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fertilizer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해양부산물 아미노산액비 및 유용미생물(KEM) 시용이 들깻잎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 and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s on the Leaf Qual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 조전권;안승원;김영칠;황인수;김명선;이정관;노희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01-130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M and SAF appication on contents change of fatty acids and organic acid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Britton). Contenst of squalene in perilla leaves on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3.39 mg and 4.22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qualene quantity of KEM/SAF treated leaves was 24.2% more than that of control. A total 6 fatty acids in perilla leav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Percentage of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leaves were 20 and 80%, respectively. Contents of phytosterols in perilla leaf such as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2.0 and 20.0 mg, respectively. Therefore sitosterol content was 10 fold more than that of campesterol. The KEM/SAF application on perilla leaf was effective on the change of squalene or phytosterol contents. However effect of that was negligible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밭토양 조건에서 질소함량별 유기자원의 질소 무기화율 추정 (Estimation of Nitrogen Mineralization of Organic Amendments Affected by Nitrogen Content in Upland Soil Conditions)

  • 임진수;이방현;강승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2-268
    • /
    • 2019
  • 토양에서 유기자원의 무기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함량별로 볏짚, 우분퇴비, 균배양체, 유박, 아미노볼 등 총 5가지를 각각 처리하여 128일 동안 실내 항온배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 분석결과를 질소 무기화 모형에 적용하여 유기자원의 질소 무기화 양상을 구명하였다. 항온배양 기간 동안 유기자원의 질소 순 무기화율은 질소함량이 가장 높은 아미노볼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함량이 가장 낮은 볏짚에서 가장 낮았다.잠재적 질소 무기화율은 전질소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0.96)가 인정되었다. 무기화 속도상수 k는 유기자원의 유기물(-0.96) 및 탄소함량(-0.97)과 음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1작기 동안의 질소 무기화율은 볏짚 6.6%, 우분퇴비 11.6%, 균배양체 30.9%, 유박 70.7%이었으며 아미노볼은 81.0%를 나타냈다. 질소 무기화율은 유기자원의 종류 또는 질소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질소 무기화율을 유기자원의 질소 공급 특성을 결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질소함량이낮거나 발효과정을 거치는 퇴비 등의 유기자원은 퇴비화 과정에서 유기태 질소가 안정화되어 질소의 무기화율이 무발효 유기자원보다 낮으므로 시비량 결정시 양분공급의 목적보다는 토양 물리성 개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asibility Study on Production of Liquid Fertilizer in a 1 ㎥ Reactor Using Fishmeal Wastewater for Commercialization

  • Gwon, Byeong-Geun;Kim, Joong-K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8
    • /
    • 2012
  • A scaled-up bioconversion of fishmeal wastewater (FMW) into liquid fertilizer was performed five times in a $1m^3$ reactor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The importance of aeration was marked. Analyses indicated that dissolved oxygen (DO) level was closely related to the value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and it was crucial to achieve high-quality liquid fertilizer. When pure oxygen was supplied through four diffusers into the reactor, DO levels and ORP values were maintained over 1.2 mg/L and 0.2 mV, respectively all the time during 52 hr of bioconversion. The pH changed from 6.8 to 5.9. The average removal percentage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_{Cr}$) and total nitrogen (TN) were 75.0% and 71.6%,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esult acquired in a 5-L reactor, bioconversion of FMW into liquid fertilizer was achieved in a shorter time under the same removal percentages of $COD_{Cr}$ and TN. The 52-hr culture of inoculated FMW was phytotoxic-free and it possessed comparable fertilizing ability to a liquid fertilizer made from the fish waste in hydroponic culture with amino acid contents of 5.93 g/ 100 g sample. From all the above results, transferring lab-scale data to large-scale production appeared to be successful. As a result, the commercialization of a liquid fertilizer made from FMW was feasible.

유기성 자원과 혼합유기질비료 혼합물의 특성 및 처리 후 엽채류의 생육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xtures with Mixed Organic Fertilizer and Various Organic Sources and Their Influences on Growth of Two Leaf Vegetables)

  • 김영선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1호
    • /
    • pp.47-57
    • /
    • 2021
  • 본 연구는 유기성 자원 중 가축분퇴비(LMC), 가공계분(CPM), 음식물류폐기물건조분말(FWP) 및 아미노산발효부산액(ABF)등과 혼합유기질비료(MOF)의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작물에 대한 생육을 조사하였다. LMC, FWP 및 MOF의 혼합물(MLF)의 질소, 인산 및 칼륨의 함량은 각각 3.6~3.9%, 2.1~2.2% 및 1.3~1.4%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MLF3 처리구(60% MOF + 10% LMC + 30% FWP)는 대조구(MOF)보다 약 29% 상추의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CPM, FWP, ABF 및 MOF의 혼합물인 MCFA의 질소, 인산, 칼륨의 함량은 각각 4.5~4.7%, 1.7~1.9% 및 1.3~1.4%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MCFA를 상추와 배추에 처리하였을 경우 MOF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기성 자원과 혼합유기질비료의 혼합물인 MLFs와 MCFAs의 시비는 상추와 배추 재배에서 혼합유기질비료(MOF)와 유사한 작물생육특성을 나타내어 LMC와 ABF는 유기질비료의 원료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인산감수성(燐酸感受性)이 다른 대두엽(大豆葉)의 광합성(光合成) 호흡(呼吸) 평형(平衡)과 유리(遊離) 아미노산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Sources on PRE-point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Leaves different In Phosphorus Sensitivity)

  • 챨스 A. 스뚜디;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9-244
    • /
    • 1973
  • 대두(大豆)의 안산(燐酸) 감수성(感受性)과 관련(關聯) 엽(葉)의 광합성(光合性)-호흡평형점(呼吸平衡點)과 유리(遊離) 아미노산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유리(遊離) 아미노산 함량(含量)은 암모니움 태(態)에서 최고(最高)였고 요소태(尿素態)에서 최저(最低)였다. glycine, serine, alanine과 특히 histidine이 암모니움태(態)에서 높았다. aspartic acid 는 초산태(硝酸態)에서 높았다. 광합성(光合性)-호흡평형점(呼吸平衡點)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높고 초산태(硝酸態)에서 보다 암모니움태(態)에서 높았다.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과잉흡수(過剩吸收)된 암모니움을 광합성(光合性) 회로(回路)에서 중간대사물(中間代謝物)을 탈취(脫取)하여 조해(阻害)하고 오탄당(五炭糖) 회로(回路)와 광호흡회로(光呼吸回路)가 활발(活發)해지며 인산감수성품종(燐酸感受性品種)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조장(助長)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fferent Levels of N Supply Impacts on Seed Yield by Modulating C and N Metabolism in Brassica Napus

  • Lee, Bok-Rye;Lee, Hyo;Kim, Tae-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5-80
    • /
    • 2019
  • Oilseed rape is known to crop having low nitrogen use efficiency (NUE) but requires high levels of N fertilizer. NUE is associated with N remobilization from source to sink organ, consequently affects seed yield. Remobilization of leaf N is also related to transport of C/N metabolites in phloem. However, interaction between seed yield and phloem transport was not fully documented. In response to seed yield, N and C metabolites and their transport into seed from bolting to pod filling stage investigated in two contrasting genotypes (Capitol and Pollen) cultivated under ample (HN) or limiting nitrate (LN) supply. Seed yiel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N limitation and its reduction rate was much lower in Capitol than in Pollen compared to HN treated plants. Amino acid and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Capitol than in Pollen at bolting stage. They gradually decreased during plant development but not significant between two cultivars and/or two treatment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content were 1.8-,1.6- or 1.25-fold higher in LN condition than in HN condition, respectively. Amino acid and sucrose content in phloem were largely higher in Capitol than in Pollen under LN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seed yield might be related to greater transport ability of amino acid and sucrose in phloem under LN condition.

Intraspecific variations in macronutrient,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ss-cultured Teleaulax amphioxeia (Cryptophyceae) strains

  • Lee, Bae Ik;Kim, Shin Kwon;Kim, Jong Hyeok;Kim, Hyung Seop;Kim, Jong Im;Shin, Woongghi;Rho, Jung-Rae;Yih, Wonho
    • ALGAE
    • /
    • 제34권2호
    • /
    • pp.163-175
    • /
    • 2019
  • To compare the nutritional quality of TPG (Teleaulax / Plagioselmis / Geminigera) clade species of cryptomonads with that of RHO (Rhodomonas / Rhinomonas / Storeatula) clade species 6 Teleaulax amphioxeia (TA) and 1 Rhinomonas sp. strains were mass-cultured in newly designed 500-L photobioreactors to the end of exponential growth phase. Intraspecific variations (IVs) in terms of one standard deviation among the 6 TA strains in the compositions of the three macronutrients were 41.5 (protein), 89.8 (lipid), and 15.6% (carbohydrate) of the mean. When harvested from stationary growth phase mean compositions of essential amino acids (EAAs, 47.3%) and non-EAAs (52.7%) of the 2 TA strains, CR-MAL07 and CR-MAL08-2, were similar to those of a Chroomonas strain. The IVs between the 2 TA strains in the composition of EAAs (10.3 and 2.4) and non-EAAs (8.5 and 2.1% of the mean) were rather smaller than those of saturated fatty acids (30.3 and 26.1) and unsaturated fatty acids (UFAs, 12.0 and 12.5% of the mean) in f/2-Si and urea-based compound fertilizer (UCF) culture media, respectively. Mean composition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17.9%)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12.7%) of total fatty acids of the 2 TA strain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of a Chroomonas strain. EPA and DHA compositions exhibited similar level of IVs between the 2 TA strains in f/2-Si (14.6 and 11.0) and UCF media (12.6 and 13.5% of the mean). Thus, the nutritional quality in terms of amino acids, UFAs, EPA, and DHA in a TPG clade species, T. amphioxeia was comparable to those of RHO clade species with notable IVs. Practically, biotechnological targets for TPG clade cryptomonad strains might be subspecies or clone level.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유기 액비 제조시 발효액의 특성 변화 (Change of Characteristics during Organic Liquid Fertilizer Processing using Ascidian Tunic)

  • 유재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3-693
    • /
    • 2014
  • 폐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환경친화형 유기농 액비의 개발을 위하여 유용미생물(EM)을 이용한 우렁쉥이 껍질의 최적 발효조건과 액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EM발효 우렁쉥이 껍질 액비 제조 시 당밀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아지며, EC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당밀이 10%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EM발효 우렁쉥이 액비의 총 질소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약 220%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인의 함량은 발효 21일차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칼륨의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 역시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증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슘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분(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은 시험구 모두에서 비료공정규격 기준치에 적합하였다. 우렁쉥이 껍질 액비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29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7,080.94 mg/L를 나타내었고 알라닌이 656.32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액비화에는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조건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정도(遮光程度)가 차엽(茶葉)의 아미노산(酸), 무기성분(無機成分),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hading Effect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Minerals, and Fatty Acids in Tea Leaves(Camellia sinensis O. Kuntze))

  • 박장현;최형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8-296
    • /
    • 1996
  • 차광도(遮光度)가 다른 재배환경이 다엽의 무기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脂肪酸) 함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95%차광구(遮光區)에서 5.49%로 가장 높았고 총 아미노산의 경우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함량이 더 많았고, 24670-30210mg/kg, Theanine은 95%차광구에서 15580 mg/kg으로 가장 많았고, 무처리구가 12470 mg/kg으로 가장 함량이 적었다. $NH{_4}^+$, $K^+$, $Mg^{+{+}}$는 차광구에서 함량이 높았고, $Ca^+$는 무처리구에서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 함량은 55% + 95%처리구가 27990 mg/kg으로 가장 많았고, 무처리구가 24350 mg/kg으로 가장 적었으며, 다엽의 지방산은 $C_{18:3}$, $C_{18:2}$, $C_{18:0}$, $C_{18:1}$, $C_{18:0}$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차광정도에 관계 없이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차엽 품질이 향상 되었으며, 특히 95% 차광구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 하였다.

  • PDF

완효성 비료 분시방법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Split-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 Leaves)

  • 박장현;국용인;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0-194
    • /
    • 2003
  • 두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9월, 3월 분시 2회 와 3월 1회 분시는 수량차가 없었으나 9월 1회 분시는 감수되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비료 2회 분시가 총 질소, 총 아미노산은 많았고, tannin과 caffeine 함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며 엽록소, 비타민 C, 유리당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1회 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그러나 완효성 비료처리는 토양비료성분 중 질소, 인산, 칼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차잎 수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