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bolis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61초

에탄올이 Zymomonas mobilis의 당대사 관련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on Selected Enzymes of the Entner-Doudorff Pathway in Zymomonas mobilis)

  • 박인령;권석흠;이계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02-406
    • /
    • 1988
  • 발효생산된 에탄올의 농도가 Zymomonas mobilis 에서 당대사에 관련된 효소의 역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glucose kinase 및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transketolase 역가는 에탄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하게 저해됨을 알았다. 따라서 에탄을 농도의 증가에 따른 균성장속도의 감소는 transketolase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Intake, digestibility, and rumen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cattle fed low-quality tropical forage and supplemented with nitrogen and different levels of starch

  • Franco, Marcia de Oliveira;Detmann, Edenio;Filho, Sebastiao de Campos Valadares;Batista, Erick Darlisson;Rufino, Luana Marta de Almeida;Barbosa, Marcilia Medrado;Lopes, Alexandre Ribeir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6호
    • /
    • pp.797-803
    • /
    • 2017
  • Objective: Effects of nitrogen supplementation associ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starch on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and rumen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cattle fed low-quality tropical forage (Brachiaria decumbens hay, 7.4% crude protein, CP) were evaluated using ruminal and abomasal cannulated steers. Methods: Five European${\times}$Zebu young bulls (186 kg body weight, BW)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a $5{\times}5$ Latin square.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evaluated: control, supplementation with 300 g CP/d (0:1), supplementation with 300 g starch/d and 300 g CP/d (1:1), supplementation with 600 g starch/d and 300 g CP/d (2:1), and supplementation with 900 g starch/d and 300 g CP/d (3:1). A mixture of nitrogenous compounds provided 1/3 from true protein (casein) and 2/3 from non-protein nitrogen (mixture of urea and ammonium sulphate, 9:1) was used as the nitrogen supplement. In order to supply energy a unique source of corn starch was used. Results: Supplements increased (p<0.05) dry matter intake, but did not affect (p>0.05) forage intake. There was a cubic effect (p<0.05) of starch on voluntary intake. This was attributed to the highest forage intake (g/kg BW) when using the 2:1 starch:CP ratio. Supplements increased (p<0.05) organic matter (OM) digestibility, but did not affect (p>0.05) neutral detergent fibre corrected for ash and protein (NDFap) digestibility. There was a positive linear effect (p<0.05) of the amount of starch supplemented on OM digestibility. Total NDFap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p>0.05) by the amount of supplemental starch. Rumin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higher (p<0.05) in supplemented animals, however, a negative linear effect (p<0.05) of amount of starch was observed. Supplements increased (p<0.05) the nitrogen balance (NB) and efficiency of nitrogen utilization. These effects were attributed to increased body anabolism, supported by higher (p<0.05) serum concent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ncreasing the amount of starch tended (p<0.06) to linearly increase the NB. In spite of this, there was a highest NB value for the 2:1 starch:CP ratio amongst the treatments with supplementation. Conclusion: Nitrogen supplementation in cattle fed low-quality tropical forage increases nitrogen retention in the animal's body. An additional supply of starch increases nitrogen retention by increasing energy availability for both rumen and animal metabolism.

발아에 따른 팥의 유리형 및 결합형 기능성분 변화 (Changes in Free and Bound Forms of Bioactive Compound Profiles of Adzuki Bean with Germination)

  • 김민영;장귀영;오남석;백소윤;김길호;김경미;김홍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37-9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아에 의한 팥의 기능성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6일 동안 발아시키면서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및 안토시아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약 2.6배 및 5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 초기 감소하였다가 발아 3일 및 2일 이후 각각 증가하였다. 발아기간에 따른 구성 페놀산의 변화의 경우 ferulic acid, veratric acid, hesperidin, salicylic acid, naringenin 및 hesperidin과 총 페놀산은 유리형 및 결합형 페놀산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지만, 안토시아닌 및 안토시아니딘은 침지 및 발아과정에서 손실되어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팥을 발아시킬 경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팥에 함유된 기능성분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발아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leq}$1,000 g)에서 조기에 시작하는 정맥 영양공급의 효과 (Effects of Early Parenteral Nutrition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안소윤;신지헌;신정희;성세인;정지미;김진규;김은선;장윤실;박원순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76-81
    • /
    • 2011
  • 목적: 초극소 미숙아에서 정맥 영양 공급은 성장을 촉진하고 예후를 호전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써, 점차 좀 더 이른 시점에 시작하는, 좀 더 적극적인 영양 공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미숙아에서 가능한 빨리 총 정맥영양(TPN)을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영양과 칼로리를 증량시키는 것이 생후 수일 이후에 정맥 영양을 시작하는 것에 비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과 2009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입원한 출생체중 1,000 g 이하의 초극소 미숙아 총 85명 중 생존하여 퇴원한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생후 2-3일 이후부터 TPN을 시작하는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를 1기(22명), 가능한 조기에 TPN을 시작하는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를 2기(38명)로 분류하였다. 총 60명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정맥 영양 성분과 총 섭취 칼로리는 생후 7일까지 조사하였고. 이들의 체중의 변화와 임상경과와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1기에 비해 2기에서 출생체중이 낮아지고(1기: 830${\pm}$110 g, 2기: 740${\pm}$164 g) 아프가 점수는 1분과 5분 모두 2기에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 7일까지 글루코스와 아미노산의 함량과 총 칼로리량이 2기에서 1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제2기에서 1기에 비하여 생후 1주일에서 2주일까지 BUN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더 높았다. 2기에서 1기에 비하여 더 낮은 출생 체중에도 불구하고 생후 2주까지 몸무게 증가 속도가 더 빨랐다. 2기에서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이형성, 괴사성 장염(${\geq}$stage 2), 레이저 수술이 필요한 미숙아 망막증, 뇌실내 출혈(${\geq}$grade 3)은 1기와 차이가 없었으나, 뇌실주변 백질 연화증(36% vs. 8%) 빈도는 출생체중과 아프가 점수를 보정하여 비교하여도 제 2기에서 1기보다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결론: 조기에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적극적으로 TPN을 시작한 초극소 미숙아 군에서 초기의 이화작용을 줄이면서 동화작용을 촉진시키며, 첫 2주 동안 체중 증가가 효과적으로 빠르고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발생률이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