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unt of collection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5초

Wave plate 습분제거기의 형상 변경을 통한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wave plate mist eliminator through geometry modification)

  • 노정훈;조민철;이승종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7-107
    • /
    • 2022
  • The geometry of popular wave plate type mist eliminator for the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process was improved, fabricated, and experimentally evaluated. A Mist eliminator is a type of inertial particle collector which collection efficiency is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of the gas phase. However, as the amount of re-entrainment is also proportional to the gas phase velocity, there is a limitation for the gas phase flow rate. Re-entrai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a mist eliminator and is likely to occur as the input of the liquid phase and flow rate of the gas phase increas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e projection angle of the improved mist eliminator is set to 30° from the conventional one while maintaining the cross-section. With low flow rate conditions, the modified mist eliminator showed a similar pressure drop and overall collection efficiency. However, with conditions in which re-entrainment is obviously occurring, the modified mist eliminator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draining droplets than the conventional one. As a result, the modified mist eliminator showed higher overall collection efficiency.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alivary Microbiome Affected by Sample Collection Method

  • Lee, Yeon-Hee;Hong, Ji-Youn;Lee, Gi-Ja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1호
    • /
    • pp.10-2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various saliva collection methods affect the observed salivary microbiome and whether microbiomes of stimulated and unstimulated saliva and plaque differ in richness and diversity. Methods: Seven sampling methods for unstimulated saliva, stimulated saliva, and plaque samples were applied to six orally and systemically healthy participants. Bacterial 16S ribosomal RNA genes of 10 major oral bacterial species, namely,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Fusobacterium nucleatum, Prevotella intermedia, Prevotella nigresce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sobrinus, and Lactobacillus casei, were analyz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dependence of the amount of bacterial ribosomal DNA (rDNA), bacterial-community composi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each species on sample collection method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rDNA copy number depending on the collection method in three species: F. nucleatum, P. nigrescens, and S. mitis.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richness was S. mitis, with the range from 89.31% to 100.00%, followed by F. nucleatum, P. nigrescens, T. denticola, T. forsythia, and P. intermedia, and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the remaining five species was less than 1%. The species with the lowest observed richness was P. gingivalis (<0.1%).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unstimulated saliva collected with a funnel (4.449).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plaque samples (3.623) than in unstimulated (3.171) and stimulated (3.129) saliva and in mouthwash saliva samples (2.061). Conclusions: The oral microbial profile of saliva samples can be affected by sample collection methods, and saliva differs from plaque in the microbiome. An easy and rapid technique for saliva collection is desirable; however, observed microbial-community composition may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microbiome when unstimulated saliva is assayed.

피지컬 교구를 이용한 인공지능 교육용 데이터 수집 연구 (Research of Data Collection for AI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Tools)

  • 이재호;전도연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65-277
    • /
    • 2021
  •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데이터다.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양이 이전보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인공지능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에 비해 인공지능과 연계된 데이터 교육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기존의 인공지능 데이터 교육의 사례 분석 결과, 데이터 과학의 과정 및 일부를 교육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았다.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와 함께 피지컬 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사례를 연구하였으나, 데이터 수집과 관련한 연구 사례 또한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지컬 도구를 활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계하였다. 모듈형 피지컬 컴퓨팅 교구인 코블S를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의 구조도를 만들고 서비스 측면과 사용자 측면의 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 측면의 제안으로 향후 프로그램 제작 및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구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분뇨수집 및 운반에 관한 적정방안 연구 (A Study on Proper Strategies regarding Collection and Transport of Human Feces)

  • 유대현;이용훈;이장훈;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99
    • /
    • 2013
  • In this study, a current condition of human feces-collecting and transporting business of local government was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data to efficiently derive proper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human feces-collecting and transport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data for human feces-collecting and transporting business from 2006 to 2010,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of people working in this field and the amount of human feces produced and processed were decreased. They were decreased by 292 places, 1,077 employees, $904m^3/day$, and $121m^3/day$,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umber of human feces-collecting and transporting business has been decreased causing an extra amount of manpower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orking in the field decreased. In this study, the reasons for financial difficulties of human feces-collecting and transporting business were analyzed. Finally the alternative plans were suggested to replace currently closed business due to management deterioration.

탄소섬유 시트 방전극의 입자 크기 별 집진 특성 및 공기청정기로의 응용 (Particle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 sheet discharge electrode by particle size and application to air cleaner)

  • 신동호;우창규;홍기정;김학준;김용진;한방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1-88
    • /
    • 2018
  • The market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ir cleaners are the representative products. As interest in indoor air quality increases, so are the ultrafine particle which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Despite its many advantages, electrostatic precipitators are less used in indoor air due to ozone production. In this study, the carbon fiber sheet wa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ungsten wire discharge electrode.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ozone generation were measured for 10-100 nm particles. Furthermore, it was applied to commercial air purifier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compare particle removal performance. The carbon fiber sheet type discharge electrode generates a small amount of ozone, and thus it can be applied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폐쇄형 식물생산 시스템에서 태양광 채광시스템 연구 (Evaluating Solar Light Collectors for Use in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s)

  • 이상규;이재수;이현동;백정현;노시영;홍영신;박종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1-526
    • /
    • 2019
  • In this study, a solar light collector that collects and transmits solar light required for crop production in a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was developed. The solar light collector consisted of a Fresnel lens for collecting solar light, and a tracking actuator for tracking solar light from sunrise to sunset to increase the light collection efficiency. The optical fiber that transmitted solar light was made of Glass Optical Fiber (GOF), and it had an excellent optical transmission rate. After collecting the solar light, the amount of light was measured at 5, 10, 15, 20, 25, and 30 cm distances from the GOF through the darkroom by using a light sensor logger connected to a quantum and pyranometer sensor. Compared with solar light, the light intensity of pyranometer sensor measured at 5 cm was 114% higher than solar light, and 61% at 10 cm.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necessary amount of light for growing crops up to about 15 cm (as over 22%) through GOF. Therefore, adding diffusers to the solar light collector should be expected to replace artificial light in plant factories or plug seedlings nurseries for leafy vegetables. More studies on the solar light collection devices and the light transmission devices that have high light collection efficiency should be conducted.

기술 지식 자동 추출을 위한 테스트 컬렉션 구축 (Construction of Test Collection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Technological Knowledge)

  • 신성호;최윤수;송사광;최성필;정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63-472
    • /
    • 2012
  • 지난 10년간 인터넷과 컴퓨팅 기술의 발전, 모바일 기기와 센서들의 진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의 출현 등으로 정보량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와 이로 인해 파생되는 방대한 정보는 그것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한계를 느끼게 한다. 따라서 방대한 정보 속에서 의미있는 지식을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의 연구가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식 추출 시스템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지만, 정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과제가 있다. 지식 추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컬렉션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 지식의 자동 추출을 위해 개발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컬렉션을 소개한다. KEEC/KREC(KISTI Entity Extraction Collection/KISTI Relation Extraction Collection)라 명명된 테스트 컬렉션에 대한 구축 절차 및 기준과 구축된 테스트 컬렉션의 특징을 제시한다. 특히 테스트 컬렉션의 주요한 평가 기준이 되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태깅 지원 도구를 활용한 전문가 태깅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태깅 지원 도구를 활용한 전문가 태깅은 시스템에 의한 자동 태깅 도구들 또는 사람이 태깅을 하되, 지원 도구 없이 태깅하는 방법보다 태깅의 정확도를 높여준다. 구축된 KEEC/KREC은 실제로 과학기술 문헌에 존재하는 PLOT(Person, Location, Organization, Technology) 간 연관관계 추출 성능 평가를 위해서 사용되었고,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 기여하였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대출 이용 현황 분석 (Analysis of Collection and Loan Usages in Small-sized University Libraries)

  • 김희진;박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24
    • /
    • 2023
  •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및 대출 이용 현황을 전국 대학도서관과 정량적으로 비교함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을 위한 장서개발 지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통계치를 추출하여 4년제 대학도서관의 평균과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재학생 수, 장서 수, 도서대출 수, 전자자료 이용건수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로 증가율, 1인당 이용량, 장서회전율, 연평균증가율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학생 수는 전국 대학과 소규모 대학 모두 감소한 반면, 장서 수는 전국 대학도서관보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증가율이 30% 이상 높았다. 도서 대출 수는 두 그룹 모두 약 75% 감소하였고 전자자료 이용량은 230% 이상 대폭 증가하였다. 상관관계분석에서도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데, 대출이 감소하면 전자자료 이용이 증가하였고 소규모 대학도서관은 증가치가 더 높았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을 위해 전자자료 구입비 예산비율을 대폭 확대 조정이 필요하며 소규모 대학도서관간의 특성별 전자자료 공동이용을 위한 컨소시엄을 제안하였다.

8방향 포집방식에 따른 대기 중 비래염분의 분포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Chlorides by Eight-directional collection method)

  • 조규환;이영준;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8-99
    • /
    • 2014
  • The newly developed eight-directional collector was installed at five different locations in the coastal area after its functional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Based on the airborne chloride amount measured for one year,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chlorides were examined by direction. In terms of direction, a larg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was collected, not only in the direction facing the coast but also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mount measured at effective three directions was 1.5 times that measured at non-effective three directions.

  • PDF

기생봉사육용(寄生蜂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幼蟲採集)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of Arboreal Parasite Larva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34-341
    • /
    • 1997
  •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은 대부분(大部分) 강우시(降雨時)에 낙하(落下)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추기(秋期)의 자연낙하기(自然落下期) 동안 피해임지내(被害林地內)의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수장치(噴水裝置)를 설치(設置)하고 강수량별(降水量別), 강수시기별(降水時期別) 및 강수시각별(降水時刻別)로 인공강수(人工降水)를 실시(實施)하여 인공강수(人工降水)가 솔잎혹파리 유충낙하(幼蟲落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검토(分析檢討),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새로운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을 개발(開發)코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솔잎혹파리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은 매우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유충채집(幼蟲採集)에 필요(必要)한 적정강수량(適正降水量)은 5.3-9.4mm, 이때에 소요(所要)된 살수량(撒水量) 및 살수시간(撒水時間)은 각각(各各) $8,000-16,000{\ell}$와 180-360분(分) 이었다. 2.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효과적(效果的)인 유충채집시기(幼蟲採集時期)는 중부지방(中部地方) 소나무림(林)의 경우 11월(月) 초순(初旬)부터 중순(中旬)까지 약(約) 20일간(日間)이며 이 기간(期間)에 낙하(落下)한 유충수(幼蟲數)는 전체(全體) 낙하수(落下數)의 93.4%였다. 3. 하루중에 있어서의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낙하(幼蟲落下)는 강수시각(降水時刻)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幼蟲)의 채집시기별(採集時期別) 천적기생율(天敵寄生率)은 11월(月)의 것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12월(月) 채집분(採集分)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 유충채집적지(幼蟲採集跡地)의 1년후(年後)의 밀도변동(密度變動)은 채집전(採集前)과 비교(比較)하여 약(約) 34%의 밀도감소효과(密度減少效果)가 있었다. 6.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채집방법(幼蟲採集方法)은 현행방법(現行方法)인 충영채집법(蟲癭採集法)에 비(比)하여 약(約) 14-50%의 채집비용(採集費用)(경제적(經濟的)) 절감효과(節減效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