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character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3초

빛을 통해 표현되는 공간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Recognition to be represented through Light)

  • 오승남;이호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88-196
    • /
    • 2005
  • The light has been considered as a main character that can not be omitted in architecture since ancient time. The recognition of space by light means that light makes the fictional space recognizable concretization. Light and shade make emptiness and substance can be easily recognized. Also reiteration and location of light and shade change the degree of acknowledgement. The character of light can strengthen or weaken the power of recognition concerning territory, direction and location. Also it can broaden, close, and segregate the domain and eventually strengthen recognition. In this study, I will try to find how space can be recognized with the help of light in architectural territories in terms of actual states. Also the main aim of my study will be the study of the light application in real space with the architectural example of space recognition by light and possible opportunity of it in space plan.

CAI 응용프로그램 작성시 자료공유를 위한 한글 코드 체계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Sharing Codes Definition of Hangul in CAI Application Programs)

  • 고대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38-161
    • /
    • 1998
  • This research addresses to establish a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 a standard Hangul code system for educational purposes in development of CAI courseware using Korean, English,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requires data exchanges and database construction. In this paper, types of Korean alphabetic code systems already in use, their representational environments and consonant/vowel order have been studied and analysed. This paper presents the requirements that the hangul code system for educational purpose needs to obtain. First, it should be able to represent all contemporary as well as ancient Korean alphabets. Second, character elements should be separable. Third, consonant/vowel order should be determined to easily retrieve and exchange data. Lastly, the code should maintain compatibility with other national codes and provide uniqueness of user-defined character codes.

  • PDF

중의학(中醫學) 개론서(槪論書)의 구성내용(構成內容)에 대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contents of the book of an Introduction to Oriental Medicine)

  • 최환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9-46
    • /
    • 1995
  • In the literature study by the comparative method was carried out on the book of an Introduction to oriental medicine, which was published in China, recent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ntents of the book was divided by Introduction, Um-Yang-O-Hang(陰陽五行), Qi-Hyul-Chinec(氣血津液), Jang-Bu(臟腑學說), Meridian(經絡),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This study did not treat the Ancient Chineses character hard to understnad, methodlolgy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comparison to the western medicine.

  • PDF

Structured Light를 이용한 왜곡된 문서 영상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torted Document Image Restoration using Structured Light)

  • 곽규섭;채옥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35-238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document image restoration system for the geometric distortion using structured light. To get accurate document images, the bounded book must be flattened by pushing down the book with a class plate. However, most of ancient documents are too fragile to be pushed. The proposed system restores the distorted character image due to geometric distortion.

  • PDF

고대(古代) 서화론(書畫論)에서의 '일(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Yi" in Ancien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 황혜핑;등작인;이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19-425
    • /
    • 2023
  • 이 연구는 역대의 문헌 기록에 근거한다. 제2장에서는 '일(逸)'의 개념 및 그의 변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했다. 그 다음으로 '일'의 고대 서화론에서 용필기법 측면과 필묵성정(筆墨性情) 측면, 두 가지 다른 개념으로 발전하였음을 고찰했다. 제3장은 '일'의 용필기법 측면에서 '일'은 서사(書寫)를 완성할 때의 속도, 서세(書勢), 필력 같은 기교를 말하는 형용사로 주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제4장은 '일'의 필묵성정 측면에서 '일'은 서화의 품격의 고하 대신에 작가, 화가의 인품 고하를 평가하는 용어로서 그들의 뛰어난 품성을 가리킴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고대 성현의 서예론 연구를 바탕으로 '일'의 핵심적인 정신을 탐색하면서 '일'로부터 파생된 서화론의 관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선사 암각화 연구에서의 지형·지질학의 역할 - 하동 묵계리 석물을 사례로 - (The Role of Geomorphology·Geology in Prehistoric Petroglyph Research - Hadong Mukgyeri's Stone Monument as an Example -)

  • 양동윤;한민;김성원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5-121
    • /
    • 2020
  •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claim that ancient characters were engraved on a stone plane collected near the Samsin Mountain in Hadong-gun, and that it was used as an altar based on the contents on the sto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geoscience in prehistoric petroglyph research was presented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representative domestic petroglyphs. First, by examining the geological formation process of the collected stone objects, it proved that prehistoric actions were not appli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from the viewpoints of human geography and topography with representative petroglyphs in Korea, it is unreasonable to argue that the stone was made for an altar. Third, it is considered that among the ancient characters under debate, the straight line indicates a cleavage of carbonate minerals, and the curved shape results from the growth of lichens. Finally, we propose that reproducing the lines found on the stone was impossible by using ancient techniques, and that there was no trace of any artificial actions applied to the spots considered to be curved characters. As shown in such research cases, the results of petroglyph research will have high reliability, if research by experts in each field continues after the geoscientific basis is secured. In this respect, the contribution of Earth science to cultural assets and archeology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갑골(상형)문자의 디지털화 조망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d Digital Age - The View of Digitalization of Ancient Scripts (Hieroglyphic Character) -)

  • 이주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7-23
    • /
    • 2016
  • 중국의 고대 문자인 "갑골문" 상형문자를 디지털과 결합시켜 대중화 시키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표의문자 (表意文字) 인 중국 문자는 표음 문자 (表音文字) 인 한글과는 다르게, 보여 지는 시각효과가 크고 또 그 이미지화된 자료를 가지고 의미를 상고해 내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디지털의 기술을 빌려 쓴다면, 앞으로 중문학계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인문학계와 융합하는 문제는 시간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고대(상형) 문자를 컴퓨터과학, 즉 디지털과 결합시킨다는 것은 e-learing 의 기술적인 도입과 결합과도 상관이 있을 것 같은데, 앞으로 디지털 시대를 맞아하여 인문학과 자연과학과의 결합이 절실해 지리라 본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과 디지털 교육이 시급하며, 상형문자(표의문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자료화 작업은 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ll}$영추(靈樞).논용(論勇)${\gg}$ 에 대(對)한 연구(硏究)

  • 이남구;장대원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8-344
    • /
    • 2000
  • YoungChu NonYong(靈樞 論勇)seems to be named as such by its explanation in detail about the brave man who can and the coward who cannot stand pain respectively. In the first chapter, it is considered that the factors of diseases are dependent upon the state of skin and flash. In the second chapter, it is put about the problem of standing pain and not. In the third chapter, about the causes of resulting in brave or unbrave man. And in the fourth chapter, about drunken frenzy(酒悖). More concretely speaking, in the first chapter, it is explained that the factors of pathogenesis are related closely with the state of skin and flash, so to speak, though the outer factors which can arouse diseases should exist, the sensitivity of skin and flash which are the first defense tissue in human body, is more important factor. Undoubtedly, the environmental factors existing in physical nature which surrounds human life, have influenced upon human health, especially in ancient times. But, this chapter exhibits some reflections that ultimately the inner conditions of human body decide the attack of diseases. However, this chapter may have some corruptions for it reveals the contents which are not fit with the headline. In the second chapter, it is written that the sensitivity to pain is not only dependent upon the character of bravery but also upon the thickness of skin, the strength of flesh and the speed of response. In this we evidence that the ancient people had the idea that human pain-feeling is more dependent upon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sensory neuron of physical body than one's character of bravery. In the third chapter, ti is described tha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development mainly influence the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mental bravery. In the fourth chapter, the drunken frenzy is explained. The implication is that as civilization has been growing, the drinking culture has made both in dividual and social health affair. The alcohol has the function of pleasing mind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but it can also destroy both human body and mind when abused. About the harms like this, this part wams by the examples of drunken man's abnormal behaviors.

  • PDF

초(椒)의 종류와 고쵸의 의미 (The Type of Cho(椒) and The Meaning of Gocho(고쵸))

  • 정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1021-1036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고추의 전래 역사와 어원에 대한 고찰의 일부이다. 한글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훈몽자회(訓蒙字會)"로서 한자어 椒와 함께 '고쵸'로 언해되어있다. 이에 따라 '고쵸'로 기록된 초(椒)의 기록을 찾아 분석하여 본 결과 "훈몽자회" 그 이전에도 우리나라에 다양한 종류의 고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재전서(弘齋全書)"(1799)에는 정조가 김달순에게 초(椒)의 종류에 대해 물었으며, 김달순은 초의 종류가 매우 많다고 하면서 촉초(蜀椒), 진초(秦椒), 단초(丹椒), 대초(大椒), 호초(胡椒) 같은 것들이 있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가 이름은 같으면서 약재의 품종과 고추의 품종이 있는 공통점을 발견하여 이를 초(椒)의 특징으로 보았고, 이 초(椒)는 "훈몽자회" 등의 고문헌에서 한글로 '고쵸'로 언해되어있음을 발견하고 '고쵸'로 기록된 초(椒)의 종류를 찾아본 결과 김달순이 말한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 이외에 고초(苦椒), 번초(蕃椒), 남만초(南蠻椒), 만초(蔓椒)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모두 고쵸로 언해되어있으며, 이 고쵸는 고추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촉초, 진초, 단초, 대초, 호초, 번초, 남만초, 만초를 모두 고쵸라고 부른 점으로 보아 국내에 이미 고쵸(고추)가 있었고, 외국(촉나라, 진나라, 호나라, 번우, 남만 등)과의 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품종의 고추가 국내에 유입되었고, 고쵸의 한자 조어(造語)의 필요성에 따라 苦椒라는 한자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공무도하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 (Modern transformation phrase of )

  • 하경숙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93-123
    • /
    • 2011
  • <공무도하가>는 다른 고대가요와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 동안 구비전승(口碑傳承)되면서 유동과 적층을 걸쳐서 이루어진 작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시가작품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시가문학의 전통성을 확립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공무도하가>는 그 문학적 소재가 보편적 정서를 지니고 있어서 많은 공감을 얻어서 현재에도 다양한 장르로 변형, 재창조되고 있다. 고대가요 <공무도하가>는 현대시로 재창조되면서 현실의 혼란한 시대상황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켜 보여주면서 기존의 신화적인 해석의 요소를 배제하고 인물의 인간적인 모습과 현재의 상황을 대변해 준다. 또한 현대소설로 재창조 된 <공무도하가>는 원전의 기본모티프에 충실하기 보다는 서사구조를 확대하고 다양한 인물들의 군상을 보여주면서 복잡다양한 인간사를 토로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한다. 현대 대중가요 <공무도하가>에서는 원전의 정서를 강하게 전달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접목시켜 세대를 아우르는 감동을 주고 있다. 개별의 작품이 가진 특질을 통해서 현대작가들이 바라보고 있는 <공무도하가>에 대한 안목을 살피고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그 의미를 점검하고 원전의 가치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공무도하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품들을 통해 인간이 지니는 보편적인 정서는 시 공을 초월하여 대중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게 했고, 우리 민족정서를 재확인하는 참신한 발견이면서 가능성의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장르간의 변용을 통하여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현실의 상황을 제시하면서, 작가가 지향하는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고대가요 <공무도하가>는 그 유연성으로 인하여 세대를 초월해서 앞으로도 생명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