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sthetic Management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16초

일부 성인의 치과공포가 우울 증상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Fear on Depression Symptom and Stress in Adults)

  • 박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03-2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성인의 치과공포증과 우울 증상,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치주치료를 받기 위해 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선정 기준에 적합한 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과공포, 우울 증상 설문조사와 혈압, 맥박, 그리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타액코티졸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 증상은 '치료약속을 연기', '치료약속을 취소', '근육의 긴장이 증가', '치과에 들어서면 호흡이 빨라짐', '치과에서 진땀이 난 적이 있음', '구역질이 난 적이 있음', '다음 치료약속 시 두려움', '대기실에서 기다릴 때 두려움', '병원 냄새를 맡았을 때 두려움', '치과의사를 쳐다볼 때 두려움', '마취 주사바늘을 볼 때 두려움', '치아 삭제용 기구가 돌아가는 소리를 들을 때 두려움', '치아가 삭제되는 느낌을 받을 때 두려움', '치과에 대한 전체적인 두려움'에서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스트레스 증상은 '치과에서 진땀이 난 적이 있음', '맥박이 빨라짐', '치과에 들어설 때 두려움', '치과에 대한 전체적인 두려움'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에 내원한 환자의 우울 증상과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치과공포 환자를 위한 이완요법 등의 방안 마련을 하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종양의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에서 초음파 유도하 흉부 방척추블록의 효용성: 예비 연구 (The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Thoracic Paravertebral Block for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of Hepatic Tumors: A Pilot Study)

  • 김형태;김영준;김범진;신성인;임소망;이주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6호
    • /
    • pp.323-331
    • /
    • 2018
  • 목적: 간종양의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도중 및 종료 후 발생하는 통증을 관리하는데 있어 흉부방척추블록(thoracic paravertebral block, 이하 TPVB)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PVB를 시행하지 않은 그룹(4명; 4개 종양, 4회 RFA)과 시행한 그룹(5명; 7개 종양, 7회 RFA)으로 나누었다. 초음파 유도하 TPVB는 7번 흉추에서 시행하였다. 시술 전 우측 방척추 공간에 0.375% ropivacaine을 15 mL 주입하였다. 시술 중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며 진통제를 요구하거나 구두통증척도(verbal numerical rating scale)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면 fentanyl $25{\mu}g$ (최대 $100{\mu}g$), pethidine 25 mg, midazolam 0.05 mg/kg (최대 5 mg)을 순차적으로 정맥 주입하였다. 결과: RFA 전, 도중, 후 사용된 진통제의 총 정맥 주입 모르핀 등가(total intravenous morphine equivalence)는 TPVB를 시행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129.1 mg이었고, 시행한 그룹에서는 0.0 mg이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TPVB는 간종양의 RFA 도중 및 후에 발생하는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일 수 있겠으며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Efficacy of intraosseous saline injection for pain management during surgical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a randomized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 Jawahar Babu. S;Naveen Kumar Jayakumar;Pearlcid Siroraj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163-171
    • /
    • 2023
  • Background: Surgical ex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s the most common procedure performed by oral surgeons. The procedure cannot be performed effectively without achieving profound anesthesia. During this procedure, patients may feel pain during surgical bone removal (at the cancellous level) or during splitting and luxation of the tooth, despite administration of routine nerve blocks. Administration of intraosseous (IO) lignocaine injections during third molar surgeries to provide effective anesthesia for pain alleviation has been documented. However, whether the anesthetic effect of lignocaine is the only reason for pain alleviation when administered intraosseously remains unclear. This conundrum motivated us to assess the efficacy of IO normal saline versus lignocaine injections during surgical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IO normal saline as a viable alternative or adjunct to lignocaine for alleviation of intraoperative pain during surgical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Methods: This randomized, double-blind, interventional study included 160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ex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and experienced pain during surgical removal of the buccal bone or sectioning and luxation of the tooth.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tudy group, which included patients who would receive IO saline injection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patients who would receive IO lignocaine injections.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visual analog pain scale (VAPS) at baseline and after receiving the IO injections. Results: Of the 160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80 received IO lignocaine (control group), whereas 80 received IO saline (study group) following randomization. The baseline VAPS score of the patients and controls was 5.71 ± 1.33 and 5.68 ± 1.21,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line VAPS scores of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patients who experienced pain relief following administration of IO lignocaine (n=74) versus saline (n=69)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difference between VAPS scores measured after IO injection in both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1.05 ± 1.20 for the control group vs. 1.72 ± 1.56 for the study group)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O injection of normal saline is as effective as lignocaine in alleviating pain during surgical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and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junct to conventional lignocaine in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