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umina cop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A comparison of marginal fit of glass infiltrated alumina copings fabricated using two different techniques and the effect of firing cycles over them

  • Bhowmik, Hirasankar;Parkhedkar, Rambha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4호
    • /
    • pp.196-20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marginal fit of glass infiltrated alumina cores fabricated using two techniques and their marginal stability after firing cycles of veneering porcelain.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standardized all-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on a metal die using each technique: slip cast technique of VITA In-Ceram sprint Alumina (Group A as control) and plastic foil matrix technique of Turkom-Cera fused alumina core system (Group B). Coping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at coping stage and after firing each layer of veneering porcelain. A device was used to standardize seating of copings on the metal die and positioning of the specimens under the microscope after each stage of fabrication. The specimens were not cemented and marginal gap was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ing software (Imagepro Express) on the photographs captur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Two tailed unpaired 't test' was used to compare marginal gaps in two groups and one 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marginal distortion within each group at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marginal gap was smaller at the coping stage in group B ($60+30{\mu}M$) than group A ($81+21{\mu}M$)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firing of veneering porcelain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At the final stage, both groups exhibited lower mean marginal gaps than at the initial coping stage with the difference of $11.75{\mu}M$ for group A and $11.94{\mu}M$ for group B,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ue to high value of standard deviation.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both techniques produced copings with comparable and acceptable marginal fit and marginal stability on firing veneering porcelain.

$Procera^{(R)}$ AllCeram 을 이용한 도재관의 임상적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 (The marginal fidelity of $Procera^{(R)}$ AllCeram alumina copings and crowns of patients)

  • 송영균;조인호;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70-478
    • /
    • 2008
  • 완전도재 수복물은 뛰어난 심미성을 가지고 있어, 환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재관을 제작함에 있어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밀도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변연적합도는 수복물의 성공 여부에 중요한 요소이고, 이 분야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AD/CAM 시스템의 하나인 $Procera^{(R)}$ AllCer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실제 환자의 수복물 상에서 측정함으로써 임상에 사용되는 CAD/C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56명, 101개의 지대치에 대해 코핑 상태와 최종수복물의 변연오차를 입체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결과, 코핑의 변연오차 ($53.84{\pm}38.83\;{\mu}m$)보다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 ($45.82{\pm}30.84\;{\mu}m$)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각 측정 지점간 비교에서 역시 모든 변연에서 코핑 의 변연오차가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구치부의 변연오차는 전치부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설측 변연의 경우, 근심, 원심, 순측 변연의 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Procera^{(R)}$ 시스템의 Allceram 관의 변연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 내에 있었으며, 특히 도재 축성후 변연적합도 는 더 우수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연 중 설측 변연의 오차가 가장 큰 것은 주모형의 정보 입력시 순측 부위의 특성상 일어나는 오류로 사료된다. $Procera^{(R)}$ 시스템 Allceram 관 수복시 설측 변연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은 변연적합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주모형 변연 부위의 변곡 정도에 따른 변연오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