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tic Placemen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환경요소를 고려한 공동주택 단지계획요소 도출 및 가중치 평가 (Deducing environmentally conscious factors for apartment complex planning and weight evaluation)

  • 정숙진;서정범;윤성환
    • KIEAE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1-56
    • /
    • 2016
  • Purpose: As declines in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ccur, such as urban heat island effect, tropical night phenomenon, and violations of right to light and privacy due to urban densification and high rise building, these problems are emerging as social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se issues, design factors which consider environmental aspects must be selected when planning apartment complexes, and ways to reflect them in the planning phase must be explored. Method: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to deduce design factors that considered environmental elements during the planning of apartment complexes. Furthermore, the priority and weight for each evaluation index were assessed. The objective was to propose a guideline for planning apartment complexes by finding the best solution for each evaluation index using complex weight values. Result: Floor area ratio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criterion in the environmentally conscious evaluation index for apartment complex planning. The shape and placement of skylights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in the sunshine environment for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Ground surface cover design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n the outdoor thermal environment index for improving the microclimate within cities and apartment complexe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n investigation guideline that concerns policy and regulations, and as reference data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apartment complexes.

Aseptic Humeral Nonunion: What Went Wrong? What to Do?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0 Cases

  • Kim, Jinil;Cho, Jae-Woo;Cho, Won-Tae;Cho, Jun-Min;Kim, Namryeol;Kim, Hak Jun;Oh, Jong-Keon;Kim, Jin-Kak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9권4호
    • /
    • pp.129-138
    • /
    • 2016
  • Purpose: Due to recent advances in internal fixation techniques, instrumentation and orthopedic implant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humeral shaft fracture treated operatively. As a consequence, an increased number nonunion after operative fixation are being referred to our cent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ommon error during osteosynthesis that may have led to nonunion and present a systematic analytical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aseptic humeral shaft nonunion. Methods: In between January 2007 to December 2013, 20 patients with humeral shaft nonunion after operative procedure were treated according to our treatment algorithm. We could analysis x-rays of 12 patients from initial treatment to nonunion. In a subgroup of 12 patients the initial operative procedur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rror that may have caused nonun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cases: 1) Was the fracture biology preserved during the procedure? 2) Does the implant construct have enough stability to allow fracture healing? Results: In 19 out of 20 patients have showed radiographic evidence of union on follow up. One patient has to undergo reoperation because of the technical error with bone graft placement but eventually healed. There were 2 cases wherein the treatment algorithm was not followed. All patients had problems with mechanical stability, and in 13 patients had biologic problems. In the analysis of the initial operative fixation, only one of 12 patients had biologic problems. Conclusion: In our analysis, the common preventable error made during operative fixation of humeral shaft fracture is failure to provide adequate stability for bony union to occur. And with these cases we have demonstrated a systematic analytic management approach that may be used to prevent surgeons from reproducing the same fault and reduce the need for bone grafting.

중력하중으로 설계된 포스트텐션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Gravity-Load Designed Post-Tensioned Flat Plate Frames)

  • 한상환;박영미;유연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1-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 철근이 중력하중만으로 설계된 포스트텐션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중 약진 지역에서 건물은 흔히 중력하중만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하중으로 설계된 PT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에 집중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3,6,9층 PT 플랫플레이트 골조는 중력하중만으로 설계하였다. 철근콘크리트 플랫플레이트 골조에서는 취성적인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관통하는 연속된 슬래브 하부철근이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PT 플랫플레이트 골조에서는 슬래브 하부 철근에 대해 ACI 318-05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흔히 생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산건물을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으로 골조 모델의 내진성능에 대해 평가한다.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은 6개의 지진과 2개의 다른 위험수준 (475, 2475년 주기), 3개의 다른 지역 (보스턴, 시애틀, LA)을 사용하였다. 해석모델은 PT슬래브-기둥 접합부의 파괴 메카니즘과 비선형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중력하중으로 설계된 PT 플랫플레이트 골조가 몇몇 내진저항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PT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은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철근이 위치할 때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학생수 증감 추세 유형 특성 연구 (An analytic Study on long-term increasing and decreasing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36
    • /
    • 2017
  • 부산광역시 전체 32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5가 가장 많은 전체의 55.4%를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유형10으로 전체의 21.4%>유형11>유형13>유형15 순으로 이에 대한 학생배치계획의 가장 시급한 대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산광역시 전체 초등학교 323개교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 결과 "갈등이론I"과 "갈등이론II"는 성립하지 않으며, 따라서 신도시에서는 유형5가, 도시재생지역이나 시가지 확장지역에서는 유형10이 학생수 증감 추세예측의 가장 유효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과도한 학교신설이 인근학교 학생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것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넷째, 부산광역시 구별 재학생수 현황을 분석결과 총 323개 초등학교중 150명미만의 학교가 전체의 12.4%, 300명이하의 학교가 30.0%, 600명이하는 모두 195개교인 전체의 60.4%로 소규모 학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부산광역시 도시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학생유발율을 조사 분석한 결과 평균 유발율은 0.37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재정비지역내 실제 학생유발율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주변지역 학교 신설 또는 분산배치, 학급 증설 등의 학생배치 계획 판단의 주요 자료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관내 학교 신설수요나 기설학교의 향후 학생수 변화추세 유형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학교 신설, 통폐합, 이전재배치, 분산배치, 학급증설 등 부산광역시의 장기적인 학생배치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16개구(군) 32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타 시도와는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여타 광역시에 대한 추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증감추세 유형별 학교 신설, 통폐합, 이전재배치, 분산배치, 학급증설 등의 학생배치계획 방향 제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