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veolar resorption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7초

역 L 형 절골술과 Liou 신연기를 이용한 넓은 치조열의 교정 (Correction of a Wide Alveolar Cleft with Reverse L osteotomy and Liou Alveolar Distractor)

  • 이명철;유대현;박병윤;권순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45-449
    • /
    • 2009
  • Purpose: A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for a wide alveolar cleft with bone graft is difficult to achieve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imitation of gingivoperiosteal flap, the presence of large scar tissues, and the poor blood circul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Liou alveolar distraction device was applied. We analyzed the consequences of this surgical treatment. Method: Between 2006 January and 2007 August, we have conducted analysis on the methods and consequences of Liou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6 patients. The age of patients was 12 years and 6 months in average. The follow up period was 19 months in average. The Reverse L osteotomy followed by the placement of the Liou alveolar distraction device was performed. After serial distraction, the distractor was removed after 5 months of the process of osteogenesi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the computed tomography and the x-ray films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teeth. Results: The alveolar cleft with 12.5 mm in average width was filled with 8.5 mm of newly formed bone tissue in average width after 5 months of osteogenesis. Among the 6 cases, 5 required the additional bone graft and 1 case only required the gingivoperioplasty. The newly formed bone tissues did not show any signs of bone resorption. However, a considerable degree of teeth displacement was shown. Conclusion: For the alveolar cleft too wide to be reconstructed by a general bone graf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perform the reverse L osteotomy of the cleft side with Liou alveolar distraction device to initiate the alveolar osteogenesis. However, the migrated teeth showed some degree of relapse, thus,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essential following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treatment.

불량한 치조제에서의 임플랜트 시술증례 (IMPLANT REHABILITATION IN THE UNFAVORABLE ALVEOLAR RIDGE)

  • 박재범;안상헌;정수일;조병완;안재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35-44
    • /
    • 1997
  •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which type of implant to be used would be the available bone of the patient. Usually a minimum of 5mm in the bone width and 8mm in the bone height is necessary to ensure primary implant stability and maintain the integrity of bone contact surface. Placement of implant is limited by the several anatomic strutures such as maxillary sinus, floor of the nose, inferior alveolar neurovascular bundle and nasopalatine foramen, etc. When severe resorption of alveolar ridge is encountered, implant placement would be a problematic procedure. A number of techniques to improve the poor anatomic situations have been proposed. This article reports 4 cases of patients using surgical procedures such as blade implant technique, cortical split technique in the anterior maxillary area, sinus lifting and lateral repositioning of inferior alveolar nerve, We treated dental implant candidates with unfavorable alveolar ridge utilizing various surgical techniques, resulted in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ridge.

  • PDF

교익사진을 이용한 교정치료 전후의 치조골 높이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LVEOLAR CREST BONE HEIGHT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BY USING BITEWING FILM)

  • 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21-430
    • /
    • 1997
  • 치조골은 치아의 치배와 치근의 발육에 따라 발달하고 치아의 맹출에 따라 골침착이 계속된다. 골의 성분은 끊임없이 소실되고 다시 첨가되며 균형이 깨지는 경우 치조골의 흡수 또는 과다 침착이 일어난다.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의 재위치시 치조골의 흡수로 인한 치조골높이의 상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의 평가를 위한 여러 선학들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임상연구방법중 재현성과 규격성이 가능한 방사선사진을 이용하게 되었고 그중 치조골의 변화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구치부의 교익사진을 사용하게 되었다. 교정치료 전후에 치조골높이가 어느 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전 구치부의 관계가 Cl I인 10-13세(평균 12.2세)아동을 대상으로 구강내 상태가 양호하며 선천적 결손이 없으며 심한 치주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치료전후의 교익사진이 있는 환자를 무작위로 총 20명을 축출하여 연구대상으로하였고 상하악 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와 중앙값을 구하였다. 2. 상하악좌우측의 치조골의 높이의 치료전후 계측치비교시 거의 모든 계측치에서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근원심간의 비교시 3D3과 4M3은 상하 좌우측 모두 원심측이 4M3과 4D3은 근심측이, 4D3과 5M3은 원심측이, 5M3과 5D3은 근심측이, 5D3과 6M3은 근심측이 변화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TX,TY)과 장축의 변화 (A)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의 비교시 좌우측 모두 상악의 34TX, 34TY, 34A가 크게 나타났고 이 부위의 치조골높이의 변화가 다른 부위에 비해 컸다.정중구개봉합부를 급속확장시킨 후 신생골 형성은 보정 14일이 지난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보정 28일이 지난 후에는 신생골형성이 훨씬 왕성하게 진행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위 판별식으로 본 연구대상을 판별한 결과, 전체정판별률은 $92.86\%$였다.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교하면 bisphosphonate는 indomethacin에 비해 골흡수 억제효과가 더 크며 투여시간에 따른 제약도 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EX>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 PDF

손톱 깨물기 습관을 가진 아동의 전치부 치근길이와 치조골 높이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root lengths and crestal bone height In nail biting patients)

  • 황충주;김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9-698
    • /
    • 1999
  • 교정치료의 목표는 치아와 악골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높이며 안정성을 도모하는데 있지만 치료 과정 중에 치근흡수와 치조골 흡수와 같은 여러 가지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치근첨의 흡수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상아질 부위까지 파급될 수 있으며, 발생 후 비가역적이다. 여러 가지 구강악습관중 손톱 깨물기 버릇의 치근과 치주조직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여 교정 치료시 적절한 생역학을 고려하고, 교정치료동안 잠재적으로 치근흡수와 치조골 상실의 가능성에 대처하며, 사전에 법적인 문제에 신중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10~15세의 남녀 환자를 문진을 통해서 파악된 손톱깨물기 버릇을 가진 63명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같은 연령대의 손톱 깨물기 버릇이 없는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실험군에서 각각 남자30명, 여자 33명이었고, 대조군에서는 남자 31명, 여자 32명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여 비율은 1:1이었고, 치근흡수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남.여간의 유의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치관의 길이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치근의 길이는 실험군에서 상 하악 양측 중절치와 하악 우측 측절치에서 상대적으로 더 짧은 값을 보였다(p<0.001). 3. 실험군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관 대 치근 평균 길이의 비에서 상.하악 양측 중절치와 하악 양측 측절치에서 유의성 있는 큰 값을 보였다 (p< 0.01). 4. Cemento-Enamel Junction에서 alveolar crest bone까지의 거리 측정에 의한 치조골 상실량의 비교 평가한 경우 실험군에서 상 하악 좌 우측 중절치의 근심면과 상악 우측 중절치의 원심면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crestal bone의 상실을 보였다 (p<0.05).

  • PDF

치과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의 수직적 신장술 (VERTICAL DISTRACTION OF ALVEOLAR BONE FOR PLACEMENT OF DENTAL IMPLANT)

  • 오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4호
    • /
    • pp.326-329
    • /
    • 2002
  • 저자들은 위축된 치조골과 외상 또는 종양으로 상실된 치조골의 재건을 위하여 수직적 치조골 신장술을 이용하여 104명의 환자에서 평균 10.2 mm의 치조골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양호하게 재건된 치조골에 치과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치조골 신장술은 기존의 치조골 수복술들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Alveolar ridge expansion-assisted orthodontic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 Ozer, Mete;Akdeniz, Berat Serdar;Sumer, Mahmu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302-310
    • /
    • 2013
  • Orthodontic closure of old, edentulous spaces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is a major challenge.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method of orthodontic closure of edentulous spaces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accelerated by piezoelectric decortication and alveolar ridge expansion. Combined piezo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s were used to close 14- and 15-mm-wide spaces in the mandibular left and right posterior areas, respectively, of a female patient, aged 18 years and 9 months,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hypodontia, and polydiastemas. After the piezoelectric decortication, segmental and full-arch mechanics were applied in the orthodontic phase. Despite some extent of root resorption and anchorage loss, the edentulous spaces were closed, and adequate function and esthetics were regained without further restorative treatment. Alveolar ridge expansion-assisted orthodontic space closure seems to be an effective and relatively less-invasive treatment alternative for edentulous spaces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실험적 외상성교합이 치주조직의 혈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ascular Changes of the Periodontium in Experimental Trauma from Occlusion)

  • 김기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57
    • /
    • 1969
  • Trauma from occlusion causes apparent changes in the blood vessel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The initial response is primarily mechanical, due to compression, and secondarily characterized by necrotic changes. Recently, many investigators are concerned with vascular changes in relation to the loss of the alveolar bone. Author observed vascular changes of the periodontium in the experimental trauma from occlusion on rats. The results were observ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remarkable changes in the gingiva. 2) The blood vessels that normally occupied a position closer to the bone surface showed a displace-ment toward the cemental surface due to trauma from occlusion. 3) There were no appreciable changes of the alveolar bone in the initial period of trauma from occlusion, whereas there was excessive resorption of the alveolar bone in the long range.

  • PDF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K-incision technique

  • Cho, Young-Dan;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3호
    • /
    • pp.193-200
    • /
    • 2018
  • Purpose: The present study describes 3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nd consequent vertical resorption of the alveolar ridge who were treated using implant-based restoration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Methods: After extraction of a periodontally compromised tooth, vertical bone augmentation using a K-incision was performed at the healed, low-level alveolar ridge. Results: The partial-split K-incision enabled soft tissue elongation without any change in buccal vestibular depth, and provided sufficient keratinized gingival tissue during GBR.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present case series demonstrated that the novel K-incision technique was effective for GBR and allowed normal implant-based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 healthy periodontal condition. However, further long-term follow-up and a large-scale randomized clinical investigation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is technique.

Tooth Movement in Demineralized Area by Etchant in Rabbits

  • Choi, Bohm;Kim, Tae-Gun;Han, Seung-Hee;Park, Yoon-Hee;Lee, W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7-44
    • /
    • 2012
  • Purpose: Among the facilitation of tooth movement in adult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surgical approaches are gaining popularity but complications following mechanical bone reduction are a problem. In this study, tooth movement was observed after alveolar bone was chemically demineralized to verify whether tooth movement had been facilitated.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rabbi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lveolar bone of the left first molar area was exposed and demineralized. Thirty seven percents phosphoric acid was applied for 5 minutes for demineralization. The opposite first molar area was used as control. Two teeth were pulled with 200 g force and 4 rabbits each were sacrificed at 3, 7, and 14 days after the force was applied. Histologic examination was done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staining. Result: The histologic examination results revealed more bone resorption in the demineralized area.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osteoclasts increased in the compressed area.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was lar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demineralization with etchant resulted in limited bone resorption, more tooth movement and less damage of the cementum after applied orthodontic force.

치조골 흡수가 심한 하악 전치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가철성 보철물 수복 증례 (Zirconia removable prosthesis using a milled bar in patient with mandible anterior edentulous area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 case report)

  • 박진영;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김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0
    • /
    • 2024
  •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하악 전치 부분 무치악 환자의 경우 치아가 위치해야 할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어렵고, 적절한 출현윤곽이나 치간 공극을 가진 고정성 보철물을 만들 수 없어 유지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다. 적절한 위치에 놓여 있지 못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절삭 가공 바(milled bar)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보철물로 제작하는 것은 하나의 좋은 치료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가철성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번 증례의 환자는 하악 전치부 무치악부에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보였던 환자로, 상악 전치부와의 수직적 공간이 매우 큰 상태였고 이상적인 곳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수 없었다. 식립할 수 있는 곳에 2개의 임플란트를 심고 절삭 바와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지르코니아 가철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심미적으로 만족스럽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