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additive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첨가물이 냉장 중 생강 다대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Quality Attributes of Minced Ging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민식;김동호;이경혜;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48-1056
    • /
    • 2002
  • 생강다대기의 저장중 가스 발생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무처리구는 가스가 급격하게 증가 하였지만 단독처리구와 종합처리구는 가스발생량이 경미하였다. 고액분리의 정도는 xanthan gum을 첨가한 단독처리구와 종합처리구가 고액분리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Delta}E$값은 종합처리구가 저장 120일이 경과하여도 1.87에서 2.99사이로 저장 초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장 안정적이었다. 다대기 제품의 저장중 pH 변화는 종합처리구만이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고, 모든 처리구들의 총 유기산 함량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현저한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종합처리구는 증가율이 억제되어 저장 60일까지 가장 안정적이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종합처리구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처리구별 총 유리당 함량의 감소율은 무처리구 > 종합처리구 > L-cysteine 처리구 > sodium bisulfite 처리구 순으로 증가하였다. 다대기 제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적 특성으로 색깔, 이취, 전체적인 선호도는 종합처리구가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평가되었고, 저장 중 무처리구와 종합처리구간의 지방산 조성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강 다대기를 $5^{\circ}C$에서 장기 저장하면서 발생하는 갈변, 가스발생, 고액분리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갈변억제제인 L-cysteine 0.2%, 가스발생억제제인 sodium benzoate 0.1%와 NaCl 2% 그리고 고액분리억제제인 xanthan gum 0.1%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이들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우수한 품질의 생강 다대기를 제조, 유통하는데 필요하였다.

천연 향미소재 소톨론 생산을 위한 생물전환공정 (Biotransform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otolon as a Natural Flavour Enhancer)

  • 장인환;강민숙;채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49-54
    • /
    • 2004
  • 소톨론은 호로파(fenugreek)라는 콩과식물을 원료 물질로 하여 여러 가지 전환반응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천연향미소재로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미생물이나 효소원을 탐색하였다. 원료로부터 소톨론을 추출하기 위한 유기용매로서 dichloromethane이 선별되었다. 효소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 효모, 사상균 등의 여러가지 미생물에 대한 스크리닝 결과 신령버섯(Agaricus blazei)이 높은 전환율을 보였다. 다양한 첨가물 및 전처리 조건에 따른 전환율을 조사한 결과 호로파 현탁액에 isoleucine, ${\alpha}-ketoglutaric$ acid, ascorbate, $FeSO_4$ 등의 첨가물을 첨가한 후 신령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원료의 초기 소톨론 함량을 대략 77배 수준으로 높일 수 있었다.

Imporove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ilk Fibroin Hyoysates

  • Shukhrat Madyarov;Lee, kawng-Gill;Yeo, Joo-Hong;Jin Nam;Lee, Yong-Woo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8-115
    • /
    • 1999
  • An improvement of methods in fibroin hydrolysates preparat significantly enlarges their applications to practical use. Acidic hydrolysis by hydrohloric acid is one of the methods for silk fibroin depolymeriza6tion. A low yield of final product and long time of the process are the demerits of this method. Possibility of preparation of water-soluble silk hydrolysates with more yield and less expenses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uch possibility is occurred with the increasing tratment temperature and simultaneously decreasing treatment time, concentration of hydrochoric acid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sodium hydroxide used for neutraliza6tion of hydolysates after hydrolysis. Colour is decreased in this case and a small amount of activated, too. Protection of hydrolysates against precipitation after neutraliza6tion, and separation and during concentrating process is the other merit of this method. Creamy-coloured insoluble silk powder is the remainder of hydrolyzed fibroin. This is the only the immobiliza6tion of enzymes and other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Fine particles of this powder can be used as additives for artificial diets and cultural media, as well as raw materials for polymer membranes, etc.

  • PDF

간접 분광 검출법에 의한 음이온의 분석(I) (Analysis of Anions by Indirect Photometric Detection (I))

  • 박만기;김박광;박정일;김경호;이미영;정재은
    • 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5-218
    • /
    • 1990
  • An ion chromatographic method based on indirect photometric detection of UV transparent anions was developed. Separation of anion was accomplished on strong anion exchange column (Waters SAX) using UV detector at 254 nm. Among examined UV-active additives (Dns-H, Dns-glu, Dnsser, Dns-val), Dns-glu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H and ionic strength of eluent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pH and ionic strength of the eluent decreased capacity factor. The best eluent for the separation of acetate, fluoride, chloride, nitrate and bromide was $1\;{\times}\;10^{-4}M$ Dns-glu in 5 mM phosphate buffer (pH 6.30). The detection limit of chloride ion was 2.1 ng in this condition.

  • PDF

The influence of L-arginine as an additiv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hydration reaction of Portland cement

  • Yildiz, Mine Kurtay;Gerengi, Husnu;Kocak, Yilmaz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9권4호
    • /
    • pp.237-246
    • /
    • 2022
  • The concrete quality relies on general factors like preparation technique, uniformity of the compaction, amount and appropriateness of the additives. The current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a well knows amino acid, L-arginine as an additive on water requirements, setting durations and characterization of various cement samples. Compressive strength tests of reference and L-arginine added cements at age of 2, 7 and 28 day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S-EN 196-1. Samples were blended by incorporating various amounts of L-arginine (25 ppm, 50 ppm and 75 ppm) in the cement water mixture which were tested wit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X-ray diffraction (XR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on the 28th day. Results revealed that L-arginine does not affect the setting time, volume expansion of cement and water demands negatively; rather it imparts enhanced sustainability to the sampl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highest value belonged to the 75L mortar with an increase of 2.6% compared to the reference sample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all mortars were compared on the 28th day. Besid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development of calcium silicate hydrate or C-S-H gel, calcium hydroxide or CH and other hydrated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L-arginine definitely has a contribution in the consumption of CH formed in the hydration process.

Development of a thermo-stabel ${\beta}-agarase$ from marine organism

  • Lee, Sang-Hye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31-32
    • /
    • 2005
  • Neoagaro-oligosaccharides are produced only by enzymatic degradation of agarose by ${\beta}-agarase.^{1)}$ Neoagaro-oligosaccharides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slow the rate of degradation of starch, are used as low-calorie additives to improve food quality, and have macrophage-stimulating activity. Furthermore, neoagarobiose is a rare reagent that has both moisturizing effect on skin and whitening effect on melanoma $cells.^{2)}$ An agar-degrading marine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sea water at the northeast coast in Cheju island, Korea. The strain was gram negative, aerobic, and motile rod. The 16S rRNA of the strain had the closest match of 98% homology, with that from Agarivorans albus. On the basis of several phenotypic characters and a phylogenetic analysis, this strain was designated Agarivorans sp. JA-1. In solid agar plate, Agarivorans sp. JA-1 produced a diffusible agarase that caused agar softening around the colonies. Agarivorans sp. JA-1 was cultured for 36 hr in marine broth 2216 (Difco, USA) and the supernatant that containing an extracellular ${\beta}-agarase$ was prepared by centrifugation of culture media. The enzyme exhibited relatively strong activity at $40^{\circ}C$ and was stable up to $60^{\circ}C$. Using PCR primers derived from the ${\beta}-agarase$ gene of Vibrio sp., the gene encoding ${\beta}-agarase$ from Agarivorans sp. JA-1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structural gene consists of 2931 bp encoding 976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of 107,360 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ed 99% and 34% homology to $agaA^{2)}$ and $agaB^{2)}$ genes for ${\beta}-agarase$ from Vibrio sp., respectively. The expression plasmid for ${\beta}-agarase$ gene of Agarivorans sp. JA-1 is being constructed and the recombinant enzyme will be biochemically characterized.

  • PDF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9. 저식염 새우젓의 제조 및 풍미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9.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mall Shrimp and Its Flavor Components)

  • 이응호;안창범;오광수;이태헌;차용준;이근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9-468
    • /
    • 1986
  •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식염의 일부를 염화칼륨으로 대체하고, 젖산, 솔비톨, 에틸알콜을 첨가하여 저식염새우젓을 담그어 식염 $20\%$인 재래식 새우젓과 숙성중 지방산조성의 변화, 정미성분 및 냄새성분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2,\;S_3$ 모두 최적숙성기는 60일이었으며 최적숙성기 때의 관능검사결과로 보아 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sorbitol $6\%$ 및 고추가루추출물 $4\%$를 첨가하여 담근 저식염새우젓 $S_3$는 재래식 새우젓 $S_1$에 비해 손색이 없는 좋은 제품이었다. 생균수는 전 제품 모두 최적숙성기인 60일째에 가장 많았다. 숙성중 전 제품 모두 주된 구성지방산은 16:0, 20:5, 22:6, 16:1 및 18:1 등이었으며 숙성증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약간씩 감소한 반면, 포화산은 다소 증가하였다. 폴리엔산의 감소정도는 저식염새우젓 $S_3$가 가장 적었으며 고추가루 추출물의 항산화성도 확인되었다. 최적숙성기인 60일째의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3$의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betaine과 핵산 관련물질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생긱되었다. 그리고 완숙기 때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제품 $S_1,\;S_3$ 모두 glutamic acid, leucine, prolinc, glycine, lysine 및 aspartic acid등이었다. 완숙기 때의 냄새성분중 휘발성지방산은 $S_1$에서는butyric acid가 $64.0\%$로써 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cetic acid의 순이었지만 저식염새우젓 $S_3$에서는 butyric acid, propion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6종이 동정된 휘발성카르보닐화합물중 제품 $S_1,\;S_3$ 모두2-methylpropanal이 약 $60\%$정도로써 특히 많았고 다음으로 S-methylbutanal과 pentanal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휘발성아민은 제품 $S_1,\;S_3$ 모두 trimethylamine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

해수산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프레임 육포의 관능 특성 (Sensory Characterization of Fish Jerky Produced from Frame Muscle of the Sea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김용중;김민우;김민주;이수광;박선영;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0-27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exture, odor, taste and color) of jerky produced from ground sea rainbow trout (SRT) Oncorhynchus mykiss frame muscle (FM). The hardness of the ground SRT-FM jerky was 453.9±91.0 g/cm2,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animal jerky (893.5±404.6 g/cm2) and commercial fish jerky (1,394.4±363.5 g/cm2). The difference in the hardness values of the ground SRT-FM jerky and commercial animal jerky was not significant. The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the ground SRT-FM jerky was 48.3±1.6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fish jerky (21.6±6.2 mg/100 g) and commercial animal jerky (18.2±6.3 mg/100 g). However, the fish odor of the ground SRT-FM jerky was masked by the presence of various additives. The hydrophilic and lipophilic browning indices of the ground SRT-FM jerk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mercial jerky. The total taste value of the ground SRT-FM jerky was 169.0,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nd SRT-FM jerky would be acceptable to consumers.

인체적용을 위한 실크 스펀지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dical silk sponge)

  • 조유영;권해용;이광길;여주홍;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8-72
    • /
    • 2013
  • 피브로인과 세리신은 누에고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단백질로 생체적용 의료용 소재 제작을 위해 각광받는 재료 중 하나이다. 이들 단백질로 만들어진 생체재료는 생분해 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인체에 흡수되므로 인체에 해롭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고치로부터 세리신과 피브로인을 분리하여 수용액을 제작한 뒤, 이들의 조성비를 달리하거나 또는 첨가물을 혼입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실크 스펀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크 스펀지의 형태와 안정성 및 혈액 흡수력 등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세리신 함량이 늘어날수록 실크 스펀지의 구조 안정성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실크스 펀지를 70%와 100% 에탄올에 각각 결정화를 유도시킨 결정화 구조는 70%에서 결정화된 스펀지의 형태가 더욱 안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크 외의 다른 첨가물을 혼입한 스펀지는 실크구조 안정성이 실크단백질 (피브로인, 세리신)만을 이용하여 제작한 스펀지에 비해 매우 떨어졌다. 실크단백질만을 이용하여 만든 스펀지에 대한 혈액 흡수도는 세리신, 피브로인 비율과 상관없이 모두 매우 뛰어난 흡수력을 갖고 있었다. 건조와 침지 반복에 따른 형태 유지력 또한 실크 스펀지는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스펀지는 성형보형물 또는 지혈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Py-GC/MS 분석법을 이용한 첨가물 혼합 옻칠 접착제의 정성분석 (Study on Qualitative Analysis for Lacquer Mixed with Some Additive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김지은;유지아;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59
    • /
    • 2017
  • 옻칠은 천연도료로써 기원전 1~2세기부터 한반도에서 사용되었으며 접착제로도 활용되었다. 이러한 접착제로써의 기능은 고문헌과 실제 출토되는 유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아교, 밀가루, 어교 등을 혼합하여 사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첨가물을 혼합한 칠의 정성분석을 통하여 칠분석 및 혼합재료에 대한 분석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첨가물을 혼합한 칠에 대한 정성분석 결과, EGA분석을 통해 옻, 찹쌀풀, 아교의 열분해 온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Py-GC/MS 분석을 통해 생칠 시료의 경우 우루시올 곁사슬(R기)에서 유래된 열분해 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찹쌀풀과 아교 각각 글루코오스와 아미노산에서 유래된 물질로 추정되는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옻과 첨가물별 최적의 열분해 온도를 확인하였으며, 열분해 산물에 대한 기초 정성분석 값을 제시하였다. 첨가물 혼합 비율별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유물에서 관찰되는 칠 접착제 분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