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ong-Soju nuru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안동소주 누룩 제조를 위한 누룩 두께 및 누룩 띄움시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Soju)

  • 배경화;류희영;권인숙;권정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7
    • /
    • 2007
  • 전통주의 다양성과 국내 누룩의 우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의 자가 제조 누룩의 최적 제조조건을 검토하였다. 안동소주 제조의 전통적인 누룩 제조방법을 준수하면서 23 cm 지름의 $2.2{\sim}5.5\;cm$의 다양한 두께의 누룩을 성형하고, 3주간 띄움 과정을 거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수분함량, pH, brix, 무게변화, 전분 당화능, 환원당 함량, 생균수 및 우점종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께 4.0 cm 이상으로 성형된 누룩이 전분 당화능력 및 생균수, 누룩 곰팡이 생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에탄올 발효면에서는 2주간의 띄움이, 안동소주의 누룩곰팡이를 이용한 관능적 측면에서는 3주간의 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실제 제조된 누룩으로 포도당 및 전분 발효배지에서 에탄을 발효시킨 결과, 누룩 성형시 $4.0{\sim}5.5\;cm$ 두께로 성형하여 $2{\sim}3$주간 누룩을 띄운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누룩 제조시 별도의 건조효모 첨가는 불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안동소주 제조법하에서 자가제조 누룩의 두께와 띄움시간을 조정하여 누룩의 균일 제조과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안동소주 발효액으로부터 분리한 젖산 세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ong-Soju)

  • 배경화;신기선;류희영;권정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0-315
    • /
    • 2007
  • 민속주 안동소주 발효에 있어서, 젖산균의 영향 분석과 효율적 제어를 위해,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 및 알코올 발효액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젖산균들 중 ADS-L1 균주가 가장 젖산 생성이 우수하였으며, 균체 집락의 특성으로 안동소주 자가제조 누룩 및 안동소주 발효액에서 우점종으로 판단되었으며,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염기배열 분석결과 Pediococcus acidilactici로 동정되었다. ADS-L1 균주는 $40{\sim}50^{\circ}C$의 온도와 pH $5{\sim}7$의 범위에서 우수한 생육을 보여, 최고온도가 $50^{\circ}C$까지 상승하는 누룩 띄움 과정 및 pH 6의 안동소주 발효초기의 주요 젖산균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12%(w/v)의 알코올 농도 및 0.01N HCl 처리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안동소주 발효진행에 따라 발효 후기에는 급격한 생육저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었다. MRS 배지에서의 발효특성 실험 결과, ADS-L1 균주는 충분한 탄소원이 존재시 24시간 이내에 발효액의 pH를 산성화하며, 지속적인 젖산 생성을 통해 발효액의 집균염 방지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며, 발효후기 $10^5\;CFU/ml$ 이하로 감소되어 안동소주 발효동안 별도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accharomyces와 Hansenula의 혼합배양에 의해 제조한 민속증류수의 향미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s Produced by the Co-culture of Saccharomyces and Hansenula)

  • 홍연;박승국;최언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6-245
    • /
    • 1999
  • Andong Soju is a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brewed with Nuruk which is cultured with wild microorganis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cientific production and systematic quality control of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the effects of mixed culture of the alcoholic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isolated from the Nuruk, and mashes on the flav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istillate from mashes cocultur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Hansenula anomala using Mucor Nuruk was compared with distillate from mashes brewed with Andong Nuruk and with distillate from plant fermented mashes to analyze their flavor characteristic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istillates were analyzed by GC and GC-MS using direct injection, solvent extraction, and purge & trap methods. Alcohols such as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1-propanol, and 2-phenyl ethanol; aldehydes such as acetaldehyde and 2-furancar-boxaldehyde; esters such as ethyl ester of acetic acid, hexanoic acid, octanoic acid, decanoic acid; alkanes, alkenes, ketone, sulfur, and pyrone compounds were detected. Alcohols were chief components of flavor compound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bility test was shown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p<0.05), but Nuruk-like aroma, Kaoliangchiew-like aroma, sweet taste, and well rounded mouthfe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