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wable Stress Design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7초

교차가새형 선행 안전난간을 적용한 시스템비계의 구조 성능 평가 (Structural Capacity Evaluation of System Scaffolding using X-Type Advanced Guardrail)

  • 박주동;이현섭;신우승;권용준;박순응;양승수;정기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8
    • /
    • 2020
  •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when installing steel pipe scaffolding and system scaffolding, the guardrails are install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ork platforms. This conventional guardrail system (CGS) is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falls because the safety railing is installed later. In order to prevent fall disasters during erecting and dismantling scaffold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advanced guardrail system (AGS) which installs railings in advance of climbing onto a work platform.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G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ystem scaffolding applying the CGS and the AGS was compared and evaluated.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ystem scaffold (height: 31 m and width: 27.4 m) with AGS confirmed that structural safety was ensured because the maximum stress of each element of the system scaffolding satisfies the allowable stress of each element. As a result of performance comparison of CGS and AGS for each element, the combined stress ratio of vertical posts in AGS was 6.4% lower than that of CGS. In addition, in the case of ledger and transom, the combined stress ratios of AGS and CGS were almost the same. The compression test of the assembled system scaffolding (three-storied, 1 bay) showed that the AGS ha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GS by 9.7% (8.91 kN). The cross bracing exceeds the limit on slenderness ratio of codes for structural steel design. But the safety factor for the compressive load of the cross bracing was evaluated as meeting the design criteria by securing 3 or more. In actual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brace buckling did not occur even though the overall scaffold was buckled. Therefore, in the case of temporary structures, it was proposed to revise the standards for limiting on slenderness ratio of secondary or auxiliary elements to recommendat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AGS for installing guardrails in advance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SM570TMC 강재의 압축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570TMC Plates in Compression Members)

  • 임성우;김요숙;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357-363
    • /
    • 2005
  • 건축물이 고층이 될 수록 고강도 강재의 사용요구가 증대된다. 그러나 고강도 강재는 일반 강재와는 전혀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다. 고강도 강재를 건축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탄성 영역에서의 거동이 일반 강재와 동등한가를 확인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M570TMC 강재로 제작된 박스형 및 H형 단면을 갖는 기둥의 국부좌굴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중심압축실험을 세장비를 변수로 수행하였다. 단주압축 실험결과 판폭두께비의 제한치를 만족하는 기둥부재의 최대내력은 국부좌굴에 의해 결정되며, 판폭두께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내력에 도달하기 전에 국부좌굴이 발생되었으나 급격한 내력저하는 발생되지 않았다. 장주압축 실험결과 SM570TMC 강재는 허용응력도 설계법과 한계상태 설계법에서 정하고 있는 설계기준을 만족하였다.

철근 선조립형 복합 데크플레이트의 하부근 선경축소에 따른 구조적 거동 평가 (A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Composite Deck Plate using a Pre-assembled Re-bar Truss)

  • 유병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29-138
    • /
    • 2006
  • 철근 선조립형 복합 데크플레이트는 거푸집 작업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의 발전을 가져왔다. 복합데크 시스템의 해석에는 2D해석법과 3D해석법이 있다. 지금까지 2D해석법을 사용하였으나, 선경축소에 따른 비렌딜 거동을 보다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3D 해석법의 사용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하부근의 선경축소, 아연도 강판의 유무, 경간, 슬래브 두께 등을 변수로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거동을 파악하였고, 2D해석법 및 3D해석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2D해석법은 D10의 하부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고, 비렌딜 거동을 포함한 상세한 거동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3D해석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Flexural Behaviors of Precast Prestressed Rectangular and Inverted-tee Concrete Beams for Buildings

  • Yu, Sung-Yong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6-42
    • /
    • 2002
  • Flexural behaviors of the two typical precast beam sections (inverted tee and rectangular) for building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height of web in the inverted tee beam was generally less than half of beam depth to be adapted to that of the nib in the ends of double-tee where the total building height limited considerably. The inverted-tee beams were designed for a parking live load - 500kgf/$m^2$ and a market - 1,200kgf/$m^2$ from the currently used typical shape of a domestic building site in Korea. The area and bottom dimension of rectangular beams were the same as those of inverted tee beams. These woo beams were also reinforced with a similar strength.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ies above; 1) the rectangular beam is simpler in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erection, and more economic than the inverted tee beam in the construction test for these two beams with a same dimension and a similar strength, 2) all of the beams considered in the tests were generally failed in values close to those of the strength requirements in ACI Provisions. The ratios of test result to calculated value are averaged to 1.04. One rectangular and one inverted tee beams failed in a value only 2-3% larger than the estimated volue of the Strength Design Methool the results of the Strain Compatibility Method wire slightly more accurate than those of the Strength Design Method, 4) the maximum deflections of all of the beams under the full service loads were less than those of the allowable limit in ACI Code Provisions. The rectangular beams experienced more deflection then inverted tee in the same loading condition and failed with more deflection, and 5) the rectangular and inverted tee beams showed good performances under the condition of service and ultimate loads. However, one inverted tee beams with fm span developed an initial flexural crackings under 88% of the full service load even though they designed to satisfy the ACI tensile stress limit provisions.

  • PDF

다축압축 실험에 적용되는 철제 빗살구조 재하판의 구조 설계 기법 (Structural design method of the steel brush type loading platen adopted in multi-axial compression experiments)

  • 사공명;이준석;김성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51-359
    • /
    • 2007
  • 지반재료중의 하나인 암반의 물성평가 및 원지반상에서의 역학적 암반거동 평가를 위하여 다축(이축 혹은 진삼축) 압축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축압축 실험의 경우에는 적용되는 경계조건에 따라 실험체내의 내부 응력이 예상과 다르게 작용하게 되며 결국 실험결과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경계조건의 설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하중재하판과 실험체의 경계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철제 빗살구조의 재하판에 대한 구조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각 빗살의 길이 및 단면의 계산을 위하여 각 빗살은 고정단에 지지된 단순보와 고정단에 지지된 기둥의 형태로 가정되었으며 좌굴과 실험체의 변형에 따른 빗살의 처짐을 고려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 PDF

건축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역티형 보와 직사각형 보의 휨거동 비교 (Comparison on Flexural Behaviors of Architectural Precast Prestressed Rectangular and Inverted-tee Concrete Beams)

  • 유승룡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75-82
    • /
    • 2000
  • Flexural behaviors of two typical architectural precast beam sections ; inverted tee and rectangular - were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heights of web in inverted tee beams are generally less than half of beam depth in building structures to accomodate the nib of double-tee where the total building height limited considerably. The inverted-tee beams are designed for parking live load - 500kgf/$\m^2$ and market - 1,200kgf/$\m^2$ according to the currently used typical shape in the domestic market building site in Korea. The bottom dimension and area of rectangular beams are same to those of inverted tee beams to compare the flexural behaviors of two beams. These two beams are also reinforced for similar strength. Four flexural tests are performed on two beams.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tests; 1) The rectangular beam is simpler in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election, and more economic than the inverted tee beam for these two beams with same dimension and similar strength. 1) The estimations of flexural strength of two beams by Strength Design Method and Strain Compatibility Method is fully complied with the result of tests. However, Strain Compatibility Method is slightly ore accurate than Strength Design Method. 2) Overall deflections of two type beam under the service loads are less than those of the allowable limit in ACI Code provision. 3) The rectangular beam is failed in large deflection (average 12.56mm large) than those of inverted tee beams. 4) The rectangular and inverted tee beams with 6m span develop initial flexural crackings under the 88% of full service loading even though they designed to satisfy the ACI tensile stress limit provisions.

강선요트의 국부강도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Strength Structural Analysis for Steel Yacht)

  • 박주신;고재용;이준교;배동균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55-159
    • /
    • 2005
  • 지금까지 국내에서 제작된 요트는 선체의 재질이 FRP로 제작되어 왔으나 FRP는 환경오염 및 해양안전에 관한 법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장래성이 불투명하고 변형 및 파손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선체 제작시 외국의 고가(高價) 목형을 수입해야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요트의 선체를 STEEL로 제작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강선요트의 구조상 강선재료를 주로 사용함으로서 여러 가지 강도적인 측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소형선박이므로 종강도, 횡강도 부분은 Rule의 허용 응력치에 안전율(Safe Factor)만을 주어서 설계를 하여도 충분히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가 있다. 그러나, 소형선박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국부강도(Local Strength)의 평가이다. 본 구조해석에서는 선수미에 슬래밍 동적하중과 선수충격에 의한 선수부의 손상 여부와 선수부의 국부강도를 만족 여부를 확인하고, Engine Bed 부분에서의 중량하중과 횡파하중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터널 거동 예측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Tunnel Behavior Predi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종구;문홍득;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67-278
    • /
    • 2003
  • 인공신경망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거동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이러한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터널거동 예측시스템 (TBPS)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을 위해 시공이 완료된 31개 현장 193 개소 지점으로부터 얻은 터널 계측자료 (즉, 천단침하, 내공변위, 록볼트 축력, 숏크리트 압축 및 전단응력, 내진시 라이닝의 응력 등)를 D/B화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TBPS의 학습을 위해 가장 효과적이라 알려진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들 자료의 학습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TBPS를 이용하여 예측한 터널 거동 값과 현장계측 값,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 값의 상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TBPS에 의한 거동예측결과 값의 변화는 실무에 적용 가능한 범주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BPS는 터널의 타당성검토나 기본 및 실시설계 등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응력근사해법(應力近似解法)을 이용한 평면(平面)트러스구조물(構造物)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에 관한 연구(研究) (Optimization of the Truss Structures Using Member Stress Approximate method)

  • 이규원;유희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3-84
    • /
    • 1993
  • 본(本) 연구(研究)에서는 분할기법(分割技法)을 이용하여 평면(平面)트러스구조물(構造物)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를 시도(試圖)하였다. 본(本) 연구(研究)의 제(第)1단계(段階)(Level 1)에서는 다른 연구(研究)와 달리 응력제약(應力制約)을 감도해석(感度解析)에 효율적(效率的)이라고 알려진 설계공간법(設計空間法)에 의해서 부재응력근사화(部材應力近似化)를 하므로서 비선형최적화문제(非線形最適化問題)가 선형계획문제(線形計劃問題)로 변환(變換)되어 해(解)를 효율적(效率的)으로 구할 수 있고 또한 감도해석(感度解析)을 위한 구조해석수(構造解析數)를 줄일 수 있다. 목적함수(目的凾數)는 구조물(構造物)의 중량(重量)이 최소(最小)가 되도록 중량함수(重量凾數)를 택하였다. 제약조건식(制約條件式)으로는 허용응력(許容應力), 좌굴응력(挫屈應力), 변위제약(變位制約) 및 설계변수(設計變數) 상하한치제약(上下限値制約)을 부과(附課)하였고 다(多) 재하조건(載荷條件)을 고려(考慮)하여 최적화문제(最適化問題)를 형성(形成)하였다. 제(第)2단계(段階)(Level 2)에서는 설계변수(設計變數) 및 조정변수(調整變數)를 절점좌표(節點座標)로 하고 목적함수(目的凾數)로는 중량함수(重量凾數)로 하여 최적화문제(最適化問題)를 형성(形成)하였다. 절점좌표(節點座標)만을 설계변수(設計變數)로 하므로서 무제약최적화문제(無制約最適化問題)로 형성(形成)되므로 최적화(最適化) 과정(過程)이 용이(容易)하다. 본(本) 연구(研究)의 제(第)1단계(段階)에서는 부재응력(部材應力)을 근사화(近似化)하여 단면(斷面)을 최적화(最適化)하고 제(第)2단계(段階)에서는 형상(形狀)만 최적화(最適化)하는 분할기법(分割技法)을 트러스구조물(構造物)에 적용(適用)한 결과 본(本) 연구(研究)는 트러스구조물(構造物)의 형태(形態), 제약조건식(制約條件式)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해(最適解)에 부재응력근사화(部材應力近似化)로 인하여 효율적(效率的)으로 수렴(收斂)하였고 또한 타(他)의 연구(研究)와 거의 동일(同一)한 연구(研究)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로 트러스구조물(構造物)의 중량(重量)을 5.4% - 15.4% 까지 감소(減少)시켰다.

  • PDF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내진설계를 위한 설계기준 분석 (Comparison of Design Standards for Seismic Design of Steel Liquid Storage Tanks)

  • 배두병;박장호;오창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95-202
    • /
    • 2016
  • 본 논문은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내진설계를 위하여 이용되고 있는 Eurocode 8, API 650, NZSEE 등의 해외 설계기준들의 설계방법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내진설계를 위한 국내 설계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요 사항들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각 설계기준에서는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내진설계를 위하여 충격성분과 대류성분을 이용한 단순화된 형태의 역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Eurocode 8, API 650 등의 설계기준에서는 두 개의 질량을 가지는 역학적 모델을, NZSEE에서는 세 개의 질량을 가지는 역학적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Eurocode 8, NZSEE은 강도설계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API 650은 허용응력설계법을 사용하고 있어 하중 등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는 적절하지 않아 역학적 모델에 대한 주요 인자들을 위주로 비교, 검토하였다. 역학적 모델은 설계기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충격성분 및 대류성분의 질량 및 진동수 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강재 액체저장탱크에 대한 국내 내진설계기준은 허용응력설계법보다는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을 사용하고, 국내의 실정에 맞는 하중 및 저항 특성을 고려하여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신뢰도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