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urysm, dissec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6초

대동맥 전장 치환 치험 1례 (Total Aortic Replacement - A Case Report -)

  • 김두상;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73-177
    • /
    • 1998
  • 28세 여자환자가 임신중 발생한 급성 A 형 대동맥 박리증으로 응급제왕 절개술을 시행하여 아이를 분만하고 곧바로 응급 상행 및 전대동맥궁 치환술을 시행받아 별 문제없이 퇴원하였다가 수술후 1년 6개월 뒤에 만성 대동맥 박리증에 의한 하행 대동맥 및 복부 대동맥류가 재발하여 하행 대동맥으로부터 복부 대동맥을 거쳐 양쪽 총장골동맥까지 치환하는 수술을 시행하여 결국 대동맥 전장을 치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대동맥 질환 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urgery for Aortic Disease)

  • 안정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0호
    • /
    • pp.906-911
    • /
    • 1995
  • From January 1991 to January 1995, 11 patients with aortic diseases underwent various surgical repairs. The age at operation ranged from 26 years to 63 years[ mean=50.9 years . The disease entities included 8 aortic dissections[ type I in 4, type II in 2 and type III in 2 cases , 2 Marfan`s syndrome with annuloaortic ectasia and 1 desecending thoracic aortic aneurysm The operative procedures we tried were 3 Bentall`s operation, 5 graft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and 3 graft interposition in descending thoracic aorta.Overall hospital mortality rate is 36.3%[4/11 . And causes of death are pump weaning failure in 2 cases and multiorgan failure in 2 cases. It was that 2 sternal dehiscence & mediastinitis, 1 acute renal failure, 2 hypoxic brain damages and 2 postoperative psychosis were complicated. Recently we tried surgical repair of aortic dissection five out of 6 cases using total circulatory arrest with deep hypothermia at 14$^{\circ}C$. Total circulatory arrest time ranged from 18 to 26 minutes[ mean 22.2 minutes , and mean aortic cross-clamping time was 48.2 minutes. One of 5 patient died on the 7th postoperative day due to multiorgan failure. Mortality of patients with TCA was 20%[1/5 , and it of remainders was 50%[3/6 . Our result for surgical repair using total circulatory arrest with deep hypothermia is satisfactory on the basis of our clinical data.

  • PDF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수술 (Operation of Ascending Aorta and/or Aortic Arch)

  • 구본원;허동명;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12-1217
    • /
    • 1996
  •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4례(남자 9명, 여자 5명)의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질환을 수술하였으며, 환자들의 나이는 25세 에서 65세로 평균 50.4세였다. 진단은 급성 대동맥 박리가 6례(43%)로 4례는 파열이 되었으며, 상행 대동맥류가 4례(29%)로 1례에서 대동맥궁까지 확장되어 있었고 3례에서 파열이 되었으며, 대동맥 판륜확장이 3례(21%)로 1례에서 파열이 동반되었고, 대동맥궁류가 1례(7%)였다. 전례에서 심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관촬영은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5례, 급성 대동맥 박리 5례, 심한 울혈성 심부전 2례, 진행성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1례 및 동맥류가 커서 파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1례였다. 수술은 10례(71%)에서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Cabrol 수술 6례,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Cabrol 수술 1례, 변형된 Bentall수술 1례, 상행 대동맥 치환 4례, 대동맥궁 치환 1례 및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상행 대동맥 치환의 경우가 1례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순환정지를 62분 시행한 환자가 경련을 보였고, 심방세동이 2례, 흉골 열개가 1례 그리고 종격동염이 1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2례(14%)에서 있었으며 각각 과다 출혈과 다발성 장기부전이 원인이었다.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만기사망이 1례(7%)에서 있었다. 11명의 생존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20개월로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 PDF

The Usefulness of Extradural Anterior Clinoidectomy for Low-Lying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s : A Cadaveric Study

  • Hyoung Soo Byoun;Kyu-Sun Choi;Min Kyun Na;Sae Min Kwon;Yong Seok Na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4호
    • /
    • pp.411-417
    • /
    • 2024
  • Objective :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extradural anterior clinoidectomy during the clipping of a low riding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PCoA) aneurysm through cadaver dissection. Methods : Anatomic measurements of 12 adult cadaveric heads (24 sides total)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microsurgical exposure of the PCoA and internal carotid artery (ICA) before and after clinoidectomy. A standard pterional craniotomy and transsylvian approach were performed in all cadavers. The distance from the ICA bifurcation to the origin of PCoA (D1), pre-anterior clinoidectomy distance from the ICA bifurcation to tentorium (D2), post-anterior clinoidectomy distance from the ICA bifurcation to tentorium (D3), pre-anterior clinoidectomy distance from the tentorium to the origin of PCoA (D4) and post-anterior clinoidectomy distance from the tentorium to the origin of PCoA (D5) and the distance of the ICA obtained after anterior clinoidectomy (D6) were measured. We measured the precise thickness of the blade for the Yasargil clip with a digital precision ruler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extradural anterior clinoidectomy. Results : Twenty-four sites were dissected from 12 cadavers. The age of the cadavers was 79.83±6.25 years. The number of males was the same as the females. The space from the proximal origin of the PCoA to the preclinoid-tentorium (D4) was 1.45±1.08 mm (max, 4.01; min, 0.56). After the clinoidectomy, the space from the proximal origin of the PCoA to the postclinoid-tentorium (D5) was 3.612±1.15 mm (max, 6.14; min, 1.83). The length (D6) of the exposed proximal ICA after the extradural clinoididectomy was 2.17±1.04 mm on the lateral side and 2.16±0.89 mm on the medial side. The thickness of the Yasargil clip blade used during the clipping surgery was 1.35 mm measured with a digital precision ruler. Conclusion : The proximal length obtained by performing an external anterior clinoidectomy is about 2 mm, sufficient for proximal control during PCoA aneurysm surgery,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aneurysm clips. In a subarachnoid hemorrhage, performing an extradural anterior clinoidectomy could prevent a devastating situation during PCoA aneurysm clipping.

흉복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 안혁;김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77-184
    • /
    • 1996
  •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흉복부 대동맥류의 진단하에 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는21명이었다. 이 환자들의 나이는20세부터 67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1.5세 였다. 남녀는 각각 11명, 10명이었다. 증상으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신체의 한 부분의 동통을 호소했는데, 배부동통이 가장 많았고, 흉통과 흉부의 불쾌감, 옆구리 동통 등도 호소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도 3례 있었다. 21례 중 15례(71.4%)가 만성 해리성 대동맥류였으며, 6례 (28.5%)가 진성 대동맥류였다. 만성 해리성 대동맥류 환자중 고혈압과 연관된 동맥경화증이 6례(28.5%)에서 관찰되었으며, Martian증후군이 5례 (2).8%)의 환자에서 확인되 었고, 2례 (9.5%)는 임신이 원 인으로 판단되 었다. 대동맥류의 크기는 6~12cm까지 다양했고, Crawford 분류에 따라 분류하면, Type I 이 7례 (33.3%), Type II가 8례 (38.1%)였고, Type R과 Type W가 각각 3례 (14.3%)씩 있었다. 한 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질환이 있는 부위의 대동맥을 인조혈관으로 치환하는 수술을 시행하였고, 한 예 에서만 가성동맥류로 인한 질환으로 진단되어 동맥벽의 열상\ulcorner위를 일차봉합하였다. 대동맥 교차차단시 근위부의 고혈압 및 그로인한 뇌척수액압 증가를 막고, 원위부의 허혈상태의 교정 및 척수허혈을 방지하고, 혈역학적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우회술을 시행하였는데 21명의 환자 중, 12례(57.1%)에서는 대퇴동맥과 대퇴정맥, 또는 대퇴동맥과 폐동맥에 캐늘라를 상관하여 부분적 체 외순환을 시행하였고, 4례 (19.0%)에서는 Biopump를 좌심실심이와 대퇴동맥에 상관하여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체와순환술과 일시적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한 예가 2례 (9.5%), Gott씨 도관을 이용한 단락술을 실시한 예가 1례 (4.7%) 있었으며, 우회술물 시행하지 않고 단순 대동맥 교차차단만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도 2례 (9.5%) 있었다. 수술후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5례 (23.8%)에서 일측 성대신경 손상으로 인한 애성이 발생하였고, 창상감염이 4례(19.0%), 하반신 마비가 2례 (9.5%), 유미흉이 1례 (4.7%)에서 발생하였다. 병원사망율은 9.5%로 2례 있었고, 만기 사망례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중요합병 증 발생율과 사망율이 비교적 낮았고, 외래 추적조사 결과 퇴원환자 모두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 하고 있었기에, 흉복부 대동맥류의 丙珦岵\ulcorner치료는 이제 더이상 고위첨도의 수술이 아니라고 여겨지며,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환자에게는 조기에 수술을 권유하는 것이 좋으리라 판단된다.

  • PDF

동공 질환의 접근: 해부학적 경로를 통해서 (Approach to pupillary abnormalities via anatomical pathways)

  • 김성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11-18
    • /
    • 2017
  • The pupillary size and movement are controlled dynamically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parasympathetic system constricts the iris, while the sympathetic system dilates the iris. Under normal conditions, these constrictions and dilations occur identically in both eyes. Asymmetry in the pupillomotor neural input or output leads to impaired pupillary movement on one side and an unequal pupil size between both eyes. Anisocoria is one of the most common signs in neuro-ophthalmology, and the neurological disorders that frequently cause anisocoria include serious diseases, such as vascular dissection, fistula, and aneurysm. A careful history and examination can identify and localize pupillary disorders and provide a guide for appropriate evaluations.

Novel Association of a Familial TGFBR1 Mutation in Loeys-Dietz Syndrome with Concomitant Hematologic Malignancy

  • Disha, Kushtrim;Schulz, Solveig;Breuer, Martin;Owais, Tamer;Girdauskas, Evaldas;Kuntze, Thomas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5호
    • /
    • pp.376-379
    • /
    • 2019
  • Concomitant Loeys-Dietz syndrome (LDS) and hematologic malignancies are exceptionally rar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patient operated on for aortic root dilation who had been previously diagnosed with LDS and B-cell-lymphoma. After completion of chemotherapy and complete remission, an elective valve-sparing aortic root replacement (using the David-V method) was performed. Due to the positive family history, preoperative genetic counseling was conducted, and revealed LDS with a TGFBR1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receptor type I) mutation in 6 probands of the family, albeit in 1 of them posthumously. This missense mutation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aortic dissection, but a causative relationship to malignancy has so far neither been proposed nor prove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Bicuspid Aortic Valve and Related Abnormalities of the Heart and Thoracic Aorta

  • You Jin You;Sung Min K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60-973
    • /
    • 2023
  • The bicuspid aortic valve (BAV) is the most common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 Patients with BAV are at higher risk of other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and valvular dysfunction, including aortic stenosis/regurgitation and infective endocarditis. BAV may also be related to aortic wall abnormalities such as aortic dilatation, aneurysm, and dissection. The morphology of the BAV varies with the presence and position of the raphe and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valvular dysfunction and aortopathy. Therefore, accurate diagnosis and effective treatment at an early stage are essential to preven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BAV. This pictorial essay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BAV and its related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valvular dysfunction, aortopathy, and other rare cardiac complications using multimodal imaging.

급성대동맥해리에 대한 혈압강하요법으로서의 Nicardipine.HCI 주사액(Perdipine$^{circledR}$)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다기관 공동, 공개 제4상 임상시험 (Nicardipine Hydrochloride Injectable Phase IV Clinical Trial-Study on the antihypertensive effect and safely of nicardipine for acute aortic dissection)

  • 김경환;문인성;박장상;고용복;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67-273
    • /
    • 2002
  • 배경: 저자들은 한국인에 있어서의 급성대동맥박리에 대한 nicardipine의 혈압강하요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국내 제4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31명의 대동맥 질환 환자에서 시험약의 투여 전후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심박수 등을 시간변화에 따라 비교 관찰하였다. 시험약식 투여기간은 원칙적으로 3일 이상 14일 이하로 하였으며, 투여 3일째의 평균혈압강하도를 평가하였다. 시험약 사용전 다른 강압제를 사용하고 있었던 경우는 기존 사용약제의 용량을 줄이면서 시험약으로 대체하여 결국 기존 사용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의 대상이 된 환자는 급성 대동맥 박리가 28명, 대동맥궁류 파열이 2명, 외상성 대동맥 파열이 1명이었다. 연령은 53.9$\pm$14.9(29~89)세였고, 남자가 21명 (67.7%)이었다. 대동맥질환에 기인한 합병증은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7례, 혈성심낭 6례, 급성 신부전 1례, 하지마비 1례, 하지허혈 1례 등이었다. 목표혈압 도달은 15분이내가 16례로 가장 많았고, 15분이상 30분이내가 10명, 30분이상 45분이내가 3명, 45분이상 60분 이내에 도달한 경우가 2명이었다. 관찰기 혈압은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안, 평균혈압이 각각 147$\pm$23mmHg, 82.3$\pm$18.6mmHg, 104$\pm$18mmHg이었고, 3일째 측정하였을 때 119$\pm$12mrnHg, 69$\pm$grnmHg, 86$\pm$BmmHg로 의미있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Nicardipine 투여 종료 시에측정한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 평균혈압은 각각 119$\pm$ 15mmHg, 70$\pm$ 14mmHg, 86$\pm$ 13mmHg로 3일째 측정한 혈압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상승 혹은 하강현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비교적 혈압 하강 상태가 잘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 정맥 투여 중 부작용은 뚜렷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대동맥 박리에 동반된 고혈압에서 nicardipine을 사용하여 만족할만한 혈압하강 효과를 얻었으며, 뚜렷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행 흉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22예의 분석 (Surgical Treatment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 An analysis of 22 cases)

  • 이홍섭;이선훈;윤영철;구본일;김창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32-535
    • /
    • 1999
  • 배경: 하행 흉부 대동맥류에 대한 외과적 치료에 대하여 수술 방법과 술 후 합병증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7 년 3 월부터 1997년 8월까지 하행 흉부 대동맥류로 수술을 시행한 2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남자가 18예 여자 4예로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33세에서 82 세 이었고 평균은 49 세였다. 대동맥류의 원인은 대동맥 박리증 13, 죽상경화증 3, 진균성 3, 외상성 2, 원인불명 1예였다. 수술은 절제 및 이식편 치환술 16, 액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로 이식술 2, 대퇴동맥-대퇴정맥 우회로 이식술 1, 동맥류 공치술(exclusion) 1, 동맥류 봉합술 1, 경대퇴동맥 스텐트 삽입술 1예였다. 수술 시 대동맥을 차단하고 수술한 예는 16예였고, 이 중 14예는 대퇴동맥-대퇴정맥 바이패스를 실시하였고, 2예는 우회로 이식술을 먼저 하였다.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91분이었고 체외순환 시간은 116 분이었다. 사망 예는 1예로 공치술 한 환자가 술 후 52일에 갑작스런 출혈로 사망하였고, 대마비 1, 급성 신부전증 2, 급성 호흡부전증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하행 흉부 대동맥류 수술은 많은 술 후 합병증이 예상되나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섬세하고 다양한 수술 기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적은 합병율로 수술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