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illa japonica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7초

뱀장어(Anguilla japonica) 자어 먹이공급 횟수가 초기 자어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Feeding Frequency Affects Early Larva Growth and Survival Rate in Eel Anguilla japonica)

  • 김신권;박수진;신민규;허상우;이배익;유용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51-556
    • /
    • 2020
  • Eel Anguilla japonica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inland culture fish species in East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in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rate were investigated. Eel larvae (average length, 6 mm) were fed a slurry-type diet containing shark eggs three, five, seven, or nine times per day. Survival rat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Feeding frequencies of at least five and seven times a day were required until 15 and 30 days after hatching, respectively, to maintain an acceptable survival rate. Leptocephalus growth improved with increased feeding frequency until 15 days after hatching.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early food intake enhances eel survival and growth in the early leptocephalus stage.

한국산 담수어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에 관한 연구 1. 뱀장어 및 메기의 단생흡충 (Studies on Monogenean Trematodes Classification from Cultured Freshwater Fishes in Korea 1. Monogenean Trematodes from Anguilla japonica and Parasilurus asotus)

  • 한정조;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6
    • /
    • 2000
  •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전라남 북도 및 충청남도 일원의 내수면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뱀장어(Anguilla japonica)와 메기(Parasilurus asotus)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아가미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4종의 단생흡충류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단생흡충류는 모두 아가미 흡충으로서 뱀장어에서는 Pseudodactylogyrus bini(KIKUCHI, 1929), P. anguillae(YIN & SPROSTON, 1948), 메기에서 Ancylodiscoides infundibulovagina(YAMAGUTI,1941) 및 Ancylodiscoides sp.가 검출되었다.

  • PDF

뱀장어(Anguilla japonica)장의 상피세포막에 존재하는 새로운 clonidine 결합 수용체에 관한 연구 (A New Receptor for site Clonidine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Intestine)

  • 김흥태;서정수;박남규;이형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6
    • /
    • 2001
  • 해수에 적응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장 세포막으로부터 새로운 clonidine의 결합부위가 있음이 밝혀졌다. 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부위는 적어도 2개의 부위 (high affinity $K_d=1.4{\pm}0.3$ nMn= 5, low affinity $K_d=175{\pm}34$ nM)를 가지고 있었다. 2nM [$^3H$]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은 $20^{\circ}C$, pH 7.5에서 최적 결합능을 가지고 있었고, 라벨되지 않은 clonidine에 의해 가역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합은 adrenaline, yohimbine과 rauwolscine에 의한 저해능은 약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결합부위는 $\alpha_2$-adrenoceptor와는 상이하였다. 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은 다양한 imidazoline/guanidinium약물에 의해 억제되었다. Competition 실험의 결과, 2nM[$^3H$]clonidine의 치환 rank order는 다음과 같다. guanabenz > cirazoline = naphazoline=UK14,304= ST587 $\geq$ clonidine $\geq$ idazoxan = RX821002 = tolazoline > ST93 = oxymetazoline = amiloride = ST91 > yohimbine = efaroxan = rauwolscine $\geq$ adrenaline = ST567 = histamine = agmatine. 이러한 순서는 포유류에 분류된 imidazoline receptorl($I_1$), imidazoline receptor 2($I_2$) 및 imidazoline/guanidinium receptive sites(IGRS)형태와는 틀리기 때문에 새로운 imidazoline receptor라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보고된 포유류의 세포와 조직에서 IGRS의 생리학적인 역할은 명확하지 않지만, 해수뱀장어 장은 IGRS의 세포에 있어서의 역할 그리고 IGRS의 내인성(內因性) ligand가 무엇인가에 대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인위적으로 성숙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성숙란의 생화학적 과숙 특징 (Biochemical Overripeness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ly Maturat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Egg)

  • 권오남;아다찌신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6-180
    • /
    • 2008
  • 본 연구는 인위적으로 배란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배란란의 과숙특징을 생화학적으로 밝히고, 과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뱀장어 성숙란의 수정률과 부화율, 부화 후 3, 10일 후 생존율과의 관계는 Y=0.7954X+32.448($R^2=0.8176$, P=6.35E-7), Y=1.0241X-26.401($R^2=0.8121$, P=5.95E-27) 및 Y=0.9314X-24.814($R^2=0.7619$, P=7.33E-14)였다. DNA 함량은 부화율의 감소와 함께 20% 이하의 부화율을 보이는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0.653 pg/ug protein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들의 비는 부화율이 20% 이하의 난에서 1.0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비를 보였다(P<0.05). 또한 부화율에 따른 total alkaline protease와 ACPase 활성은 모든 부화율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부화율 20% 이하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186.16 ug/mg eggs의 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뱀장어의 과숙란은 지속적인 단백질의 공급으로 정상란의 과숙화를 촉진하여 부화율이 저하된다. 결국 세포는 과숙으로 인해서 죽었기 때문에, 간에서 생성된 난황단백질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속도를 늦추어서 복강 내 배란 후 과숙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뱀장어(Anguilla japonica) 뇌하수체 세포의 번식 관련 유전자 mRNA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 (P4), 17β-estradiol (E2), Melatonin 및 Serotonin (5-HT)의 영향 (Effects of Progesterone (P4), 17β-estradiol (E2), Melatonin and Serotonin (5-HT) on the mRNA Expression of Reproduction-related Genes in the Pituitary Cells of Eels (Anguilla japonica))

  • 윤정희;하지은;김동우;박보령;민정희;문성희;권준영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2-42
    • /
    • 2023
  • 어류의 번식은 뇌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신경호르몬과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생식소 자극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번식도 이 호르몬들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지만 성 성숙 시 신경호르몬이 뇌하수체 호르몬을 조절하는 방법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전 연구에 의하면 progesterone (P4), melatonin 및 serotonin (5-HT) 등과 같은 신경호르몬이 일부 어류의 번식 과정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의 뇌하수체를 초대 배양하였고, 안정화된 뇌하수체 세포에 P4, 17β-estradiol (E2), melatonin 및 5-HT를 처리하였다. 이후 처리된 호르몬의 작용이 뇌하수체 세포에서 번식 관련 호르몬인 FSHβ, LHβ, GH 및 SL mRNA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P4는 뇌하수체 세포에서 FSHβ와 LHβ 발현을 증가시켰고, melatonin은 FSHβ와 LHβ 뿐만 아니라 GH와 SL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5-HT는 이 유전자의 mRNA 발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P4 또는 melatonin이 뱀장어의 초기 성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뱀장어(Anguilla japonica) 질병 모니터링: 혈관내피세포감염바이러스(JEECV)와 Edwardsiella anguillarum의 중요성 (Monitoring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diseases from 2021 to 2023: significance of Japanese Eel Endothelial Cells-infecting Virus (JEECV) and Edwardsiella anguillarum)

  • 김현경;장문희;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0
    • /
    • 2023
  • 최근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서 발생하고 있는 질병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는 폐사가 발생한 7개의 양만장 유래의 뱀장어를 7회 검사하였다. 모든 양만장에서 JEECV가 검출되었고 양만장마다 1-2종의 세균 (Edwardsiella anguillarum, E. piscisida, Aeromonas sp., Citrobacter freundii, Lactococcus garviae 혹은 Vibrio sp.)이 복합감염이 일어나 있었다. 2022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는 전라남도 영광의 한 양식장에서 매달 정기적으로 총 22회 검사를 실시하였다. JEECV가 22회 검사 중 10회 검출되었고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시기에도 꾸준히 검출되었다. 세균으로는 E. anguillarum, C. freundii, Aeromonas sp.와 Vibrio sp가검출되었으나 E. anguillarum이 분리된 개체만이 간의 농양과 출혈 병소가 일관되게 관찰되었고 다른 세균은 임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모니터링의 결과를 종합하면 양만장에서의 폐사는 JEECV 단독감염보다는 JEECV가 세균과 복합감염일 경우에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뱀장어의 폐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JEECV와 E. anguillarum의 관리에 중점을 두고 복합감염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antioxidant enzymes and bioaccumulation in eels (Anguilla japonica) by acute exposure of waterborne cadmium

  • Ahn, Tae-Young;Park, Hee-Ju;Kim, Jun-Hwan;Kang, Ju-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23.1-23.1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ute effects of waterborne cadmium exposure on bioaccumul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 eels (Anguilla japonica) and to determine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50). Fish were exposed to different cadmium concentrations (0, 0.15, 0.30, 0.61, 1.83, 3.08, 3.67, 4.29, and 5.51 mg L-1) for 96 h. The LC50 of A. japonica to cadmium was 3.61 mg L-1. Cadmium accumulation generally increased in tissues with increasing waterborne cadmium concentrations. At ≥ 1.83 mg L-1 exposure, all tissues accumulated significant cadmium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order of kidney > liver > gill > spleen > muscle. Measurements of variation in actual cadmium concentrations showed that a reduction of the metal in experimental water was related to cadmium accumulation in tissues. As activity alteration of antioxidant enzymes for reactive oxygen species,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increased at ≥ 0.61 mg L-1 significantly,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ute exposure to waterborne cadmium is potentially fatal to A. japonica due to the metal's major accumulation in various tissues and the effec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