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 sphinct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3초

항문주위 샛길의 개요 (Perianal Fistula: An Overview)

  • 김민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565-585
    • /
    • 2023
  • 항문주위 샛길은 일반 인구에서 매우 흔하고 항문관 주변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질환이다. 대부분 양성이지만 심각한 이환율을 유발하고 재발 위험이 높아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자기공명(MR) 영상은 항문관의 해부학적 구조, 항문조임근 복합체와의 관계, 2차 경로 또는 농양의 정확한 식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합병증을 보고하는 항문주위 샛길 평가를 위한 최적 표준 기술로 간주된다. MR 영상은 또한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크론병 관련 샛길은 종종 질병을 완화하기 위해 외과적 치료보다는 내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영상의학과 의사는 샛길의 해부학적 구조와 MR 영상 소견을 알아야 하고 임상의사에게 정확한 진단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하부 직장암의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결과 (Results of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Low Rectal Cancer)

  • 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21-29
    • /
    • 2006
  • 목적 : 항문에서 5cm 이내에 위치한 하부 직장암 환자들에서 항문 괄약근 보존율, 병기 강하율 등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시행 후에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예후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원격전이가 없는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1995년 1월 1일부터 2004 년 9월 30일 사이에 단국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37 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들은 종양이 하부 직장에 위치하여 수술시 항문 괄약근 보존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 환 자들은 방사선치료 전에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들을 시행하였고 50.4 Gy/28 회의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후 약 1 개월에 조직검사를 포함한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들을 다시 시행하였다 수술은 25명의 환자에 서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 종료 후 약 6 주경에 시행하였다. 증상이 호전된 후에 수술을 거부한 12 명은 주의 갚게 경과관찰을 하였다. 결과 : 병기 재평가 검사 소견 및 수술 후 병리소견을 종합할 때 전체 37 명 중 T 병기가 강하된 경우는 21 명 (56.8%), N 병기가 강하된 경우는 12 명 (32.4%) 이었다. 방사선치료 후에 수술이 시도된 환자 25 명 중 24 명에서 병소의 근치적 절제가 이루어졌다 이 중 11 명에서는 복회음부절제술, 7 명에서는 하전방절제술, 6 명에서는 국소절제술을 시행하였다 24 명 모두에서 절제연 음성의 한전절제가 이루어졌고 절제가 이루어진 환자들의 항문 괄약근 보존율은 13/24 (54.2%) 였다 환자의 거부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한 환자 12 명 중 6 명은 임상적으로 완전관해의 소견이었고 조직검사에서도 암세포가 없었던 환자들이었는데 그 중 4 명이 30 개월 이상, 1 명 이 12 개월 이상 무병상태로 경과 관찰되고 있으며 1 명만 7 개월만에 국소재발이 확인되었다 반면 부분관해의 소견을 보이고 수술을 거부한 환자 6명 전원은 추적관찰 중 사망하거나 원격전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하부 직장암 환자들에서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은 수술 시행환자에서 높은 비율의 괄약근 보존율을 보였다. 하부 직장암에서 임상적으로 완전관해의 소견을 보인 경우도 수술 시행이 원칙이지만 수술을 거부하는 경우는 주의 깊게 경과 관찰을 하여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항문암의 치료성적 : 비수술적방법과 수술적방법의 결과 비교 (Treatment Results in Anal Cancer : Non-operative Treatment Versus Operative Treatment)

  • 지의규;하성환;박재갑;방영주;허대석;김노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62-67
    • /
    • 2002
  • 목적 :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 고전적으로는 복회음부절제술이 주된 치료였으나 현재는 화학방사선병용요법이 주된 치료방법으로 정립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항문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8월부터 1990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표피양암종이 38명으로 방사선치료가 4명에서,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pm}$화학요법이 19명에서, 화학방사선요법이 15명에서 시행되었다. 화학방사선요법은 복합화학요법$(5-FU\;1,000\;mg/m^2\;D1\~5,\;cisplatin\;60\;mg/m^2\;D1)$을 3회 시행 후 원발병소 및 영역림프절에 50.4 Gy를 조사하였고, 양측 서혜림프절에도 동일양을 조사하였다. 잔존암이 있는 경우 복합화학요법을 3회 추가 실시하였다. 중앙추적기간은 8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항문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3\%$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pm}$화학요법군, 화학방사선요법군에서 각각 $88.9\%,\;79.4\%$이었으며 두군간의 생존율의 차이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495).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군에서의 항문보존율은 $86.7\%$였다. 예후인자 중 단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164)과 수행능력(p=0.0007)이 유의성을 보였으며, 다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426)과 수행능력(p=0.0068) 및 서혜림프절 전이여부(p=0.0093)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할 경우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복회음부절제술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이며, 항문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병행화학요법이 아닌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수반되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러브렛 말에서 분만중에 발생한 3도 회음부 열상의 치료 및 술 후 관리 (Surgical Treatment and Postoperative Management of Third-degree Perineal Laceration Occurring at the Time of Foaling in a Thoroughbred Horse)

  • 이상규;이동훈;강현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6-289
    • /
    • 2009
  • Perineal laceration commonly occurs due to dilation of the birth canal at the time of foaling in primiparous mares. A 7-year-old Thoroughbred mare was presented with faecal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genitalia. She was having history of constant straining three days after the mare's first foaling.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the tearing extended from the deep part of vagina through muscles of the perineal body involved rectal floor and anal sphincter. Tentative diagnosed was third-degree perineal laceration therefore one-stage surgical procedure and a modified surgical procedure at three-week intervals was performed. During postoperative care for 3 weeks, soft faces was a key factor in success. After 3 weeks, the patient was recovered to normal condition completely.

직장암의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결과 (Results of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 윤미선;남택근;김형록;나병식;정웅기;김영진;안성자;송주영;정재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47-256
    • /
    • 2008
  • 목 적: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항문 괄약근 보존율, 생존율, 예후인자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직장암 환자로 진단되어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150명이었다. 이 중 진단시 원격전이가 없고 재발암이 아니며 본원에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계획된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총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sim}2\;Gy$씩, 주 5회 $41.4{\sim}46\;Gy$ (중앙값 44 Gy)를 전 골반에 조사한 후 원발부위 및 고위험 부위에 총 방사선량이 $43.2\;Gy{\sim}54\;Gy$(중앙값 50.4 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66명(80.5%)에서 5-fluorouracil (5-FU), leucovorin, cisplatin을 정주하였고, 15명(19.5%)에서는 5-FU와 leucovorin만을 정주하여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2회 시행되었다. 수술은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종료 후 $3{\sim}45$주(중앙값 7주)가 경과되어 시행되었다. 수술 후 유지 항암화학요법은 총 38명(47.6%)에서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항문 괄약근 보존율은 73.2%(60명)이었다. 이 중 종양의 최하 위치가 항문연으로부터 5 cm 미만인 환자 48명중 31명(64.6%)에서, 5 cm 이상인 환자 34명 중 29명(85.3%)에서 항문 괄약근을 보존할 수 있었다. 수술 후 병리적 완전관해율은 14.6% (12/82)였다. 전체 환자의 T병기 하강률은 42.7% (35/82)였고, N병기 하강률은 75.5% (37/49)였으며, 전체 병기 감소율은 67.1% (55/82)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11{\sim}107$ 개월로 중앙값은 3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국소종용제어율은 각각 67.4%, 58.9%, 84.4%였다. 수술 후 병기별 5년 생존율은 0 (n=12), I (n=16), II (n=30), III (n=23)기에서 각각 100%, 59.1%, 78.6%, 36.9%이었고 IV 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생존 중이다(p=0.02). 병기별 5년 무병생존율은 0, I, II, III, IV 기에서 각각 77.8%, 63.6%, 58.9%, 51.1%, 0%였다(p<0.001). 병기별 5년 국소종양제어율은 0, I, II, III기 에서 각각 88.9%, 93.8%, 91.1%, 68.2%였고 IV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국소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p=0.01).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geq}55$세 VS. >55세), 임상적 병기(I+II vs, III), 방사선치료 종료 후 수술까지의 경과기간(${\leq}6$주 vs. >6주), 수술방법 (항문괄약근보존술 vs. 비보존술), 병리학적 T병기, 병리학적 N 병기, 병리학적 전체병기(0 vs. I+II vs. III+IV),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등 총 8개의 다변량 분석상, 연령과 병리학적 N병기는 전체 생존율에, 병리학적 전체 병기는 무병생존율에, 병리학적 N병기는 국소종양제어율에 각각 유의하였다. 전체 환자 중 재발한 환자는 모두 25명으로 국소재발 10명, 원격전이 13명, 국소 및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던 환자 2명이었다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중 등급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등급 3의 피부반응이 1명이었다. 수술 후 60일 이내의 입원을 요할 정도의 합병증으로는 총 11명으로 문합부 누출 5명, 골반부 농양이 2명, 그외 4명 등이었다. 결 론: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병기 하강 및 항문 괄약근 보존에 유용한 결과를 얻었고,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독성은 미미하였다. 병리학적 N병기가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에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수술 후 보조적 요법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항문 주위 수술후 통증관리를 위한 지주막하강내 Morphine의 유효량 (Effective Dosage of Intrathecal M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of Perianal Surgery)

  • 원종인;조인찬;박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59-63
    • /
    • 1999
  • Background: Contraction of anal sphincter muscle produces severe pain in perianal surgery postoperatively. Recent reports have indicated that effective and prolonged pain relief can be obtained by the injection of small doses of morphine into the subarachnoid space. We attempted to use this technique for perianal surgery and investigated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its side effects. Methods: Forty five patients scheduled for hemorrhoidectomy and anal fistulectomy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minimal effective dose of intrathecal morphine for postoperative analgesia. In order to control the pain, 7 mg of 0.5% hyperbaric bupivacaine with 0.05 mg (group I), 0.1 mg (group II) and 0.15 mg (group III) of morphine hydrochloride was injected with a 25 gauge spinal needle into the subarachnoid space. We estimated the duration of analgesia until the pain score attained to above 3 in 10 cm VAS (visual analogue scale) and incidence of itching, nausea and vomiting by percentage, headache, backpain and respiratory depression by positive and negative. We also checked the time of self-voiding. Results: The mean time of analgesia was $10.3{\pm}1.54$, $19.7{\pm}2.22$ and $20.3{\pm}2.29$ hours in group I, II and III respectively. Urinary retention of group I, II and III after block persisted for an average of $20.3{\pm}2.31$, $21.2{\pm}2.51$ and $23.3{\pm}3.74$ hours. Nausea and vomiting were observed 33%, 53%, 67% and itching was observed 53%, 67%, 80% in group I, II and III respectively and respiratory depression did not occur in all groups. Conclusions: It is not necessary to use more than 0.1mg of intrathecal morphine in perianal surgery because analgesia is not prolonged and side effects are increased.

  • PDF

특발성변비 환아에서의 직장항문압측정검사 (Anorectal Manometry in Idiopathic Constipation in Children)

  • 백남선;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30-39
    • /
    • 1999
  • 목적: 정상어린이, 변비 및 유분증이 있는 환아에서 직장항문압검사를 시행하여 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대조군 어린이 11명과 36명의 환아(특발성변비환아 20명, 유분증환아16명)에서 항문직장압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외괄약근압은 대조군에서($21.0{\pm}8.00$ mmHg) 단순 변비군($34.4{\pm}15.3$; p=0.028)이나 유분증군($33.8{\pm}15.2$ mmHg; p=0.028)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내괄약근압도 대조군에서($30.0{\pm}14.57$ mmHg) 단순변비군($41.0{\pm}15.3$ mmHg, p=0.016)과 유분증군($49.3{\pm}13.6$, p=0.016)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낮았다. 최소감각용적은 단순 변비군($54.2{\pm}35.9$ ml, p=0.002) 유분증군($73.6{\pm}33.5$ ml, p=0.002) 모두 대조군($11.4{\pm}4.52$ ml)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직장-항문 반사 역치는 단순변비군($17.1{\pm}8.75$ ml), 유분증군($13.2{\pm}11.1$ ml) 및 대조군($8.91{\pm}$ ml)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12). 또한 최소감각용적에서 직장항문반사역치를 뺀 값은 대조군($-1.00{\pm}6.99$ ml)에 비해 환아군($44.0{\pm}39.5$ ml)에서 의미있게(p=0.005) 높았다. PRRAIR는 세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p=0.307). 결론: 위의 결과는 유분증환아 및 변비 환아에서 항문생리를 객관적인 수치로 표시하였을 때 정상 어린이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환아의 치료 방침을 정하거나 변비의 객관적인 평가에 직장항문압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될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유분증과 단순변비간에 여러수치의 차이가 없는 것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변비와 유분증은 같은 병태생리를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바깥요도조임근을 지배하는 Onuf 핵에서 관찰된 Zinc 함유 신경종말: HRP 추적법 및 zinc selenium 조직화학법 (Zinc-enriched (ZEN) Terminals in Onuf's Nucleus Innervating External Urethral Sphincter: HRP Tracing Method and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 이보예;김이석;이법이;이현숙;탁계래;이영일;이정열;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4호
    • /
    • pp.299-305
    • /
    • 2006
  • Onuf 핵이란 척수 앞회색질뿔에 위치하는 운동핵으로 음부신경을 통해 방광과 항문괄약근을 조절하는 운동핵의 하나이다. Onuf핵은 앞회색질뿔내 다른 운동신경핵과는 달리 회색질척수염과 같은 병적인 상황에서도 상당기간 손상되지 않고 기능을 유지하며, 퇴행성변화의 정도가 미약한데 정확한 원인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본 연구는 흰쥐 척수회색질내 바깥요도조임근을 신경지배하는 Onuf핵의 위치를 HRP 추적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들 신경핵내 운동신경세포와 연접해 있는 zinc함유(ZEN)신경종말의 미세구조를 zinc selenium조직화학법(AMG)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HRP 추적법의 결과로는, Onuf핵은 랫드 척수회색질앞뿔의 내측에서 가지돌기의 무리와 거의 맞닿고 있었으며, 모양은 대개 구형 또는 난원형을 띠었다. 이들 신경핵내 운동신경세포의 세포체의 크기는 다른 운동핵의 신경세포보다 다소 작았다. 한편 AMG로 염색한 표본에서는 Onuf핵에 분포하는 ZEN신경종말은 다른 운동핵의 ZEN 신경종말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밀집도를 보였으나, 크기 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작았다. 미세구조 관찰로는 Onuf 핵내 ZEN신경종말은 운동핵의 세포체 및 가지돌기와 신경연접은 이루고 있었다. 이들 ZEN 신경종말은 주로 납작한 연접소포를 함유하였으며, 대칭적인 신경연접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초음파유도 난포란 채취를 위한 기본 기술의 개발 II. 소의 마취방법과 채란기구의 개발 (Development of Basic Techniques for Ultrasound-guided Follicular Aspiration II. Anesthesic Methods and Development of a Disposable Simplified Needle Guidance System for Ovum Pick-up)

  • 최민철;조성근;강태영;박준규;손우진;이효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1-218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anesthetic methods for ultrasonography and a new simplified disposable needle guidance device for ovum pick-up(OPU) in cows. Three different anesthetic methods were applied as. 1) epidural analgesia only with 2% lidocaine(20~30 ml), 2) epidural analgesia with 2% under general sedation with xylazine, 3) epidural analgesia with 2% lidocaine under general sedation with detomidine. We evaluated the anesthetic effects with items such as relaxation of anal sphincter, tail movement and rectal wall, retractability of both ovaries, additional anesthesia and possibility of OPU. Through this experiment, the above three anesthetic methods were applicable to OPU, but the epidural anlagesia under general sedation with detomldine was most effective for OPU. We developed a new disposable needle guidance device with stainless steel tube. With this, disposable needles can be easily attatchable to any other intravaginal probes. And also, it was found to he practical, economic and effective for OPU with the recovery rate of 51.2%.

  • PDF

하부직장암 환자에서 초음파겔 삽입 전후의 골반 자기공명영상의 비교 (Preoperative Evaluation of Lower Rectal Cancer by Pelvic MR with and without Gel Filling)

  • 김대중;김주희;임준석;정재준;유정식;김명진;김기황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4호
    • /
    • pp.323-331
    • /
    • 2014
  • 목적: 하부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평가를 위한 골반 자기공명영상에서 직장 내 초음파 겔 삽입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하부직장암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수술 전 골반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으며 직장 내 초음파 겔 삽입 전후로 하여 두 차례 시행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독립적으로 그리고 후향적으로 각 환자의 두 번의 골반 자기공명영상에서 항문 조임근 침범, 절제 범위 침범, 그리고 종양 묘사에 대하여 분석하여 각 항목에 대하여 5단계로 점수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위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합동으로 각 환자의 두 번의 골반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항문 피부선에서 종양까지의 거리와 종양의 T항목과 N항목의 병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시경상 길이와 조직학적 병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초음파 겔을 삽입한 골반 자기공명영상이 종양 묘사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항문 조임근 침범과 절제범위 침범의 점수는 두 검사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지 않았다 (p > 0.05). 항문 피부선에서 종양까지의 거리는 초음파 겔을 삽입한 골반 자기공명영상이 내시경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 $6.8{\pm}1.6cm$ vs. $5.8{\pm}1.6cm$, p=0.001). 병리적 병기를 기준으로 두 검사간의 영상의학적 병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지 않았다. 결론: 초음파 겔을 이용한 골반 자기공명영상은 젤을 이용하지 않는 골반 자기공명영상에 비하여 종양 묘사를 향상시키며 또한 항문 조임근 침범과 절제범위 침범 판단에 같은 능력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