파종기 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된 반면 ADF와 NDF의 함량은 감소되어 DDM 함량은 증가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재배 수단그라스의 파종시기는 8월 20일 이전 귀리의 파종시기는 8월 30일 이전까지 파종해야 수량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북에서 도입 콤먼베치 및 자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ommon Vetch (Vicia sativa) Cultivars and Korean Wild Common Vetch in K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7-122
    • /
    • 2013
  •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2모작 작부체계에 알맞은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콤먼베치의 품종을 선발 할 목적으로 헤어리베치 Cold green, 콤먼베치 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및 Blanchefleur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초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한 6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10년 10월 11일과 2011년 10월 3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2011년 5월 4일과 2012년 5월 10일에 실시하였다. 가을의 초형은 Wild common은 부복형이었으며 다른 품종들은 반직립형이었다. 유식물의 활력은 다른 품종들에 비해 Wild common이 다소 낮았다. 내한성은 Cold green과 Wild common이 우수했으나 다른 콤먼베치 품종들은 낮았다.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2일로 가장 빨랐으며 Wild common은 4월 26일 Rasina와 Blanchefleur가 4월 28일이었으며 Maxivesa가 5월 17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나머지 4품종보다 많았으며 (p<0.05), Maxivesa와 Blanchefleur는 Rasina와 Morava보다 높았다 (p<0.05). 2년차 시험에서도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 보다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다른 4품종보다 높았다 (p<0.05). 일반적으로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섬유소함량은 낮았다. 가을 파종 콤먼베치의 품종은 개화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한 Wild common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다-전핵기 (>2PN) 수정란의 초급속 동결에 관한 연구 (Cryopreservation of Human Multi-Pronuclear (PN) Zygote by Ultra-Rapid Freezing)

  • 김은영;이봉경;남화경;이금실;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29-134
    • /
    • 1998
  • 본 연구는 인간 전핵기 수정란의 동결시 election microscope grid론 사용하는 초급속 동결방법이 유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인간 IVF 시술시 생성되는 다-전핵기 (>2PN) 수정란을 정상 2PN 수정란 대신 사용하였으며, 또한 이들은 3PN과 $\geq4PN$ 수정란으로 나누어 전핵의 수에 따른 냉해와 융해 후 체외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동해제는 3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와 10% FBS 등이 D-PBS에 첨가되어 제작된 EFS3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급속동결-융해 후, 인간 다-전핵기 수정란의 생존율은 85.5%였다. 대조군과 동결군의 난할율을 진핵의 수에 따가 니누어 비교하였을 때, 각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PN; 81.3%와 85.4%, $\geq4PN$; 90.0%와 95.7%). 또한, 융해 후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던바, $\geq4PN$수정란에서는 동결군 (4.5%)의 체외발달이 대조군 (44.4%)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던 반면, 3PN 수정란에서는 동결군 (22.0%)의 결과가 대조군 (38.5%)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따라서 인간 다-전핵기 수정란은 EM grid와 EFS30 동결액을 이용한 초급속 동결로 배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돼지에서 서방형 성장호르몬의 약물동태 및 조직잔류성 (Pharmacokinetics and tissue levels of a sustained-release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in pigs)

  • 한성규;박상균;장병선;심석권;류판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3-52
    • /
    • 1998
  • 서방형 돼지성장호르몬(sustained-release formulation of porcine somatotropin, PST-SR)을 1주 간격으로 6차례 피하 및 근육주사하고 혈액과 조직중의 돼지 성장호르몬(PST)과 insulin-like growth factor 1(IGF-1)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혈중 PST와 IGF-1의 농도는 각각 2.41과 95.2 ng/ml 이었다. 1. PST-SR을 투여한 후 PST의 혈중농도는 8시간만에 최대에 도달하여(30 ng/ml) 곧 감소하였다. 혈중농도 반감기(decay half life)는 91~227시간이었다. IGF-1의 혈중농도는 투여후 12시간에 최대에 도달하였으며(165 ng/ml),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고 반감기는 77~99시간이었다. 2. 혈중 PST농도-시간의 자료는 제재에서 PST가 유리되는 과정에는 두단계 즉, 투여후 24시간까지의 유리속도가 빠른 단계와 그 이후의 유리속도가 느린 단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3. 여섯번의 반복투여기간에는 PST의 혈중농도는 투여직후 증가하여 24시간 이후 다음 투여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패턴이 반복되었고, 최종투여후 1주일경에는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반면에 투여가 반복됨에 따라 매 투여직후의 PST의 혈중 최고치는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20~40 ng/ml). IGF-1의 혈중농도는 투여가 반복됨에 따라 누적적인 증가현상이 뚜렷하였으며, 이후 2주일후 까지도 정상농도보다 높게 유지되었다(200ng/ml). 임상용량 투여군에서 PST 및 IGF-1의 혈중농도는 투여경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최종(6번째) 투여후 6, 8, 10, 14일에 조사한 간장, 신장, 소장, 근육, 지방 및 주사부위의 조직중의 PST 농도는 6일째에 이미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IGF-1의 경우 최종투여후 6일에는 간장, 신장, 소장, 지방조직에서 정상보다 높은 농도로 잔류하나 이후 14일까지 모두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5. 이상의 결과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서방형 PST제제는 최소 1주간 유효성이 유지되며, 동시에 PST는 투여 6일째에, IGF-1은 투여후 14일에 정상수준으로 회복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