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ogical Forecast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데이터기반의 신규 사업 매출추정방법 연구: 지능형 사업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Data-based Sales Forecasting Support System for New Businesses)

  • 전승표;성태응;최산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2
    • /
    • 2017
  •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업 기술가치평가 등 미래의 사업에 대한 진입이나 투자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과 관련한 시장을 추정하고 그 안에서 확보 가능한 매출을 객관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런 신규 매출이나 시장규모의 추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크게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방법 모두 많은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우리는 신규 사업의 평가지원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매출 예측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신규 사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알고리즘 기반으로 전통적인 정량 예측방법 중 하나인 유추방법에 주목했다. 동일한 국내 산업에서 최근 창업한 기업의 매출 실적을 국내 신규 사업의 매출액을 추정하는 유추 대상 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여기서 유추예측 대상은 최초 매출액과 초기 성장률이며, 주요 비교 차원은 산업분류, 창업시기 등이 고려된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 기업이 가지는 매출 성장률의 평균회귀 현상을 활용하는 지능형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매출 추정을 위해서 역사적 자료인 창업 매출 실적을 활용하는 방법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 등을 활용해 산업분류에 따른 신규 사업의 초기 매출액과 연도별 성장률이 산업분류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기존 기업의 창업 후 4년간 매출 성과의 종단자료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는데, 특정 산업분류에서 차이를 보여주는지 분석해 산업분류가 유추 예측에서 고려해야할 유의미한 변수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속하고 객관적인 신규 사업 매출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게 해서 사업성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체험형 농업테마파크 개발 잠재력 검토 - 농협 안성목장 개발을 중심으로 - (Forecasting Potential Development of Agriculture Experience Theme Park - Focused on the Anseong Meadow Site Development -)

  • 이주엽;김용근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1-9
    • /
    • 2008
  • In this study, by reflecting flow of age, possibility of new theme park development as private investments business based on source that is farming village that is not tried to before is verified and by analyzing potential of the site, effectiveness of new theme park development is examined. "Nonghyup Anseong Meadow Anseong-si Gyeonggi-do" is selected as researched site where accessibility is good as there is near to National Capital region and nature condition is also good. Demands are forecasted using visiting intention and realizing index through analogical method and by analyzing existing data related with increase of tourism business that people can experience English village and increasing demand of experiencing farming region tourism demands are forecasted. The results are at below. First, As average expenditure per one person is 52,209 won that is shown in result of survey, if multiplying increasing rate of price and the number of visiting people that is optimistic forecasting figure, the whole expenditure of visitors per one year is from 10.54 billions to 13.85 billions won. Second is potential power of demand aspects. Potential power of that theme park was re-examined through demands forecasting analysis through survey. Experiencing farming regions theme park business that is informed through analysis of potential power of development and demand aspects has value to invest as new business based on farming regions sources, as a result of searching through diverse aspects such as tourism, economy, public interest and cultural aspect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