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inhibition activ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닭 쓸개 methanol 추출물의 생리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Chicken Bile)

  • 이남혁;김현덕;양승용;성기승;한동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31-636
    • /
    • 2004
  • 닭 쓸개의 생리기능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쓸개내 성분을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였고,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ACE 저해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TLC 및 HPLC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닭 쓸개의 담즙산 중에는 taurochenodeoxycholic acid와 taurocholic acid로 추정되는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taurochenodeoxycholic acid 가 5,893mg/100g, taurocholic acid는 385mg/100g이었다. 이들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c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쓸개의 냉동 건조물 및 m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 1,2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있어서도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ethanol 추출물이 냉동 건조물 보다 높게 나타났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작용에서도 methanol 추출물과 냉동건조물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첨가량을 증가시켰을 때 methanol 추출물의 작용이 냉동건조물의 경우보다 상승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 쓸개는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ACE 저해능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기능성 식품 등의 소재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 자생 해양 녹조류와 갈조류 추출물로부터의 항고혈압 활성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ial Marine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 차선희;안긴내;허수진;김길남;이기완;송춘복;김소미;전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07-314
    • /
    • 2006
  •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해양 녹조류와 갈조류의 항고혈압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해조류로부터 메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상온($20^{\circ}C$)과 $70^{\circ}C$에서 각각 4가지 종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스크리닝하였다. 결과, 녹조류에서는 비교적 낮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으나, 갈조류에서는 70ME 잇바디괭생이모자반, 말미역, 바위주름, 넓패, 톳, 다시마 및 70AE 감태에서 ACE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70AE 감태의 가수분해물은 $2.33{\sim}3.56{\mu}g/mL$$IC_{50}$값을 보여 매우 높은 AC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조류의 ACE 저해활성이 수용성 추출물뿐만 아니라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나타나는 것은 해조류 유래 fucoxanthin, phlorotannin 및 polyphenol계 화합물 등에 의한 영향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농축단호박 분말을 대체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Concentrated Sweet Pumpkin Powder)

  • 정기영;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9-855
    • /
    • 2008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66.80% by hot water extract and 41.86% by 80% methanol extract. Inhibition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were 91.09% by hot water extract and 75.20% by 80% methanol extract. In this study, Sulgidduk samples were prepared with 1, 3, 5, and 7% concentrated sweet pumpkin powder (CSPP), and a control were examin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CSPP in the formulation. The samples containing CSP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group. Water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lgidduk samples. For the color, the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lightness as compared to the samples containing CSPP. The samples containing 1 and 3% CSPP had significantly higher greenness than the samples containing 5 and 7% CSPP. Yellowness increased as the level of CSPP content increas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at the 1% substitution level, while lowest at the 3% level. The CSPP samp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nsumer acceptance and characteristic intensity rating tes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lor and flavor as compared to the CSPP samples. Pumpkin flavor, delicious taste, and off-flavor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SPP. Softness, overall acceptability, and gumm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samples tested. Sweetness was highest at the 5% substitution level, while lowest at the 1%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stituting $3{\sim}5%$ CSPP to Sulgidduk is optimal, providing goo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ACE as well as reasonably high overall acceptability.

주스착즙 방식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 변화 (Effect of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rrot juice)

  • 박혜정;김지윤;이송민;김희숙;이상현;이문현;장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9-378
    • /
    • 2019
  • 본 연구는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그리고 쌍기어 방식과 같은 착즙 방법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신선한 주스의 품질은 착즙률, 영양성분 및 층 분리 안정성을 통해 평가되었다. 쌍기어 착즙 방식은 가장 높은 착즙률을 보였다. 게다가 당근 주스의 미네랄 함량은 쌍기어 착즙방식으로 제조된 당근 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일하게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 100 g의 당근으로부터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의 ${\beta}$-carotene이 얻어졌다. 더욱이 당근 주스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난 것은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었고 다음으로 외기어 방식과 원심분리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쌍기어 방식의 착즙을 최적의 방법으로 선정하고, 이를 이용해 당근 주스의 항산화 활성 및 대사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근 주스는 ${\alpha}$-tocopherol 보다 더 높은 지질과산화 저해율을 보였으며, 위장과 소장 소화를 거치면서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이 증가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mma-irradiated Seafood Cooking Drips)

  • 조으리;김연주;최종일;성낙윤;정필문;김재훈;송범석;윤요한;이주연;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2010
  • Cooking drips which were obtained as by-product after seafood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ies, still contain lots of proteins, carbohydrates, and other functional materi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seafood cooking drips. When the cooking drips of Hizikia fusiformis, Enteroctopus dofleini and Thunnus thynnus were irradi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eafood cooking drips were all increased by gamma irradiation. This was because of the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of available compounds by irradi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afood cooking drips, wasted as by-products, can be used as functional compounds with gamma irradiation treatment.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재래식 고추장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Kochujang with Broccoli Leaf Powder)

  • 오유성;백진우;박경열;황준호;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75-681
    • /
    • 2013
  •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목적으로 브로콜리잎 분말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80% 메탄올, 80%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재래식 고추장 및 개량식 고추장과 비교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각각 524.2와 541.9 mg GAE/100 g으로 재래식 고추장의 431.0과 499.9 mg GAE/100 g보다 각각 22%와 8%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1.6배 높았으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과 재래식 고추장이 비슷하였다. 활성산소 흡수능력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각각 55%와 23% 높았다. ACE 저해 활성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는 유사하였으나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2.6배 높았다. 항암활성은 브로콜리 고추장의 80%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 대장암 세포주(HT-29)와 폐암 세포주(NCI-H1229)에서 각각 10.7과 18.3%의 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브로콜리잎의 건조분말을 첨가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고추장은 총페놀 함량이 높으며, 재래식 고추장이나 공장식 고추장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브로콜리 분말의 첨가에 의해 고추장의 기능성이 향상되었다.

선인장 추출물이 인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tus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 라보현;이운종;조윤원;김광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5-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 장내 세균 및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선인장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항균활성은 96well-plate법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줄기 추출물의 경우 96well-plate 및 paper disc법의 결과, 장내유해균인 Eubacterium limosum 및 Clostridium perfringens, C. butyricum, C. difficile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경우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장내유해균 및 장내유익균에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is에 대하여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경우 열 및 pH에서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에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열매와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3.02 mg/g, 5.85 mg/g, 플라보노이드는 1.04 mg/g, 2.1 mg/g, 전자공여능은 87, 88%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은 줄기 추출물의 경우 88.8% 열매 추출물의 경우 69.2%의 항고혈압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억제 및 유익균의 증진을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Juniperus rigida Sieb extracts)

  • 김정환;이수연;박정미;박주훈;권오준;이진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6-40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을 조사하여 항산화소재로 이용하고자 실험하였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71.3mg/g, 에탄올추출물은 116.0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17.7 mg/g, 에탄올추출물은 76.4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은 76.4%, 에탄올 추출물은 79.3%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FRAP 값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1.83 mM를 에탄올추출물에서 1.77 mM로 열수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CE 활성억제효과는 $500{\mu}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 75.39%, 에탄올 추출물 71.25%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1.5 PF,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2.1 PF를 나타내었다. TBARS 저해율은 $500{\mu}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각각 55.78%와 71.48%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70%와 9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 시기가 다른 녹차의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at Different Harvest Time)

  • 김범근;박찬은;박기재;임정호;정진웅;정승원;조장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0-578
    • /
    • 2009
  • 채취시기가 다른 6종의 녹차를 시료로 택하여 실제 음용 조건으로 추출하여 일반 성분, 카페인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하였고,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ACE 저해도, SOD 유사 활성, Tyrosinase 저해율,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 성분과 카페인의 경우 채취시기가 빠른 것일수록 총질소 및 카페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총페놀, 전자공여능, ACE 저해율, SOD 유사활성은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채취시기에 따라서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Tyrosinase 저해율의 경우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의 경우 일로를 제외한 5종의 시료의 경우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Isolated from Kimchi)

  • 유미희;임효권;임남경;황은영;최준혁;이은주;김종부;이인선;서화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8-4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ACE 억제효과와 본태성 고혈압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배양액 및 lysozyme법, sonication법, solvent extract법으로 균체를 추출하여 ACE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배양액 보다는 균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에서 공시균주에 비해 ACE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체 추출시료 중 LG 7, 8, 42가 전반적으로 높은 ACE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의 균체를 본태성 고혈압쥐(SHR)에게 4주간 투여한 결과, WKY 대조군(I)이 4주간 81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인 반면, SHR 대조군(V)은 52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여 정상혈압 쥐에 비해 고혈압 쥐의 체중의 증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산균의 장기투여가 고혈압 쥐의 체중 및 장기무게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중성지질 농도는 SHR 대조군(V)에 비해 유산균 투여군(X, XI)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는 아니었으며, SHR에 LG 42 유산균을 섭취시킴으로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는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투여 후 4주째의 최종 혈압을 비교한 결과, LG 42를 투여함에 따라 기준혈압에 비해 농도 의존적($1{\times}10^7$, $1{\times}10^9$ cfu/mL)으로 각각 12, 27%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