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ograph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8초

사과쥬스박과 두유박으로부터 제조한 식이섬유원을 보강한 면류 제조 (Preparation of noodle supplemented with treated apple pomace and soymilk residue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 홍재식;김명곤;윤숙;유남수;김용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80-85
    • /
    • 1993
  • 가공적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우수한 기능특성을 보이는 식이섬유원은 제조할 목적으로 대량 수급이 용이한 사과쥬스박과 두유박에 작종 이화학적 처리하여 식이성유의 함량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식이섬유원을 이용하여 이들을 직접 식품에 응용하여 그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식이섬유질원을 밀가루와 혼합한 복합분의 호화양상을 Amylograph로 측정한 결과 식이섬유질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점도가 감소하였다. 식이섬유질원을 첨가하여 면을 제조하여본 결과 식이섬유질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리면의 중량과 부피는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는데 처리 사과육이 처리 두유박보다 인장강도의 감소가 심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처리 두유박 5% 첨가시 밀가루면보다 우수한 관능성을 보였으며 처리 두유박 10%와 처리 사과육 5% 첨가시 향기, 색도, 조직감 및 전체적인 맛에서 밀가루면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구약감자 분말의 첨가가 국수 반죽의 레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Rheology of Noodle Dough by the Addition of Konjac Powder)

  • 박화영;최희은;이난희;정재현;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8-101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odle flour dough supplementary konjac powder comprising 0%, 0.5%, 1.0%, 1.5% or 2.0% of the total mixture. In farinograph analysis, water absorp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content of konjac powder. Both the arrival times and the development times of the dough with added konjac powder were longer than original wheat flour dough. Dough stability was found to be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decreased as konjac powder content was increased. As konjac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resistance of the dough as shown by farinograph data was highest in the original wheat flour dough as 130 BU. Starting temperature, maximum viscosity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were decreased as shown in amylograph analysis. In extensograph analysis, the dough's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extension of the dough decreased as the amount of konjac powder was increased. The ratio of resistance to extensibility (R/E) decreased with th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konjac powder included in the dough. The dough's tensile strength after cooking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itional amount of konjac powder used.

홍고추액을 첨가한 생면 파스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Pasta Noodle Added with Red Hot Pepper Juice)

  • 김정수;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82-890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fferent volumes of red hot pepper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Pasta noodle. Supplementation with 0% (control), 2.5%, 5%, 7.5%, or 10% red hot pepper juice produced similar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peak viscosity, temperature at peak viscosity, hot paste viscosity and numerical value of breakdown. However,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red hot pepper juice produced progressively and significantly low cold paste viscosity and setback. The chromaticity of wet and cooked noodl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L value and significantly higher in +a and +b values with increasing volumes of red hot pepper juice. The texture of fresh noodles display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lower and higher with the increase of added red hot pepper juice,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s just attained significance. For cooked noodle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tended to be higher with increasing volumes of red hot pepper juice, but again the differences just attained significance. Cooking characteristics of weight, volume, moisture absorptive power and turbid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volumes of red hot pepper juic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ceptability including appearanc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acceptability improved with increasing red hot pepper juice volume, in particular with 5% and 7.5%. Amylograph characteristics for initial paste temperatu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exture characteristics for chewiness (p<0.05). Negatively correlated amylograph parameters included texture for springiness with for peak viscosity (p<0.01), texture for adhesiveness with hot paste viscosity (p<0.01) and breakdown with texture for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p<0.05).

Low-temperature Blanching 처리가 밤가루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temperature Blanching on Physical Properties of Chestnut Powder)

  • 임정호;김준한;서영호;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16-1220
    • /
    • 1999
  • 팽윤도와 용해도는 blanching time이 길어질수록 증가했으며 blanching 온도 $55^{\circ}C$$45^{\circ}C$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blanching온도 $45^{\circ}C$/15분을 유지시킨 것이 가장 높은 팽윤도와 용해도를 보였고,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각 온도에서 holding time이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분흡수지수는 blanching 온도 $55^{\circ}C$/15분 유지한 것이, 수분용해지수는 blanching 온도 $45^{\circ}C$/30분 유지한 것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Visco/amylograph 측정에서 최대점도는 온도와 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lanching 온도 $55^{\circ}C$/60분 유지시킨 것이 가장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로 보아 blanching 온도와 시간이 밤에 존재하는 가용성성분의 변화와 함께 밤가루 내의 전분사슬과 밤가루 표면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쳐 호화 특성에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blanching처리한 밤가루가 밤가공품의 중간소재로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성질을 나타내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 PDF

감마선 조사가 현미의 수화속도 및 호화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Water Uptake Rate and Gelatinization of Brown Rice)

  • 이유석;서정식;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0-904
    • /
    • 2004
  • 현미의 수화속도를 개선하여 조리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 1, 3, 5kGy로 감마선을 조사한 후 수분흡수속도,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미의 수분흡수량은 수침온도 ($20-50^{\circ}C$)와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침온도 $50^{\circ}C$ 이상에서는 0 kGy와 1 kGy의 수분 흡수량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5 kGy 조사구는 수침액 중에 가용성성분의 용출로 인해 오히려 수분흡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mylograph에 의해 측정된 peak viscosity, setback, breakdown 및 consistency는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rmogravimetric analyzer에 의한 열중량분석 결과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고온 ($300^{\circ}C$ 이상)에서의 수분증발이 촉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금과 알칼리제가 단백질 함량이 다른 라면 밀가루의 리올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and Alkaline Reagent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Instant Noodle Flour Differing in Protein Content)

  • 정구식;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2-199
    • /
    • 1991
  • 단백질 함량이 $9.12{\sim}9.78%$인 HRW-WW와 DNS-WW 밀가루의 리올로지 성질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이 0.33% 증가함에 따라 파리노그라프 흡수율은 HRW-WW는 1.0%, DNS-WW는 0.6% 증가하였다. 소금(1.7%)은 단백질 함량에 관계없이 흡수율을 1% 감소시켰으나, 알칼리제(0.17%)는 홉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밀가루의 반죽시간 및 안정도는 단백질의 증가에 따라 또한 소금과 알칼리제의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반죽의 신장도와 저항도도 단백질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일정한 단백질 함량에서 이들 지표는 HRW-WW가 높았다. 단백질 함량은 아밀로그라프의 최고점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소금 또는 알칼리제의 존재에 관계없이 단백질 함량은 피라노그라프와 익스텐소그라프의 모든 지표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아밀로그라프의 최고점도는 소금 또는 알칼리제의 존재시 단백질 함량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인산칼슘히드록시아파타이트가 밀가루와 옥수수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Corn Starch)

  • 유재식;김일환;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2-645
    • /
    • 1991
  • 인산칼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Ca-P)가 밀가루와 옥수수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a-P($0.2{\sim}0.8%$)는 강력 밀가루와 중적 밀가루의 파리노그람에는 영항을 주지 않았으나 아밀로그람에서는 호화온도를 감소시켰으며 최고점도를 증가시켰다. Ca-P(0.4%)는 건면의 파쇄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삶은 국수의 절단력은 증가시켰다. Ca-P($0.2{\sim}0.8%$)에 의한 전분의 아밀로그람도 밀가루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시차주사 열량기에 의한 호화온도는 대조구와 Ca-P 처리구($0.2{\sim}0.4%$)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전분 겔의 노화는 Ca-P에 의하여 악간 억제되었다.

  • PDF

가열 조리시 쌀 전분 입자들의 형태학적 변화와 리올로지 특성과의 관계 (Correla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of rice starch granules with rheological properties during heating In excess water)

  • 이영은;엘리자베스 엠 오스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79-385
    • /
    • 1991
  • 12품종의 쌀로 부터 분리 정제한 전분의 2.5% (w/v) 현탁액을 각각 $65^{\circ}C$에서 $95^{\circ}C$까지 $5^{\circ}C$ 간격으로 30분간 가열 조리한 후, 전분 입자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주사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쌀 전분 입자들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형태학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들 형태학적 변화는 전분의 팽윤도, 용해도 및 아밀로그라프점성 특성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전분 입자로 부터 가용성 물질이 용출되는 것과 팽윤된 전분 입자가 그 자체의 독특한 형태를 잃고 서로 망상구조로 연결되면서 이들 리올로지 특성들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 초기 팽윤 단계에서 전분 입자들의 독특한 구조손실 시기는 각각의 호화온도에 영향을 받았다. 호화 온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전분 입자들이 삼차원적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정도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감소할 수록 망상구조가 더 세밀해지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의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making Properties)

  • 이영택;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18-923
    • /
    • 2003
  •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을 밀가루에 $10{\sim}30$ 대체한 복합분에 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제빵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Amylograph 호화특성에서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은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set back 역시 현저히 낮아 전분의 노화가 느리게 진행됨을 제시해 주었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 특성은 찰성 쌀보리가루 복합분의 peak height가 메성에 비해 높은 반면 mixing time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쌀보리가루의 첨가는 빵의 체적을 떨어뜨리고 주간적인 관능평가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 10% 첨가수준에서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로 품질이 떨어졌으며 메성이 기호도에 있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20%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저장중 성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경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빵의 staling이 보다 완만히 진행됨을 나타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