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anita muscari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Amanita muscaria 경구투여 시 Sprague-Dawley Rat에서의 독성병리 연구 (The Toxicological Pathologic Study of Amanita muscaria in Sprague-Dawley Rat)

  • 김진;김형진;김소정;김병수;김상기;박병권;박영석;조성대;정지원;남정석;최창순;이성호;정지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52-115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광대버섯인 amanita muscaria로 단회투여독성시험과 반복투여독성시험을 하였을 때 SD 랫드의 독성병리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단회투여독성시험은 강경증, 경사판법, 정압자극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강경증은 33 mg/kg의 농도에서 투여 2${\sim}$3 시간 후 강경증 시간이 감소하였다. 경사판법의 경우 33 mg/kg의 농도에서 투여 2시간 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경사 각도에서도 쉽게 미끄러졌으며, 앞다리 보다는 뒷다리 쪽에서의 움직임 감소를 보였다. 정압자극법의 경우 대조군, 저용량군, 중간용량군에서 SD 랫드가 자극을 인지하는 시간이 1${\sim}$2초 정도로 짧고 매우 공격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고용량군에서는 자극인지 시간이 대략 3${\sim}$5초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강경증, 경사판법, 정압자극법 모두 투여 4시간 후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로 회복되었으며 이것으로 보아 섭취 4시간 전후에는 amanita muscaria의 독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복투여독성시험은 혈액, 혈청분석,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혈청 분석에서 투여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BUN과 creatinine의 변화는 없었지만 ALT와 LDH는 투여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적장기인 간과 신장의 손상을 의심하였고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간과 신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두산 일대의 균류 자원 (The Fungal Resources of Mt. Paekdu Areas)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121
    • /
    • 2010
  • 백두산 일대에서 2002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많은 균류을 채집하여 동정 하였다. 그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비단깔대기버섯 (Clitocybe alnetorum), 접시깔대기버섯 (C. catinus), 변색깔대기버섯 (C. metachroa), 흰깔대기버섯 (C. odora var. alba), 나뭇잎깔대기버섯 (C. phyllophilla), 예쁜광대버섯 (Amanita muscaria var. formosa), 노랑마귀광대버섯 (A. pantherina var. lutea), 반먹물버섯 (Coprinus semitalis),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줄무늬땀버섯 (Inocybe grammata), 회색껍질끈적버섯 (Cortinarius epipolius), 거미집끈적버섯 (C. nemorensis)이 였다. 이들 미기록종을 한국산 버섯목록에 추가하여 균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백두산(白頭山)의 고등균류상(高等菌類相)에 관(關)한 연구(硏究)(I) (The Mycoflora of Higher Fungi in Mt. Paekdu and Adjacent Areas (I))

  • 박성식;조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8
    • /
    • 1992
  • 1991년 7월 28일부터 동년 8월 12일까지 백두산과 송화강의 유역 및 그 부근에서 고등균류 420여점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2아문, 4강, 2아강, 12목, 51과, 141속, 336종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은 깔대기버섯, 배불뚝이깔대기버섯, 참낭피버섯, 무명버섯, 붉은벚꽃버섯, 청머루무당버섯, 냄새무당버섯, 잿빛헛대젖버섯, 큰붉은젖버섯, 말똥진흙버섯이다. 한국에 처음 보고되는 종은 Amanita muscaria var, regaris(광대버섯아재비), Voluariella speciosa var. speciosa(예쁜털버섯아재비), Cortinarius alboviolaceus(흰보라큰적버섯), C. violaceus(보라끈적버섯), Inocybe griseolilacina(회보라땀버섯), I. hirtella var. hirtella(센털땀버섯아재비), Boletinus Paluster(방망이황금그물버섯), Crepidotus badiofloccosus(노랑털귀버섯), Lactarius circellatus var. circellatus(작은테젖버섯아재비), L. controversus(쌈젖버섯), l. cilicioides(염소털젖버섯)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