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iguity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36초

관광경찰 역할에 대한 역할모호성·역할갈등과 업무만족, 업무수행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Role Ambiguity·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n Role of Tourism Police Officers)

  • 김상운;조승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139
    • /
    • 2015
  •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안전 및 치안을 위해 2013년 10월 16일 서울 관광경찰대가 출범하였다. 관광경찰의 주요역할은 관광지내 범죄예방 순찰 및 기초질서 유지, 외국인 관광객 대상 불법행위 단속 및 수사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음식점 숙박업소 택시 등 관광관련 영업의 부당요금 단속, 관광 관련 업계 및 종사자에 대한 행정지도 및 단속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관광경찰의 역할을 살펴보면, 일반 경찰과 역할이 중첩되고,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타 기관과의 업무협력을 요하는 부분이 많아 일반 경찰과 관광경찰 사이에는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경찰의 역할에 대한 일반경찰과 관광경찰의 역할 모호성 역할갈등이 업무만족 및 업무수행도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관광경찰제도의 발전에 기여고자 한다.

국외여행인솔자의 역할갈등, 모호성,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Relationship among Role Conflict, Ambiguity, Overload and Service Delivery Level of Tour Conductor)

  • 지진호;김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51-258
    • /
    • 2008
  • 여행서비스 품질, 종사원 만족, 그리고 여행자 만족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여행서비스 제공에 있어 국외여행인솔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솔자의 역할, 역할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수준 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역할 관련 스트레스인 역할 갈등, 모호성, 그리고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고, 이들 변수들에 대한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수준의 영향 요소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분석 결과를 보게 되면,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그리고 역할 과부하 등의 요소들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접점과정에서 역할 갈등과 모호성은 응대성과 감정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역할 과부하는 전문성과 외모연출과 영향관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외여행인솔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서비스 제공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솔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차원의 정책 등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Implementation of persistent identification of topological entities based on macro-parametrics approach

  • Farjana, Shahjadi Hisan;Han, Soonhung;Mun, Duhwan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161-177
    • /
    • 2016
  • In history based parametric CAD modeling systems, persistent identification of the topological entities after design modification is mandatory to keep the design intent by recording model creation history and modification history. Persistent identification of geometric and topological entities is necessary in the product design phase as well as in the re-evaluation stage. For the identification, entities should be named first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which will be applicable for all the entities unconditionally. After successive feature operations on a part body, topology based persistent identification mechanism generates ambiguity problem that usually stems from topology splitting and topology merging. Solving the ambiguity problem needs a complex method which is a combination of topology and geometry. Topology is used to assign the basic name to the entities. And geometry is used for the ambiguity solving between the entities. In the macro parametrics approach of iCAD lab of KAIST a topology based persistent identification mechanism is applied which will solve the ambiguity problem arising from topology splitting and also in case of topology merging. Here, a method is proposed where no geometry comparison is necessary for topology merging. The present research is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the persistent identification schema for the support of ambiguity problem especially of topology splitting problem and topology merging problem. It also focused on basic naming of pattern features.

치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ists)

  • 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83
    • /
    • 2002
  • By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stress generated from dental hygiene, identifying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cademic progress on work stress.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each hypothesis: 1. Among the work stress sensing factors, role ambiguity showed correlation to the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passive coping strategy, whereas it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to the evasive reation. However, the physical resource environmental factor showed correlation to the active coping strategy, whereas it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to the other reation. 2. The passive coping strategy,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influences the role ambiguity, B type, work ambiguity, physical resource environmental factor by about 18.7%. 3. The active coping strategy,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influences the social support, role ambiguity, work place of health center factor by about 18.9%. 4. The evasive reaction,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influenced by only the 36 years old over factor by approximately 4.2%. 5. It was found in all work stress sensing factors that the group with lower social support had a more degree of experiencing stress than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support. In case of the behavior pattern, the type A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the type B only in role ambiguity. 6.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the higher social support tended to choose more active coping strategy than the lower social support. In case of behavior pattern, the type B coped more actively than type A in the passive coping strategy.

  • PDF

유전 알고리즘 기반 레이더 펄스 모호성 해결방법 (A Novel Ambiguity Resolution Method of Radar Pulses using Genetic Algorithm)

  • 한진우;조제일;김산해;박진태;송규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184-193
    • /
    • 2015
  •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반 수동형 전자감시장비는 이격 동작하는 다수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전자파 신호의 펄스도착시간인 TOA(Time of Arrival)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원의 공간상 위치를 탐지한다. 수신기 간 이격 거리 대비 신호원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PRI(Pulse Repetition Interval)가 크지 않을 경우 TDOA 기반 위치탐지를 위한 각 수신기에서의 동일 펄스쌍 선정에 모호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격 동작하는 각 수신기에서 수신한 펄스들과 신호원간의 순시방향탐지결과인 AOA(Angle of Arrival)를 이용하여 펄스 선택의 모호성을 신호원의 위치와 신호원으로부터 수신한 펄스들과의 TDOA 최적화 문제로 변경하고 이를 유전 알고리즘 기반으로 TDOA 기반 위치탐지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일 펄스선택 모호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며, 다양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시맨틱 기반 키워드 탐색 시스템 (Semantic-based Keyword Search System over Relational Database)

  • 양영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91-101
    • /
    • 2013
  • 키워드의 모호성은 효율적인 키워드 탐색에 있어서 일반적인 이슈가 되어왔는데, 이 모호성은 탐색결과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질의에 사용된 용어 자체가 가지는 문맥상 의미의 모호함에 기인한다. 질의 자체의 모호함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그 탐색 결과를 적절하게 해석하기 위해 결과에 나타나는 키워드간의 관계도 중요하므로 명확하게 명시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질의 용어와 스키마 용어/인스턴스간의 키워드 매핑기법을 적용하여 키워드 탐색의 모호성을 해결한다. 용어간의 매핑에서는 질의 키워드와 스키마 용어간의 구문적 유사성은 물론 시맨틱 유사성까지 고려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매핑과 정밀도가 50% 이상 상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탐색결과에 나타나는 용어간의 불분명한 관계를 점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시맨틱 웹 기술을 적용하여 키워드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더 많이 지식베이스 내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OTF 정밀측위를 위한 신속한 미지정수 결정방법 (A Fast Integer Ambiguity Resolution Method For Precise Positioning On- The-Fly)

  • 이대규;성태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58-463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fast IA(integer ambiguity) resolution method that determines the IA within short epochs with guaranteed reliability.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arch volume and the cost function are influenced by the selection of primary IAs in the plane intersection method, an IA resolution method is proposed that evaluates IA candidates repeatedly in an epoch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primary IAs. In order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resolved IA with a certain probability, an inequality condition for selecting differencing operator is derive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nsistently provides the true IA estimates within short time.

A Study on Discrete Continuity of Information System, Knowledge System, and e-Business System

  • 최재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03-209
    • /
    • 2010
  • Since information systems are pervasive in the business and non-business areas, the issue of extending researches on information systems to knowledge systems and e-business systems is one of the most profitable topics of researches. We propose a historical, discontinuous changes introducing ambiguity in explaining and interpreting innovative nature of three paradigms of systems: information systems, knowledge systems, and e-business systems. Resorting to the historical perspective in developing ideas into meaningful themes, we proposed a discrete continuity in interpreting changes of paradigms of systems. Discrete continuity may be explained by ambiguously-shared meaningful perspectives applied to different paradigms of systems and interpretive elements of each system. The discrete continuity has been adopted to make ambiguity utilized have instrumental contribution in researches. The engrafted ambiguity in systems design, development, and use could have enduring instrumental value in interpreting the types or variants of systems in each paradigm of systems.

클라운 분장 코디네이션의 카니발리즘적 특성 연구 (A Study of Clown Makeup Coordination's Carnivalism)

  • 장미숙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7-111
    • /
    • 2007
  • This study was motivated not only by the curiosity of clown as a comedian, but also by the clown's special makeup coordination. To analyze the clown makeup coordination Carnivalism, the researcher inquired 1) clown's meaning, sorts, periodic roles and stages, 2) Mikhail Bakhtin's Carnival theory, and 3) makeup coordination of clowns (Harlequin, Pierrot, Auguste and White Face Clow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lown makeup coordination carnival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masquerade, amusement and ambiguity. The masquerade was expressed on the mask for Harlequin and white makeup for Pierrot, Auguste and White Face Clown. The amusement was revealed on the fall and the inharmony of the grotesque makeup and childish costumes. And also the ambiguity was expressed on the sexless and the infant of clown's real nature and costumes.

  • PDF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주관적 가중선형효용모형 (The Subjectively Weighted Linear Utility Model using Bayesian Approach)

  • 김기윤;나관식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1-129
    • /
    • 1994
  • In this study, we develope a revised model as well as application of decision problem under ambiguity based on the subjectively weighted linear utility medel. Bayes'rule is used when there are ambiguous probabilities on a decision problem and test information is available. A procedure for assessing the ambiguity aversion function is also presented. Decision problem of chemical corporation is used for an illust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ubjectively weighted linear utility model using Bayesian approach. We present the optimal decisiond using newly developed model. We also perform the sensitivity analysis to assure ourselves about the conclusion we obtianed on degree of ambiguity aversion due to characterize parameter of subjectively weighted linear utility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