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nus firma extract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오리나무 열매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성 연구 (Dyeing Properties of Silk Fabric with Alnus Firma Extracts)

  • 손보현;장지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09-11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yeing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of Ainus firma sieb. et Zucc. Fruit, according to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dyeing concentrations and various mord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yeabilities of the natural colorants extracted from Alnus firma fruit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dyeing concentration. As a result, the optimum dyeing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of silk fabric with Alnus firma fruit were $60^{\circ}C$, 60min and 100%(o.w.f.) respectively. 2. Alnus firma fruit extract dyed reddish purple (RP hue) on the Fe-mordanted silk fabric. In the case of other mordants, silk fabrics dyed yellow (Y hue). 3. Generally, the light color fastness was relatively fair in the silk fabric dyed with the Alnus firma fruit and Fe mordant. The washing color fastness of color change of silk dyeings mordanted with Al, Sn showed 4 grade. However, the dry cleaning color fastness of the silk fabric was fastness was excellent. The rubbing color fastness showed 4 grade at the most of mordants except Cu.

사방오리(Alnus firm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lnus firma Extracts)

  • 최혜정;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8
    • /
    • 2019
  • 본 연구는 사방오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사방오리는 메탄올(MeOH) 분획에 가장 높은 총 페놀화합물($452.80{\pm}7.01{\mu}g$ gallic acid equivalents/mg)을 그리고 에틸에세테이트(EA) 분획 에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12.29{\pm}11.14{\mu}g$ rutin equivalents/mg)과 가장 높은 총 항산화 활성($936.23{\pm}0.07{\mu}g$ ${\alpha}$-tocopherol equivalents/mg)을 가지고 있었다. 사방오리의 용매 추출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빅산 등 표준 물질과 비교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beta}$-carotene-linoleate 에세이, 환원력 측정, ferric thiocyanate법으로 지질과산화 억제력 측정 그리고 금속 킬레이팅능 측정 등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250{\mu}g/ml$ 농도의 사방오리 EA와 MeOH 분획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각각 92.43와 89.20%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50{\mu}g/ml$의 EA분획은 72.49%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gallic acid의 소거능(60.88%)보다 조금 높았다. 또한 ${\beta}$-carotene-linoleic acid 시스템에 의한 과산화 억제능 조사에서 0.5과 1 mg/ml 농도의 EA 분획이 각각 73.45와 73.29% 억제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 > BuOH 분획 > DCM분획 > HX분획 순 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서 사방오리는 천연 항산화제제 개발을 위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잠재적인 자원으로 판단된다.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항우식 및 항구취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halitosis Effects of Alnus firma Extracts)

  • 최혜정;허남숙;최영환;이영근;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71-1076
    • /
    • 2012
  • 사방오리나무의 분획물과 분리화합물인 gallic acid의 항우식 작용과 항구취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부착능 그리고 산 생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휘발성 황화합물의 측정은 oral chroma를 이용하여 구취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DCM 분획물은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졌으며,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와 Porphyromons gingivalis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GA와 DCM 분획물은 각각 S. mutans와 S. salivarius에 대해 산 생성과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사방오리나무의 2% MeOH 추출물은 구취유발 화합물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디메틸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났으며(p<0.05), 2% GA 또한 황화수소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사방오리나무의 활성 분획물과 GA는 항균효능, 산생성 억제능, 부착 억제능 및 구취 억제효능을 가짐으로써 구강병원균에 대한 천연항균제제로써의 사용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식물 열수추출액의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 민상기;박연경;박지연;진성현;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51-962
    • /
    • 2004
  • 병원성세균에 대한 자생식물 열수 추출물 141종의 항균효능을 검색하였다. 실험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건조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시험 대상 균주로는 그람양성균 7주 및 그람음성균 12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그람양성군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55종이었으며 특히 달맞이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사방소리 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칡(꽃), 이질풀(지상부), 배롱나무(꽃)은 6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를 보였다. 그람음성균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45종이었으며 달맞이 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 사방오리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목련(미성숙과)은 8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스펙트럼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식용 가능하며 항균효능을 보인 달맞이꽃 (꽃), 석류(과피, 꽃),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의 열수 조추출물은 식품 보존제 및 가축 식이사료 등에 첨가하여 병원균 감염예방 등의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 자생식물로부터 항산화 및 화장품 기능성 소재 탐색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 현선희;정성근;좌미경;송창길;김지훈;임상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0-208
    • /
    • 2007
  • 제주 자생식물 54종을 대상을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xanthine oxidase(XOD),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후, 생리활성이 높은 5가지 식물을 선정하여 고압 유기용매(100% 메탄올, 13.6 MPa, $40^{\circ}C$)로 추출하여 DPPH,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70%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새우나무, 이질풀, 아그배나무, 자금우, 짚신나물이 250 mg GAE/g 이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백량금이 94.1%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총페놀 함량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R^2=0.87$)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이삭여뀌,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소귀나무가 85%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XOD 저해활성은 이삭여뀌와 소귀나무가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고압 유기용매 추출물은 70% 메탄올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DPPH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와 elastase의 저해활성에 대한 $IC_{50}$은 자금우가 각각 802와 88 ppm이었고, 소귀나무가 각각 959와 66 ppm이었다.

제주 자생식물 고압용매 추출물의 통합적 항산화 능력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of Extracts by Pressurized Organic Solvent from Natural Plants in Jeju)

  • 김미보;현선희;박재성;강미애;고영환;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91-1496
    • /
    • 2008
  • 제주 자생식물 2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추출용매 100% methanol, 추출 온도 $40^{\circ}C$, 추출 압력 13.6 MPa, 추출 시간 10분)하여 총페놀 함량과 통합적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고 폴리페놀 성분을 동정하였다. 추출수율은 붉나무, 말오줌때, 사방오리나무, 사람주나무, 팥배나무가 각각 21.8, 21.5, 21.1, 20.7, 20.1%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아그배가 68.3 mg GAE/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람주나무, 석위, 말오줌때가 각각 57.6, 56.6, 55.1 mg GAE/g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이질풀, 사람주나무, 산딸나무, 붉나무가 각각 598, 394, 293, $270\;{\mu}mol$ ascorbic acid equivalent/g로 높았고,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백량금, 새우나무, 이질풀, 붉가시나무가 611, 314, 296, $242\;{\mu}mol$ trolox equivalent/g로 높았다. GC/MS에 의한 폴리페놀성분을 동정한 결과 15개의 주요 피크를 얻었으며, 그 중 2종의 폴리페놀류(gallic acid(체류시간 19.7분)와 quercetin(체류시간 33.5분)), ascorbic acid(체류시간 35.3분) 그리고 다수의 지방산류(체류시간 18.6, 21.0, 21.8, 21.9, 23.6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중 gallic acid는 다른 성분보다 peak area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람주나무의 가장 중요한 폴리페놀 성분으로 추정되었다.

수목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 - 과별(科別)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ad Extractives (X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verse familie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8-17
    • /
    • 2004
  • 수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농약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65와 263종의 수목을 목부, 잎 및 수피로 나누어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진균활성은 균사생장억제율을, 항세균활성은 생육저지환직경을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프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고 과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 우수수종으로는 소나무와 수종 5종(잣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 방크스소나무), 측백나무와 수종 3종(노간주나무, 향나무, 편백) 그리고 콩과 수종 3종(자귀나무, 다릅나무, 회화나무)이 각각 선발되었다. 항세균활성은 자작나무와 6종(개서어나무, 소사나무, 산오리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사방오리나무), 참나무과 5종(구실잣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대극과 4종(유동, 오구나무, 예덕나무, 사람주나무) 그리고 보리수나무와 3종(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릅나무와의 느티나무, 소나무과의 소나무, 콩과의 다릅나무, 측백나무와의 편백 및 향나무는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이 공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물농약 및 천연보존제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96% 이상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8종(비파나무, 섬벚나무, 왕벚나무, 귀룽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국수나무, 찔레꽃)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진달래과로 총 5종(진달래, 철쭉꽃, 산철쭉, 모새나무, 정금나무)이었다. 한편, 공시시료로 사용된 장미과 시료 총 48종 중에 6종만 라디칼 소거능이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과 관련된 성분이 장미과 식물 공통으로 존재할 기능성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