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illa bicolor pacific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국내양식 민물장어 4 종(Anguilla japonica, A. rostrata, A. bicolor pacifica 및 A. marmorata)의 주요 영양성분의 평가 (An Evaluation of Major Nutrients of Four Farmed Freshwater Eel Species (Anguilla japonica, A. rostrata, A. bicolor pacifica and A. marmorata))

  • 안준철;정원석;나진호;윤형복;신경재;이경우;박준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4-50
    • /
    • 2015
  • The basic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of two temperature (Anguilla japonica and A. rostrata) and two tropical (A. bicolor pacifica and A. marmorata) fresh water eel species that are farmed domestically were evaluated. With exception of A. rostrata, eels cultured at the same farm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were in the order A. marmorata (17.7%)>A. rostrata (17.5%)>A. bicolor pacifica (17.4%)>A. japonica (15.8%) and the contents of crude lipids were A. japonica (21.5%)>A. rostrata (15.4%)>A. bicolor pacifica (10.5%)>A. marmorata (8.9%). These values differed significantly even among the three species of eel farmed under identical culture conditions. In comparison, all four species of eel showed similar pattern in overall amino acid composition, although slight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s of some amino acids were observe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uscle tissues were notably different among four species of eel, especially between the tropical and temperature eels. In a taste-test of the meat of the four eel species, which considered taste, flavor and texture, the overall preference was in the order A. japonica, A. marmorata, A. bicolor pacifica and A. rostrata.

필리핀 연안에 접안하는 열대산 실뱀장어 Anguilla marmorata와 A. bicolor pacifica의 형태 및 유전적 특징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Tropical Glass eels Anguilla marmorata and A. bicolor pacifica from Philippines Coast)

  • 이남실;김재홍;이배익;김신권;나진호;김광석;김대중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09-1117
    • /
    • 2015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필리핀 현지에서 채집되는 Anguilla marmorata와 A. bicolor pacifica의 실뱀장어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과 7월에 필리핀의 루손섬 북쪽과 민다나오섬 남쪽의 기수지역에서 채집된 실뱀장어를 대상으로 현지에서 적용 가능한 등지느러미의 위치와 꼬리지느러미의 색소세포 침착형태 등의 외부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판별기법을 유전자분석과 함께 실시하여 그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5월 루손섬 북쪽의 시료는 A. marmorata가 90% 이상이었으며, 민다나오섬 남쪽의 시료는 A. mamorata와 A. bicolor pacifica가 각각 36.7%, 63.3%였다. 7월의 민다나오섬 남쪽의 시료는 A. mamorata와 A. biolor pacifica가 각각 46.7%, 53.3%로, 두 종간의 외부 형태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하는 종 분류기법은 유전자분석 결과와 일치하여 유효한 것으로 사료된다.

양식동남아산 뱀장어(Anguilla bicolor pacifica)의 Heterosporis anguillarum 감염 (The Infection of Heterosporis anguillarum in Cultured Shortfin Eel (Anguilla bicolor pacifica))

  • 김진도;도정완;최혜승;조혜인;이남실;김영대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82-388
    • /
    • 2014
  • 최근 뱀장어 양식장에서 사육 중이던 동남아산 뱀장어에 몸통 근육의 요철현상을 나타내면서 폐사를 일으키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병어의 몸통 근육 내 환부는 흰색 또는 황색으로 변해있었다. 병리조직학적인 변화는 근조직내에 수많은 포자와 크고 작은 시스트들이 변형된 근육근섬유 내에 관찰되었다. 병어의 근육 환부를 취하여 PCR을 실시하여 H. anguillarum이 가지는 특정 유전자인 Small subunit ribosomal RNA (SSU-rRNA)를 증폭하였다. 좀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PCR product를 Cloning 후 Sequencing하여 서열들을 분석한 결과 H. anguillarum의 Small subunit ribosomal RNA (Gene bank accession number: AB623036) 서열과 일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imer 18F과 1537R의 PCR product는 약 1366 bp 길이가 일치하였으며, V1과 1392R를 이용한 PCR product는 1200 bp가 일치하게 나타났다. 또한 H1과 H2의 PCR product의 경우는 800 bp 정도 일치하였으며 이의 서열은 나머지 2개의 product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서열이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산 뱀장어에 감염된 포자충은 H. anguillarum임을 동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