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onium-exchang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7초

고사리의 독성물질 Ptaquiloside 제거방법 연구 (Study on Processing Methods to Remove Toxic Ptaquiloside from Bracken Fern)

  • 이향희;김애경;이민규;최수연;서진종;김은선;서계원;조배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1
    • /
    • 2017
  • Ptaquiloside는 고사리에 들어 있는 발암성 물질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리법에 따라 고사리에 함유된 ptaquiloside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조리법은 가열, 물에 침지, 물교환 횟수 등이었다. 알칼리 가수분해와 용매분획은 ptaquiloside를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인 pterosin B로 전환시켜 주었다. Pterosin B 함량은 이동상용매로 3 mM ammonium과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UPLC-MS/MS로 분석하였다. 조리과정이 없는 생고사리의 $H_2O$추출물에 함유된 pterosin B함량은 81 mg/kg으로 검출되어 독성물질 ptaquiloside는 46.4 mg/kg이었다. 5분의 가열 시간 후 고사리의 pterosin B 함량은 약 60%정도 제거시켜주며, 이 중 2/3는 ptaquiloside에서 전환된 pterosin B가 아닌 고사리 고유의 ptersoin B 함량이었다. 12시간 침지를 추가한 고사리는 처리하지 않은 고사리에 비해 약 88%, 또한 매시간 물교환 작업을 추가시 99.5%까지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독성물질 ptaquiloside의 제거는 가열시간과 더불어 침지와 물 교환 횟수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세공충진 음이온 전도성막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체알칼리 연료전지 성능 평가 (Pore-filling anion conducting membranes and their cell performance for a solid alkaline fuel cell)

  • 최영우;이미순;박구곤;임성대;양태현;김창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9.2-129.2
    • /
    • 2010
  • AEM which were used for solid alkaline fuel cell(SAFC) were prepared by photo polymerization in method pore-filling with various quaternary ammonium cationic monomers and crosslinkers without an amination process. Their specific therm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electrolyte membranes such as swelling behavior, ion exchange capacity and ionic conductivity were also investigated in correlation with the electrolyte composi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prepared in this study have a very wide hydroxyl ion conductivity range of 0.01 - 0.45S/cm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electrolyte monomer and crosslinking agent used for polymerization. However, the hydroxyl ion conductivity of the membranes was relatively higher at the whole cases than those of commercial products such as A201 membrane of Tokuyama. These pore-filling membranes have also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smaller dimensional affects when swollen in solvents, higher mechanical strength, lowest electrolyte crossover through the membranes, and easier preparation process compared of traditional cast membranes. The prepared membranes were then applied to solid alkaline fuel cell and it was found comparable fuel cell performance to A201 membrane of Tokuyama.

  • PDF

Fabrication of Pre-Exfoliated Clay Masterbatch via Exfoliation-Adsorption of Polystyrene Nanobeads

  • Khvan, Svetlana;Kim, Jun-Kyung;Lee, Sa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51-58
    • /
    • 2007
  • The approach studied in the present work produced an exfoliated state of clay layers via confinement of the charged nano-sized polystyrene (PS) beads within the gallery of swollen pristine clay. It was demonstrated that adsorption of the polymer nanobeads dramatically promotes expansion of the clay gallery. A comparative study of incorporation was conducted by employing organo-modified clay along with two different colloid polymer systems: electrostatically stabilized PS nanobeads and cationic monomer-grafted PS nanobeads. The mechanism of adsorption of the monomer-grafted polymer beads onto clay via cationic exchange between the alkyl ammonium group of the polymer nanobeads and the interlayer sodium cation of the layered silicate was verified by using several techniques. As distinct from the polymer nanobeads formed using conventional mini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competitive adsorption of stabilizing surfactant molecules was be prevented by grafting the surface functional groups into the polymer chain, thereby supporting the observed effective adsorption of the polymer beads. The presence of surface functional groups that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trong polymer-clay interactions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the clay with the polymer matrix and eventually play a cruci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final nanocomposites.

Characterization of Thioltransferase from Kale

  • Sa, Jae-Hoon;Yong, Mi-Young;Song, Byung-Lim;Lim, Chang-Jin
    • BMB Reports
    • /
    • 제31권1호
    • /
    • pp.20-24
    • /
    • 1998
  • Thioltransferase, also known as glutaredoxin,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reduction of a variety of disulfides, including protein disulfides, in the presence of reduced glutathione. Thioltransferase was purified from kale through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52 ion-exchange chromatography,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Q-Sepharose ion-exchange chromatography. Its molecular size was estimated to be about 31,000 daltons on SDS-PAGE. The purified enzyme has an optimum pH of about 8.0 with 2-hydroxyethyl disulfide as a substrate. The enzyme also utilizes L-sulfocysteine, L-cystine, bovine serum albumin, and insulin as substrates in the presence of GSH. The enzyme has $K_m$ values of 0.24-0.67 mM for these substrates. The enzyme was partly inactivated after heating at $80^{\circ}C$ or higher temperature for 30 min. The enzyme was stimulated by various thiol compounds such as reduced glutathione, dithiothreitol, L-cysteine, and $\beta$-mercaptoethanol. This is a second example of a plant thioltransferase which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 PDF

아민화 아크릴계 이온교환섬유의 폐수 중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흡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from Waste Water by Fibrous Aminated Acrylic ion-Exchanger)

  • 황택성;박진원;김원종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516-522
    • /
    • 2002
  • 4급 암모늄기를 관능기로 갖는 아민화 아크릴계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하여 연속식 흡착공정 중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LAS)의 흡착특성을 확인하였다. 아민화 아크릴계 이온교환섬유의 LAS흡착성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circ}C$에서 최적 흡착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컬럼 베드 충진비(L/D)의 변화에 따른 LAS 이온의 흡착능은 L/D>2에서 최대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pH 변화에 따른 LAS이온 흡착능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 7에서 최대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유속변화에 따른 LAS 흡착능은 유속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떨어졌다.

주석슬러그에서 스칸듐원소의 정량 및 회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overy and Determination of Scandium from Tin Slag)

  • 차기원;정의식;김경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8-101
    • /
    • 1990
  • 스칸듐을 Methyl Thymol Blue(MTB)를 사용하여 가시선 흡수분광법으로 정량하는 새로운 방법을 확립하였고 주석슬러그에 스칸듐은 음이온교환수지와 용리액으로는 황산암모늄과 황산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분리 회수하였다. 스칸듐과 MTB간의 착물의 결합비는 1:1이었고 최대흡수파장은 585nm이고 몰흡광계수는 $2.0 {\times} 10^4\;\iota{\cdot}mol^{-1}{\cdot}cm^{-1}$이다. 주석슬러그 용액을 음이온교환수지에 흡착시키고 위의 용리액으로 용리시키면 스칸듐 이외의 공존이온은 빨리 용출되고 늦게 용출되어 분리 회수된다.

  • PDF

NH4I 용액으로부터 고효율/고순도의 요오드 회수 공정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Iodine Recovery Process with High Yield and Purity from NH4I Solution)

  • 윤종선;임성빈;오세용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77-3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p-diiodobenzene (PDIB)으로부터 p-phenylenediamine (PPD) 합성 후 생성되는 부산물인 $NH_4I$를 PDIB 합성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I_2$ 회수 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NH_4I$ 시약 용액으로부터 $I_2$ 회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양이온교환수지의 파과곡선을 통해 파과점 및 관류교환용량을 조사하였다. 회수되는 요오드의 수율 및 순도 향상을 위해 $NH_4I$의 공급용액 및 산화제($H_2O_2$)의 농도 변화, 상온과 저온 건조공정 그리고 산화시간에 따른 순도와 수율을 측정하여 $NH_4I$ 용액으로부터 요오드를 회수하는 공정의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산화공정 후 발생하는 여액을 재사용하는 과정을 도입하여 실험한 결과 수율 94.96%, 순도 96.65%의 $I_2$를 회수할 수 있었다.

아자크라운 에터를 포함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리튬 동위원소의 농축 (Enrichment of Lithium Isotope by an Ion Exchange Resin Containing Azacrown Ether)

  • 김동원;정용순;최기영;이용일;정영규;장영훈
    • 분석과학
    • /
    • 제10권6호
    • /
    • pp.403-407
    • /
    • 1997
  • Anchor group으로서 1,7,13-trioxa-4,10,16-triazacyclooctadecane($N_3O_3$)을 가지고 있는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6Li$$^7Li$의 분리인자를 측정하였다. 가벼운 동위원소 $^6Li$는 액상에, 무거운 동위원소 $^7Li$는 이온교환수지상에 농축되었다. 2.0M 염화암모늄 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한 컬럼 [0.9cm(내경)${\times}$20cm(높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1.009의 분리인자, ${\alpha}$, $(^7Li/^6Li)_{resin}$/$(^7Li/^6Li)_{solution}$값을 얻었다. 이 값은 용리곡선과 동위원소비로부터 Glueckauf 이론을 적응하여 얻은 것이다.

  • PDF

NH4-K 와 NH4-Ca 평형에 대한 양이온 치환식의 적용 (Application of Exchange Equations for NH4-K NH4-Ca Equilibria)

  • 정종배;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8-226
    • /
    • 1995
  • 복숭아 묘목으로 부터 채취한 근권 및 그 주변 토양을 이용하여 $NH_4-K$$NH_4-Ca$ 치환 현상을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양중 암모니움 등 양이온의 이동과 분포의 모델화에 적용할 수 있는 치환식을 찾고자 했다. 토양시료를 $NH_4Cl$, KCl과 $CaCl_2$ 용액으로 평형에 도달시킨 후 $Sr(NO_3)_2$ 용액으로 추출하여 평형상태에서의 치환태 양이온 조성을 구하였다. Vanselow, Gapon 그리고 kerr의 식은 $NH_4-K$$NH_4-Ca$ 치환 현상을 적절히 기술할 수 없었으나 치환태 양이온 농도에 임의의 지수를 갖는 다음과 같은 경험식이 매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frac{\alpha_i^m}{a_j^n}}=K{\frac{(iX)^{mPi}}{(jX)^{nPj}}}$ 이 식에서 ${\alpha}i$${\alpha}j$는 원자가가 m과 n인 양이온 i 및 j의 용액 중 activity이며(iX)와 (jX)는 치환태양이온 i와 j의 농도이다. 치환태 양이온의 농도 단위로는 몰 분율 또는 당량 분율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상수 $P_i$$P_j$ 그리고 분배상수 K는 이 식의 대수형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 PDF

바이폴라막 전기투석을 이용한 황산암모늄으로부터 암모니아수와 황산의 제조 (Production of Ammonia Water and Sulfuric Acid from Ammonium Sulfate by Electrodialysis with a Bipolar Membrane)

  • 황의선;최재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6-42
    • /
    • 2005
  • 2실 구조의 바이폴라막 전기투석(EDBM) 공정을 이용하여 황산암모늄으로부터 황산과 암모니아수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황산암모늄 농도가 20 wt%인 용액에 대해 전류밀도 및 농축조에서의 황산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전기투석을 실시하였다. 전류밀도를 $25{\sim}100\;mA/cm^2$의 범위에서 운전한 결과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전류효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농축조의 황산이 음이온교환막을 통해 희석조로 확산됨으로써 일반적인 탈염용 전기투석 공정에 비해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축조의 황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음이온교환막에서 황산의 확산속도가 증가하여 전류효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스택의 전기저항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바이폴라막의 전이영역에서 높은 전기장하에서 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주울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 결과 2실 구조의 EDBM 공정을 통해 황산암모늄으로부터 황산과 암모니아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류효율과 전기저항 측면에서 높은 전류밀도로 운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공정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전류효율을 높이면서 농축조의 황산농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