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diploi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N. africana의 감자바이러스Y 엽맥괴저 계통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Potato Virus Y Vein- necrosis Strain of N. africana)

  • 금완수;정윤화;정석훈;최상주;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8-51
    • /
    • 1991
  • A program was initiated to transfer potato virus Y vein-necrosis strain resistance from N. africana to N. tabacum The Fl plants between the above species were self-sterile, but all amphidiploid plants from the Fl plants and backcrossed flowers, that is, the N. tabacum flowers crossed with amphidiploid were self-fertile. The parent, amphidiploid plants of Fl, F2 population of the amphidiploid and the backcrossed generation were screened for a resistance of potato virus Y vein-necrosis strain isolated in Korea. The Chi-square values for the F2 population of the amphidiploid and the backcrossed generation fitted 35: 1 and 5 : 1 ratios of resistant to susceptible for the potato virus Y vein-necrosis strain,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resistance of N. tabacum for the potato virus Y vein-necrosis strain wa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 PDF

Nicotiana Tabacum과 Nicotiana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감자바이러스 Y 저항성 유전자원 개발 (Transfer of Potato Virus Y (Necrotic strain) Resistance from Nicotiana africana to Nicotiana tabacum)

  • 금완수;정윤화;최상주;조명조;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2-107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ransfer the potato virus Y-necrosis strain resistance from Nicotiana africana to Nicotiana tabacum (cv. NC82) N. africana was crossed with NC82, GErmination of the cotyledon stage, at which time most of the seedling died. However, surviving seedlings continued to grow normally. Chromosomes of the these interspecific self-sterile F1 hybrids were doubled by tissue culture. Amphidiploid of F1 hybrid was self-fertile. Starting with amphidipliod, a wystematic backcross (BC) program was set up with NC82 as recurrent parent. In the BC5C2 generation, the resistant plant was selected. This resistant line, KF8833-1, had 48 chromosome and secreting glandular trichomes. It flowered 2days later than NC82, and stalk height, leaves per plan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similar to those of NC82.

  • PDF

갓 (Brassica juncea) 품종구분을 위한 ITS 영역 및 MITE Family 정보를 이용한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varietal identification of Brassica juncea on the basis of the polymorphic sequence of ITS regions and MITE families)

  • 양기웅;이고은;아리프 하산 칸 로빈;정남희;이용혁;박종인;김회택;정미영;노일섭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05-313
    • /
    • 2016
  • 갓(Brassica juncea; 2n = 4x = 36, AABB genome, 1,068Mb)은 U's triangle의 배추와 흑겨자 사이의 복이배체 작물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갓 15 품종의 ribosomal DNA ITS 영역과 MITE를 이용하여 갓의 유연관계 및 품종구분 분자표지를 확인하였다. Ribosomal DNA ITS 영역은 종 및 품종의 유연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갓 15 품종의 유연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MITE는 매우 많은 copy 수를 가지고 있고, 유전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유전체 및 진화 연구에 매우 적합한 재료이다. MITE를 이용한 갓의 품종구분 분자표지를 확인하기 위해 MITE super-families 중 Stowaway(BraSto) 관련 70점, Tourist(BraTo) 관련 79점, hAT(BrahAT) 관련 6점, Mutator(BraMu) 관련 5점으로 품종구분 표지를 알아보았다. 총 160점의 분자표지 중 32점이 갓 15 품종에서 뚜렷한 다형성을 보였다. 특히, 흑갓은 표현형뿐만 아니라 유전자형도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8점의 MITE 분자표지를 활용하여 47점의 유전자원에서 다형성 및 품종구분 표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형성 표지들은 갓의 품종구분 및 품종 보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배무채의 형태와 영양적 특성 및 교잡 친화성 (Morpholog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Crossability with Brassica Species of Baemoochae, xBrassicoraphanus)

  • 이수성;김태윤;양정민;김종기;임수연;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43-548
    • /
    • 2012
  • 배무채의 형태적 특성은 양친인 배추와 무의 중간형태이다. 잎은 윗부분이 배추이고 아래 부분이 무를 닮았다. 잎의 중륵은 무처럼 둥글지만 직경이 3cm 이상으로 크고 배추처럼 흰 색이다. 뿌리는 처음에 중간부위가 부풀어져 무 모양이었는데 유전적 안정화 과정을 거치면서 재래종 배추(뿌리배추)처럼 큰 직근으로 바뀌었다. 꽃은 흰 색이며 종자 꼬투리는 선명하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윗부분이 무로서 길이가 약 4cm 정도이며 그 속에 3-4개의 종자가 들고 아래 부분이 배추로서 길이가 약 3cm 정도이며 그 속에 7-8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는 배추와 비슷한 적갈색이며 천립중이 5.5g이고 mL당 약 120립 정도이다. 가을에 배추와 같이 재배하면 약 5kg 정도까지 자라며 외엽이 아주 무성하고 억세게 보인다. 속잎은 노란색을 띠며 엉성하지만 약 900g 정도의 구를 형성한다. 잎과 뿌리 모두 항암과 항균작용이 큰 기능성 물질 썰포라펜(sulforaphene)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배무채는 복2배체 식물로서 자가불화합성이 없고 따라서 자가수정이 잘되지만 벌이 많이 오는 타가수분식물이다. 배무채는 그의 모계였던 배추와의 교잡에서 자방친일 때는 교잡이 아주 잘 되지만 부계일 때는 완전한 불화합이며 부계였던 무 및 양배추와 흑겨자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불화합성이다. 그러나 복2배체 식물인 유채 및 황겨자와의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화합성이며 갓과의 사이에는 상반교잡 모두 부분화합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