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g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뱀장어속 어류 2종의 동위효소 및 mtDNA 분석

  • 민미숙;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5-555
    • /
    • 1993
  • 뱀장어속(Anguilla)의 뱀장어(A. ioponica)와 무태장어(A. marmoruta) 및 꾀붕장어(Anago anogo)의 유전적 특징과 종간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isozyme 분석과 mt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Isozyme 분석결과 20개의 효소 및 비효소단백질에서 총 39개의 유전자를 검출하였고 각종 특유의 genetic marker를 확인하였다. 3종의 평균 유전적 변이는 뱀장어가 HD=0.057. HG=0.065, 무태장어는 HD=0.067 HG=0.053, 체불장어가 HD=0.018. HG=0.020으로 각각 나타났다. 뱀장어와 무태장어의 평균 종간유전적 근인관계는 S=0.420 (D=0.869)로 멀게 나타났다. 6 base를 인지하는 10종류의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mtDNA 절편양상은 각 종내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각종간에 차이를 보였고, 종간 평균염기 치 환율은 뱀장어와 무태장어가 p=3.4%, 뱀장어속 2종과 꾀붕장어는 p=9.6%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뱀장어목(目)) 어류(魚類)의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Congridae(Anguilliformes) from Korea)

  • 이충렬;박미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2-159
    • /
    • 1994
  • 1988년 6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우리나라의 전 치안(治岸)과 제주도(濟州道)에서 채집(採集)된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Congridae 어류를 중심으로 분류학적(分類學的) 주요(主要) 계수(計數), 계측(計測) 형질(形質)과 외부(外部)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 및 골격 형질(形質)들을 면밀히 분석(分析)하여 이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위치(位置)를 재검토(再檢討)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어류(魚類)는 6속(屬) 7종(種)으로 보고되었으나 조사(調査) 결과(結果) 꾀붕장어속(屬) Anago에는 꾀붕장어 Anago anago, 갈붕장어속(屬) Ariosoma에는 먹붕장어 Ariosoma anagoides, 흰붕장어 Ariosoma shiroanago shiroanago, 붕장어속(屬) Conger에는 검붕장어 Conger japonicus, 붕장어 Conger myriaster, 은붕장어속(屬) Gnathophis에는 은붕장어 Gnathophis nystromi nystromi, 테붕장어속(屬) Rhechias에는 테붕장어 Rhechias retrotincta, 애붕장어속(屬) Uroconger에는 애붕장어 Uroconger lepturus 등(等) 모두 6속(屬) 8종(種)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기재(記載)되어 보고되어 온 종(種)중에서 Conger flavirostris는 Ariosoma anagoid로, Astroconger myriaster는 Conger myriaster로, Congrina retrotincta는 Rhechias retrotincta로, Rhynchocymba nystomi는 Gnathophis nystromi nystromi로 확인되어 종전의 7종(種) 중(中) 4종(種)의 학명(學名)이 재정리(再整理)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서식(棲息)이 보고(報告)되지 않았던 Ariosoma shiroanago shiroanago를 확인(確認)하여 한국산(韓國産)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보고(報告)하면서 한국명(韓國名)으로는 "흰붕장어" 라고 명명(命名)하였다. 아울러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어류(科魚) 6속(屬) 8종(種)에 대한 주요 형태 형질과 계수 형질을 중심으로 각 속(屬) 및 종(種)에 대한 새로운 검색표(檢索表)를 작성 제시(提示)하고 각 속(屬) 및 종(種)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주요(主要) 형질(形質)을 기재(記載)하면서 이들의 지리적(地理的) 분포(分布)에 대하여 논의(論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